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가주 4개 카운티 9월 주택 매물의 46%의 호가가 100만 달러 이상인 것으로 조사됐다. LA데일리뉴스는 6일 가주부동산중개인협회(CAR) 통계를 분석해 지난 9월 남가주 4개 카운티에서 매물 리스팅으로 올라온 단독주택의 46%가 100만 달러 이상이라고 보도했다. 4개 카운티의 리스팅 매물은 총 1만2074채로 이 중 100만 달러 이상은 5588채로 나타났다. 매물의 24%는 200만 달러 이상, 16%는 300만 달러 이상으로 조사됐다. 〈표 참조〉 내륙에서 해안가에 가까울수록 100만 달러 이상 주택 매물이 더 많았다. 다만, 올해 고가 주택들은 해안가에 가까운 지역에만 집중되지 않았다. LA카운티는 100만 달러 이상 매물이 총 3288채로 전체 매물에서 66%를 차지했다. 200만 달러 이상은 38%, 300만 달러 이상은 26%로 나타났다. 해변에 근접한 오렌지카운티 경우 100만 달러 이상 매물은 1328채로 전체 매물의 84%나 됐다. 200만 달러 이상은 44%, 300만 달러 이상은 29%로 4개 카운티 중 고가 매물 비중이 가장 높았다. 리버사이드 카운티는 100만 달러 이상 매물이 675채로 23%였으며 200만 달러와 300만 달러 이상은 각각 8%와 4%로 집계됐다. 샌버나디노 카운티는 100만 달러 이상 매물은 297개로 11%를 차지했고 200만 달러 이상 4%, 300만 달러 이상 2%에 머물렀다. 가주부동산중개인협회(CAR)가 추적한 128개 지역의 주택 매물 가격을 살펴보면 100만 달러 이상 주택은 남가주 전역에 골고루 퍼져 있었다. 중간 매물 가격이 100만 달러가 넘는 지역은 69곳으로 전체의 54%나 됐다. 남가주에서 9월 기준 평균 매물 가격이 200만 달러를 넘는 지역도 28곳이나 됐다. 대표적인 도시는 베벌리힐스, 말리부, 라구나비치, 뉴포트비치, 라카냐다, 샌타모니카, 칼라바사스, 다나포인트, 맨해튼비치, 팔로스버디스, 아케디아, 어바인 등이었다. 이 중 100만 달러 이상 매물이 가장 많은 곳은 역시 베벌리힐스였다. 지난 9월 100만 달러 이상 매물이 165채나 나왔는데 평균 가격은 950만 달러였다. 이와 비슷한 말리부는 164채로 800만 달러, 뉴포트비치는 180채로 590만 달러로 나타났다. 한인들이 선호하는 부촌인 라카냐다는 21채로 500만 달러, 팔로스버디스는 41채로 370만 달러, 아케디아는 71채로 270만 달러, 어바인은 109채로 230만 달러로 집계됐다. 한편, 현재 30년 고정 모기지 이자율 7.8%와 다운페이먼트 20%를 기준으로 100만 달러 주택의 월 모기지 페이먼트는 5800달러나 됐다. 200만 달러 주택은 40만 달러 다운페이에 월 1만1500달러, 300만 달러 주택은 60만 달러 다운페이에 월 1만7300 달러를 내야 했다. 모기지 페이먼트가 월소득의 3분1을 차지한다고 가정할 때, 100만 달러 주택의 월페이먼트를 감당하려면 연 소득은 20만9000달러 이상이었다. 200만 달러 주택의 경우, 필요한 연 소득은 41만4000달러였으며, 300만 달러라면 연간 무려 62만3000달러 이상의 소득이 필요했다. 이은영 기자 [email protected]호가 주택 주택 매물 주택 la 이상 주택
2023.11.06. 19:48
