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인 시니어를 위한 ‘증오범죄 예방 세미나’가 내일(30일) 나성영락교회에서 열린다. 전문가들이 참석해 증오범죄 유형과 예방법, 신고 요령 그리고 정신건강 상담까지 진행한다고 한다. 이번 세미나는 한인 비영리단체와 교회, 경찰 관계자, 의료계까지 함께 나섰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증오범죄의 심각성에 대한 한인사회 공감대를 보여주기 때문이다. 증오범죄는 한인 시니어들에게 코로나 바이러스만큼 두려운 것이었다. 하루가 멀다고 벌어졌던 무지막지한 폭력 범죄는 공포의 대상이었다. ‘나도 피해자가 될 수 있다’는 불안감에 외출조차 꺼렸다. 이로 인해 병원 진료나 생필품 구매에도 어려움을 겪었다. 한 단체의 집계에 따르면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된 2020년 3월부터 2년 간 전국에서 발생한 아시아계 대상 증오범죄는 1만1467건에 달한다. 매일 16건 가량 발생한 셈이다. 그나마 신고가 접수된 것만 이 정도 규모다. LA경찰국(LAPD) 관할 지역만 보면 올해 상반기 349건이 발생했다. 2021년의 299건, 2020년의 171건에 비해 역시 크게 늘었다. 다행히 하반기 들어 코로나 팬데믹이 진정 기미를 보이면서 증오범죄도 줄고 있다. 그러나 위험성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다. 언제 다시 고개를 들지 모른다. 증오범죄는 반감을 기반으로 하는 까닭에 작은 불씨에도 큰 폭발력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중국이 코로나 바이러스를 퍼트렸다’는 확인 안 된 소문 하나가 아시아계에 대한 증오범죄 급증의 원인이 된 것이 이를 증명한다. 한인사회도 재발 가능성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이번 세미나를 계기로 한인 단체들이 모여 증오범죄 예방과 대응을 위한 협의체라도 만들었으면 한다. 사설 증오범죄 협의체 증오범죄 대응 증오범죄 예방 증오범죄 유형
2022.09.28. 18:02
대표적인 저임금 업종인 패스트푸드 업계 근로자가 정부 협의체에 참여해 목소리를 낼 수 있는 가능성이 한층 커졌다. 가주 하원은 지난달 31일 전국 최초로 패스트푸드 업계 근로자들이 관련 정책 논의 시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명문화한 조례안을 41대 19로 통과시켰다. 상원으로 직행한 해당 조례안은 신설될 ‘패스트푸드 섹터 카운슬’에 관련 업계 근로자가 고용주 및 정부 관계자와 함께 본인들의 최저임금, 근무시간, 트레이닝과 근로 환경 등에 대해 논의할 수 있는 내용을 담고 있다. 주 하원의 크리스 홀든 의원은 “캘리포니아가 전국 최초로 패스트푸드 산업의 고질적인 문제 해결의 모범을 보일 기회를 얻게 됐다”며 “모든 이해당사자가 공정하게 문제 해결을 위해 협력할 수 있는 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가주 전체 패스트푸드 업계 근로자는 약 55만7000명으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저임금 근로자 집단이다. 노동계에 따르면 이들 중 80%는 소수계 인종이고 특히 3분의 2는 여성으로 팬데믹 이후 가장 큰 타격을 입었다는 설명이다. 다만 반대 측은 패스트푸드 이외 다른 업종과 불공평 문제가 커질 수 있고 대형 프랜차이즈 업체들이 가주를 등지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며 우려를 드러냈다. 한편 해당 조례안이 상원을 통과하면 패스트푸드 섹터 카운슬은 가주산업관계국(DIR) 산하에 설치돼 주지사 및 의회 리더들이 뽑은 업계 근로자 2명, 근로자 보호단체 2명, 프랜차이즈 업계 2명을 비롯해 5명의 정부 기관 담당자 등 총 11명으로 구성될 계획이다. 류정일 기자패스트푸드 협의체 패스트푸드 직원 패스트푸드 업계 패스트푸드 섹터
2022.02.01. 2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