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우리말 바루기] 햇병아리, 해쑥, 햅쌀

봄꽃이 흐드러지게 피었다. 파릇파릇 나무가 새 옷을 입고 햇병아리들이 나들이를 나오는 모습을 보니 봄이 완연하다. 봄은 이렇게 햇것들로 가득하다.   ‘햇병아리, 햇것’에서처럼 해마다 나는 물건으로 그해에 처음 나오는 것을 이를 때 접두사 ‘햇-’을 붙인다. 햇과일, 햇곡식, 햇나물 등 예를 들자면 수도 없이 많다.   봄에 제철을 맞는 ‘쑥’에 접두사를 붙이면 어떻게 될까. ‘햇쑥’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해쑥’이 바른 표현이다. 맞춤법 규정에 따르면 단어의 첫소리가 된소리(ㄲ, ㄸ, ㅃ, ㅆ, ㅉ)나 거센소리(ㅊ, ㅋ, ㅌ, ㅍ)로 날 경우엔 ‘햇-’이 아닌 ‘해-’를 쓰도록 돼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해쑥, 해콩, 해팥 등처럼 적는다.   그렇다면 ‘그해에 새로 나온 쌀’은 어떻게 표기해야 할까. 온라인상에는 ‘햇쌀’이라고 쓰는 경우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또한 ‘쌀’이 된소리(ㅆ)로 시작하기 때문에 어문 규정을 떠올리며 ‘해쌀’로 써야 하나 생각할 수도 있겠다. 그러나 ‘햇쌀’과 ‘해쌀’ 모두 잘못된 표현.   ‘쌀’의 경우 원래 중세 국어에서 단어의 첫머리에 ‘ㅂ’이 있었기 때문에 특별히 ‘쌀’에는 ‘ㅂ’을 첨가해 ‘햅쌀’을 바른 표기로 삼고 있다. ‘벼+씨’를 ‘볍씨’로, ‘조+쌀’을 ‘좁쌀’ 등으로 표기하는 것도 같은 사례다.우리말 바루기 햇병아리 햅쌀 맞춤법 규정 햇과일 햇곡식 중세 국어

2025.04.06. 19:00

[우리말 바루기] ‘햇사과’, ‘해팥’, ‘햅쌀’

가을은 수확의 계절이다. 햇사과·햇밤뿐 아니라 해팥·해콩 등 온갖 햇과일과 햇곡식이 쏟아져 나온다.   이처럼 ‘당해에 난’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로 ‘햇’을 사용하곤 한다. 그러나 ‘해팥’과 ‘해콩’에서와 같이 ‘햇’이 아니라 ‘해’가 쓰이기도 한다. 그렇다면 둘은 어떻게 구분해야 할까?   맞춤법 규정에 따르면 단어의 첫소리가 된소리(ㄲ, ㄸ, ㅃ, ㅆ, ㅉ)나 거센소리(ㅊ, ㅋ, ㅌ, ㅍ)로 날 경우엔 ‘햇-’이 아닌 ‘해-’를 쓰도록 돼 있다. 따라서 ‘사과’ ‘밤’ ‘과일’ ‘곡식’은 단어의 첫머리가 각각 ‘ㅅ’ ‘ㅂ’ ‘ㄱ’ 등으로 거센소리나 된소리가 나는 것이 아니므로 ‘햇사과’ ‘햇밤’ ‘햇과일’ ‘햇곡식’ 등과 같이 ‘햇-’으로 적는 것이다.   반면에 ‘팥’과 ‘콩’의 경우엔 단어의 첫머리가 ‘ㅍ’과 ‘ㅋ’, 즉 거센소리로 시작하고 있으므로 ‘햇’이 아닌 ‘해’를 붙여 ‘해팥’ ‘해콩’이라고 해야 한다.   그럼 그해에 새로 나온 쌀은 뭐라고 해야 할까?  ‘해쌀’도, ‘햇살’도 모두 바른 표기가 아니다. 바른 표기는 ‘햅쌀’.   그 이유는 ‘쌀’의 어원에서 찾을 수 있다. ‘쌀’은 원래 중세 국어에서 단어의 첫머리에 ‘ㅂ’이 있던 단어다. 이 ‘ㅂ’이 음가를 갖기 때문에 ‘해쌀’이나 ‘햇쌀’이 아닌 ‘햅쌀’로 표기한다.우리말 바루기 햇사과 햅쌀 맞춤법 규정 중세 국어

