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열린광장] 절망의 시대 화두, 영혼 돌봄

오늘의 필요가 채워지면 그것으로 최상이라는 인식이 지배적인 시대다. 지구촌 곳곳에서 끊이지 않는 전쟁, 예측 불가능한 기후 변화로 인한 홍수와 화재는 일상적인 절망과 슬픔을 낳고 있다. 서머캠프에 참여했던 수십 명의 아이들이 갑작스러운 급류에 휩쓸려 희생당한 비극적인 소식은 우리 모두를 숨 막히는 애통함 속에 빠뜨렸다.   사회 전반에 걸쳐 이와 비슷한 실망감들이 표출되고 있다. 올해로 90주년을 맞은 미국의 사회보장제도(Social Security)는 앞으로 30년 안에 재정 고갈을 맞거나 대대적인 개혁을 요구받을 것이라는 전망에 놓여 있다. 현재 30대 이후 세대들이 미래 복지에 대해 느끼는 불안감은 깊어질 수밖에 없다.     의학계 또한 인류의 생명을 지키는 숭고한 사명에는 공감하면서도, 조만간 수십만 명의 의료 인력이 대체되어야 하는 현실에 대한 대책 마련에 난항을 겪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분위기 속에서 인류는 당장의 만족을 추구하며 영혼에 대한 관심은 뒷전으로 미루는 듯 보인다. 생사의 갈림길에 선 중환자조차 몸과 마음, 영혼을 함께 돌보는 통합적인 치료가 중요하다고 여기건만, 우리의 삶의 우선순위는 ‘오늘의 필요’라는 환경에 의해 변질되고 있다. 하지만 결국, 각자의 영혼을 돌보는 최종 책임자는 바로 자기 자신이다.   상실과 아픔, 현대 사회의 상상할 수 없는 비극 속에서도 우리는 우선 나의 영혼을 돌봐야 한다. 삶의 여정이 느리고 순탄하다면 영혼을 돌볼 기회가 더 많을 것이다. 하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다. 부귀를 얻으면 남모르는 슬픔이 따르고, 명예를 얻으면 말 못할 아픔이 있다. 높은 연봉의 직장에서도 가정이 무너지기도 하고, 자녀가 성공해 이제 걱정이 없겠다 싶은 순간 예기치 못한 질병이 찾아오기도 한다. 우리 주변에서 진정으로 ‘완전한 인생’을 사는 사람이 과연 몇이나 될까.   현대 심리치료학의 새로운 지평을 연 빅터 프랭클은 3년간의 유대인 수용소 생활에서 얻은 실존적 경험을 통해 기존의 임상 지식을 뛰어넘었다. 당시 그와 함께 아우슈비츠 수용소에 도착한 1500명이 줄을 서서 첫 번 방으로 들어갔는데, 그 가운데 10% 가량은 오른쪽에 세우고 나머지는 왼쪽에 세워졌다. 그런데 왼쪽 줄에 있던 전원이 개스실로 보내진 것을 알게 된 것이 그의 실존임상의 시작이었다고 한다.   그 극한의 상황에서, 그는 ‘표현할 수 없는 아픔’을 이겨낼 수 있었던 세 가지 의미를 제시한다. 바로 ‘삶의 목적, 신성한 사랑, 그리고 영혼의 존엄을 보는 용기’다. 그는 후에 생존한 임상 사례들을 “비극의 한가운데서 가진 낙관주의”라고 정의했다.   영혼의 돌봄이 절실하게 필요한 시대다. 삶의 목적과 의미가 더욱 요구되는 환경이다. 삶의 마지막을 앞둔 한 환자가 기도하기 전 “자신의 영혼에 의미를 불어넣는 찬미의 노래를 함께 올리고 싶다”고 부탁했던 기억이 떠오른다.     “멀리 언덕 위에 낡고 투박한 십자가가 서 있네. 고통과 수치의 상징일세(On a hill far away stood an old rugged cross, the emblem of suffering and shame)…”   찬미를 함께 불렀던 그 순간은, 삶의 마지막 여정에서 영혼의 돌봄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깨닫게 한다. 성서는 이렇게 말한다. “나의 영혼아 잠잠히 하나님만 바라라 무릇 나의 소망이 그로부터 나오는도다... 주는 우리의 피난처 시로다.”   어느덧 여름의 끝자락을 보내며 다가오는 계절을 기다리는 모든 가정 위에 영혼의 찬미와 돌봄의 축복이 가득하기를 간절히 기원한다. 김효남 / HCMA 원목협회 디렉터열린광장 절망 화두 화두 영혼 마음 영혼 현대 심리치료학

2025.08.12. 19:37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