올들어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가 4%까지 껑충 뛰고 30년 고정 모기지 이자율이 7%선을 오르내리면서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활황세를 보였던 부동산 시장이 꽁꽁 얼어 붙었다. 부동산 시장에 관심이 많은 한인을 위해 남가주한인부동산협회(이하 부동산협)가 현장에서 일하는 에이전트들과 융자 전문가의 입을 통해 현 시장에 대한 냉정한 분석과 바이어와 셀러에게 권하는 조언들을 들을 수 있는 시간을 가졌다. 좌담회에는 부동산협 제이 장 차기회장 사회로 레이 장 레드포인트 명예부사장, 제프리 박 뉴스타부동산 부사장, 멜리사 김 웰스파고 모기지 융자 오피서, 박경주 뱅크오브호프 모기지 융자 오피서와 이수경 에이전트와 일라이자 신 드림부동산 에이전트가 참석했다. LA와 오렌지카운티 부동산 현장에서 일하고 있는 이들은 한결같이 “지금이 바이어에게 최적기”라고 입을 모았다. 현장에서 일하는 부동산 전문가들이 전하는 2023년 바이어와 셀러 마켓에 대한 의견을 들어봤다. -남가주 시장 현 상황은. 제프리 박(이하 제): 현장에서 매매가 급감했음을 피부로 느끼고 있다. 올해에만 매매 건수가 32% 정도 떨어졌다. 내년에도 10% 더 떨어질 것이다. 바이어들이 내년까지 기다리는 분위기가 강하다. 이수경(이하 이): 바이어들이 겨울이 지나면 부동산 값이 떨어지지 않을까 하는 기대에 홀드하고 있다. 셀러는 렌트로 돌리면서 관망하고 있다. 매물이 없어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었다. -집값 40% 하락한 금융위기 때처럼 되나. 레아 장(이하 장): 그 시절을 겪었다. 그때 이후 정부가 크레딧점수와 소득 기준 등 대출 기준을 까다롭게 상향 조정했다. 즉, 주택소유주의 재정 상황이 전처럼 취약하지 않다는 말이다. 또 집값이 평균 10~20% 내려갔다고는 하지만 주택 에퀴티가 충분해 차압사태도 일어날 가능성은 희박하다. 내년에 집값이 큰 폭으로 조정된다 하더라도 20% 정도다. 사실 그렇게까지 가지도 않을 듯하다. 2008년의 금융위기 때와 같이 집값이 폭락하지 않을 것으로 본다. -바이어에 대한 조언은. 장: 첫주택 구매자들에게 좋은 시기이다. 과거 투자자들로 인해 경쟁이 심해 첫주택 구매자들이 끼어들 자리가 없었다. 하지만, 투자자가 사라진 지금은 5~10% 낮게 오퍼해도 구매가 가능하다. 최근 2개의 매물이 있었는데 모두 5~10% 정도 낮게 오퍼했다. 일라이자 신(이하 신): 바어이들은 장기 투자한다고 생각하면 사는 게 좋다. 고공행진하는 렌트비를 고려하면 소유가 이득이다. 주택 소유자는 세금 혜택이 있다. 렌트에는 없다. 향후 시세 차익도 얻을 수 있다. 멜리사 김(이하 김): 현재는 바이어스 마켓이다. 이자는 1년 정도면 내려갈 것이며, 재융자를 통해 조정할 수 있다. 융자 시장에서 점보융자 이자율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64만9000달러에서 1달러만 올라가도 점보융자 이자율을 받을 수 있다. 융자금액이 큰 점보융자의 이자율이 상대적으로 낮다. 그 외에도 다른 프로그램들이 많이 있기 때문에 바이어들은 자신에게 맞는 프로그램을 찾을 수 있다. 박경주(이하 박): 과거 셀러들은 5% 정도 다운 페이먼트 하던 첫주택 구매자들에게 큰 관심을 두지 않았다. 하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다. 구매 경쟁이 덜하여 시장가보다 싼 가격에 구매할 수 있다. 100만 달러 물건은 지금 95만 달러에서 최대 90만 달러까지 할인이 가능하다. 지금이 바이어에게 가장 좋은 때이다. -셀러에 대한 조언은. 