2023.10.16. 19:17

가주산 햅쌀 출하, 가격 22% 인하

가주산 햅쌀이 출하되며 한인마켓에서 본격적으로 판매가 시작됐다. 햅쌀 가격이 지난해보다 내려가면서 고물가에 지친 한인들에게는 반가운 소식이 되고 있다.   현재 한인마켓에 유통되고 있는 쌀 브랜드는 20~30개로 조생종 햅쌀에 이어 이번 주부터 만생종 햅쌀이 출하됐고 찹쌀 햅쌀은 11월 초쯤에 나올 예정이다.   지난주부터 판매되고 있는 햅쌀은 가주산 조생종으로 ‘CJ 천하일미’, ‘시라기쿠’ 등이다. 1포(20파운드) 가격은 주말에 13.99~15.99달러에 할인 판매되고 있다. 이는 지난해 햅쌀 세일 가격 17.99~19.99달러와 비교해 최대 22%나 하락한 수치다.   마켓 업계 관계자는 “올해 햅쌀 세일 가격이 2년 전의 12.99~16.99달러와 거의 같은 수준”이라며 “한인 장바구니 물가에도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풍 골드, 히토메보레, 아키타오토메 등 고급 품종 가운데 가장 먼저 나온 해태 대풍 골드 햅쌀은 지난해 34.99달러였는데 올해 29.99~34.99달러에 판매되고 있다. 일반 품종 햅쌀 주말 할인 가격인 13.99~15.99달러와 비교하면 최고 2.5배 비싸다.   팬데믹 이전 해마다 햅쌀이 출하되기 시작하면 세일 행사로 일반 품종 햅쌀은 9.99달러 정도에 판매됐다. 지난해 40년 만에 최고를 기록한 인플레이션 영향과 극심한 가뭄에 따른 저조한 쌀 생산량으로 햅쌀 최저가가 17.99달러였지만 올해는 13.99달러까지 내려갔다.   마켓 업계 관계자는 “올해 초 폭우로 3년 동안 지속한 가주 가뭄이 해소돼 쌀 생산량이 정상수준으로 돌아왔다”며 “아칸소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쌀 생산지인 가주 쌀 산업 회복이 소매가격 하락에 영향을 준 것”이라고 말했다.   한인마켓에서 판매되는 조생종 햅쌀은 대부분 가주 새크라멘토에서 생산된다. 연간 약 50만 에이커에서 쌀이 생산된다. 벼농사의 가주 경제 기여도는 약 50억 달러에 이르고 수만 개 일자리를 창출한다. 폭우로 관개용수 부족이 해결되면서 가주산 쌀 생산도 예전 수준으로 회복되어 올해 햅쌀 가격 역시 인플레이션 이전 수준으로 돌아갔다는 설명이다.   LA한남체인은 시라기쿠 햅쌀 15.99달러, CJ 천하일미 햅쌀 13.99달러에 할인 판매 하고 있다. 시온마켓도 시라기쿠 햅쌀 14.99달러, CJ 천하일미 햅쌀 14.99달러, 해태 대풍 골드 햅쌀 34.99달러에 내놨다. 갤러리아 마켓은 시라기쿠 햅쌀 13.99달러, CJ 천하일미 햅쌀 14.99달러, 히토메보레 햅쌀 24.99달러, 해태 대풍쌀 골드 햅쌀 29.99달러에 판매 중이다. 이은영 기자 [email protected]가주산 햅쌀 가주산 햅쌀 천하일미 햅쌀 조생종 햅쌀

