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삶의 향기] 현대사회 성직자 역할

종교의 영향력이 줄어들수록 성직자의 권위도 예전 같지 않다. 오늘날 성직자는 어떤 모습이어야 할까.   첫째, 진리를 전달한다. 무술 오디션을 보면 짧게는 1년 길게는 5년 이상 독공을 한 사람들이 간혹 출연한다. 밥만 먹고 수련했다고는 하지만, 단기간이라도 체육관에서 정식 지도 받은 사람을 이기는 경우는 흔치 않다. 올바른 지도자가 필요하다는 점은 어느 분야나 다르지 않다. 지식으로야 불교 학자들에 비할 수 없겠지만, 수행과 삶을 통해 실천 가능한 형태로 진리를 재해석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하겠다.   둘째, 삶의 의미와 방향을 제시해준다. 현대 사회는 정보는 넘치지만, ‘의미’는 부족하다. 성직자는 단순한 교리 전달자가 아니라, 일상의 문제들을 해석하고 방향을 제시하는 해설자 역할을 한다. 인공 지능의 등장 등으로 가치관의 혼란과 정신적 공백이 극에 달한 현대에 이 역할은 더욱 중요해 보인다.   셋째, 심리적, 정서적 지지자이다. 다양한 원인이 있겠지만, 국적, 인종, 재산, 학력을 불문하고 현대인들은 갈수록 심각한 불안, 우울, 상실, 스트레스를 겪고 있다. 전문 상담의 영역을 넘어서, 인간의 근본적 물음에 방향을 제시하는 존재로서 성직자의 역할은 여전히 유효하다.   넷째, 윤리적 감수성을 촉진한다. 갈수록 윤리적 회색지대가 많아진다. 학교에서 옳지 않다고 배운 일들이 일상에서 흔히 보이는 시대다. 무엇이 진실이고 정의인지 판단하기가 점점 어려워진다. 성직자는 공동체 윤리 기준을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또 해야 한다.   단, 이러한 긍정적인 역할을 성직자에게 절대적 권위를 부여하는 근거로 삼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 성직자도 ‘인간’이다. 완벽을 지향하고 완벽에 가까질 수는 있겠으나, 모든 생각과 판단, 실천이 완전무결한 성직자가 실존한다는 것은 받아들이기 어렵다. 믿음이 부족해서, 수행이 부족해서, 심지어 마귀가 들어서 스승을 제대로 알아보지 못한다는 주장은 이성보다 맹신을 앞세우는 집단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방식이다. 전통 교리나 정서로 볼 때 이해가 가는 면이 없지 않지만, 현대인들에게 설득력을 얻기는 어려워 보인다.   불가에서 깨달음은 착심이 없는 상태이다. 내 국가, 내 종단, 내 가족도 그렇지만, 평생 모든 가치 판단의 기준이 되어 왔던 ‘나’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것은 만만한 일이 아니다. 공산주의가 인간의 선함을 과신한 끝에 현실의 욕망을 견디지 못하고 무너진 역사도, 인간을 완전한 존재로 전제하는 기대가 얼마나 비현실적인지를 보여준다.   성직자에게 절대적 권위가 부여될 때의 폐해를 예상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개인과 해당 조직은 물론 국가사회에 미치는 상징적 해악이 적지 않다. 성직자는 절대자여서가 아니라, 인간의 한계를 인정하고 수행으로 이를 극복하는 세상의 등불, 세상의 안내자이기 때문에 존경 받아야 하는 것이다.   일반고에서 근무할 때보다 명문고에서 근무할 때 수업준비를 열심히 했다던 고등학교 은사님 말씀이 떠오른다. 훌륭한 선생님은 훌륭한 학생이 만드는 것처럼, 훌륭한 성직자, 타락한 성직자도 주로는 신도들의 태도에 좌우된다고 할 수 있다.     [email protected] 양은철 교무 / 원 명상 센터삶의 향기 현대사회 성직자 오늘날 성직자 윤리적 회색지대 권위도 예전

2025.11.24. 17:50

현대사회 ‘장소’ 의미 탐구

      워싱턴한국문화원(원장 김정훈, 이하 문화원) 주최 ‘장소 없는 장소’ 전시가 오는 29일(수)까지 문화원 2층 전시실서 열린다.   비대면 활동이 일상화된 현대 사회에서 장소가 갖는 의미를 돌아보고자 기획된 전시회는 3인(서완호, 유승희, 최은지)의 한국 작가들이 참여했다. 3인 모두 장소성을 주된 주제로 삼아 잃어버린 공간을 소재로 작품을 제작해 눈길을 끈다.     서완호 작가는 한 때 번성했던 공간이 의미를 잃어가는 과정과 이를 경험하는 인간의 상실감을 작품에 감각적으로 표현해 냈다. 유승희 작가는 물리적으로는 존재하지 않지만 활발한 교류가 이루어지는 가상공간을 소재 삼아 인간이 마주하는 주체와 철학적 질문들을 작품에 담아냈다. 최은지 작가는 도시를 이루는 요소들을 단순한 도형으로 변환시킨 도심의 풍경을 그렸다.     작가들의 최신 회화 작품 30여 점을 만나볼 수 있는 이번 전시회는 장소가 갖는 특별한 의미를 되새겨 보는 기회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무료 관람이며 월요일부터 금요일 오전 10시~오후 5시 까지 관람할 수 있다.  김윤미 기자 [email protected]현대사회 의미 의미 탐구 이번 전시회 원장 김정훈

2023.03.15. 13:44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