2023.10.15. 18:00

썸네일

가주산 햅쌀 나왔다…가격은 10~15% 올라

가주산 햅쌀이 출하돼 마켓에서 본격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가운데 쌀 가격은 지난해에 비해 10~15% 가량 올라 한인들의 장바구니 물가에 부담을 주고 있다.     현재 한인마켓에 유통되고 있는 쌀 브랜드는 20~30개로 조생종 햅쌀에 이어 찹쌀 출하를 기다리고 있고 10월 말에는 만생종 햅쌀도 출하될 전망이다.     현재 판매되고 있는 햅쌀은 가주산 조생종으로 ‘CJ 천하일미’, ‘시라기꾸’ 등 일반 품종 1포(20파운드) 가격은 12.99~16.99달러다. 대풍골드, 히또메보레, 아키타오토메 등 고급 품종 쌀은 양은 5파운드 적지만 할인 가격이 24.99달러로 일반 품종 쌀보다 가격이 2배 이상 높다.       해마다 햅쌀이 출하되기 시작하면 세일 행사로 일반 품종 햅쌀은 9.99달러 정도에 판매됐지만, 올해는 최저가가 12.99달러 이상이다.     한남체인은 시라기쿠 12.99달러, CJ 천하일미 14.99달러에 판매 중이다.     시온마켓에는 만세보령 황진 햅쌀 24.99달러, 시라기쿠 햅쌀 14.99달러, 착한 하얀쌀 12.99달러, 대풍 골드쌀 26.99달러에 판매하고 있다.     갤러리아 마켓은 시라기쿠 12.99달러, CJ 천하일미 12.99달러, 해태 대풍쌀 골드 24.99달러, 스코야카젠마이 19.99달러, 아키타오토메 19.99달러에 판매하고 있다.     다른 식품과 다르게 쌀은 중가주에서 생산되어 선박 물류대란 문제는 없지만, 인건비와 트럭킹 문제로 공급이 부족해 지난해 같이 큰폭 세일 행사를 실시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시온마켓 제이 방 지점장은 “트럭운전사 부족 등에 따른 운송문제로 공급이 딸리면서 가주산 햅쌀 가격이 10~15% 인상됐다”며 “일부 제품은 지난해와 비교해 3달러 이상 인상한 가격에 판매하고 있다”고 말했다.     햅쌀 가격은 인상됐지만 팬데믹 동안 홈쿠킹이 늘어나면서 쌀소비는 증가했다.     특히 햇반 판매가 2배 이상 급증했다. 한국에서 ‘햇반’을 시작으로 ‘햇반컵반’, ‘햇반솥반’을 연이어 히트시키며 연간 5억개 이상 판매되는 CJ제일제당 햇반을 선두로 오뚜기, 청정원 등에 시라기쿠, 왕, 해태까지 뛰어들면서 고객들의 선택 폭이 넓어졌다. 햇반 한 박스 가격은 15~16달러로 세일 행사를 하면 9~11달러로 판매되고 있다.     갤러리아 마켓 강정완 매니저는 “세일하면 햇반 한 개에 1달러 미만으로 1~2인 가정 경우 간편하고 경제적으로 밥을 먹을 수 있다”며 “무엇보다 식감과 밥의 찰기가 좋아 건강한 즉석밥의 판매는 성장 추세다”고 말했다.     팬데믹으로 건강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일반 쌀보다 배 이상 비싼 ‘갈색가바쌀’, ‘12곡미’, ‘오곡’, ‘발아현미’, ‘두부순검정쌀’, ‘찰잡곡’, ‘흑미’ 등 다양한 잡곡쌀 시장 점유율도 높아지고 있다. 또한 흰쌀보다 필수 영양소 함량이 높아 건강에 좋다는 인식이 생기면서 잡곡 판매량도 늘고 있다. 특히 '오곡'으로 불리는 쌀·보리·조·콩·기장뿐만 아니라 팥이나 수수 등 잡곡밥도 다채로워지고 있다.     한남체인 관계자는 “원하는 대로 잡곡을 다양한 비율로 섞을 수 있는 소분한 잡곡 상품도 꾸준히 판매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은영 기자

2021.10.13. 19:46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