장: 정말 집을 매각해야 하는 셀러는 호가를 5~10% 정도 낮추는 게 좋다. 안 팔리는 것은 1달 이상 간다. 스테이징(인테리어 디자인 작업)과 수리, 리모델링 등을 통해 바로 이사할 수 있는 상황으로 만들지 않으면 팔기 어렵다. 최소한 깨끗이 페인트칠하고, 바닥수리와 스테이징을 할 필요가 있다. 스테이징을 안하면 손해가 많다. 김: 여전히 핫한 지역은 복수로 오퍼가 들어오고 있다. 호가를 낮추면 구매 수요가 살아난다. -내년 시장 전망은 박: 내년에는 스퀘어피트당 70달러 정도 더 떨어질 것으로 본다. 코로나19 팬데믹 전과 같은 가격으로 정리될 것이다. 스퀘어피트당 가격이 하락하니 많은 바이어에게 호기가 될 수 있다. 내년은 시장 조정 기간이 될 것이다. 가격이 내려가겠지만, 바이어의 기대처럼 큰 폭의 하락은 없을 가능성이 크다. 이: 금융위기 때와 다르게 셀러는 풍부한 에퀴티를 보유하고 있는데다 렌트 수요도 여전하다. 따라서 주택 가격이 큰 폭으로 떨어질 가능성은 매우 낮다. -2028년 올림픽 특수는? 제: LA한인타운은 계속 괜찮았다. 위치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2028년 올림픽과 관련된 지역은 가격이 오를 것이다. USC 인근 빌리지 개발 허가가 많이 나오고 있다. 2026년쯤 되면 윤곽이 나올 것으로 본다. LA한인타운 남쪽으로 도시개발계획을 살펴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이미 투자를 시작하고 있는 한인도 있다. 신: LA한인타운은 이미 인기가 있는 지역이다. 올림픽 특수를 생각한다면 사우스LA 지역을 눈여겨 봐야 한다. 올림픽 때문에 개발은 늘어나겠지만, 홈리스와 범죄에 대한 대책도 절실한 시점이다. 양재영 기자호가 남가주한인부동산 드림부동산 에이전트 부동산 시장 뉴스타부동산 부사장
2022.11.23. 19:23
콜로라도의 집값이 주전역에 걸쳐 가파르게 상승하는 기록적인 추세를 이어가고 있다. 콜로라도 부동산인협회(Colorado Association of Realtors/CAR)의 2월 보고서에 따르면, 7개 카운티 메트로지역내 단독주택 중간가격은 2021년 2월보다 20%나 오른 61만5,000달러로 역대 최고가를 기록했다. 올해 1월과 2월 사이에만 덴버 카운티내 단독주택의 중간가격은 57만5,000달러에서 65만9,000달러로 14.6%(8만4,000달러) 급등해 2016년 한해동안의 상승폭보다 높았다. 게다가 덴버 카운티의 주택들은 호가보다 106.3% 높은 가격에 팔리기 시작했는데, 이는 한달 동안(month-over-month)의 최고 기록을 갈아치웠다. 이처럼 집값이 기록적으로 오르는 이유는 매물로 나오는 주택이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주전체로 보면 콜로라도 주택 구매자들이 선택할 수 있는 매물 리스트는 단독주택 4,114채와 타운홈/콘도 1,087채에 그쳐 지난해보다 63%나 감소했다. 2월말을 기준으로 덴버 메트로 지역 전체에서 매물로 나온 단독주택은 1,486채며 타운홈/콘도는 452채에 불과했다. 이는 2021년 2월에 비해 단독주택과 콘도/타운홈이 각각 50%, 71.6%나 줄어든 것이다.콜로라도 주내 단독주택 중간가격은 지난 1월에서 2월사이 7% 오른 55만5,540달러로 껑충 뛰었고 타운홈/콘도의 경우는 작년보다 17% 오른 40만2,390달러에 달했다. 도시별로 세분화하면 주택 구입의 선택권은 더욱 적나라하다. 브룸필드에서는 지난 2월 매물로 나온 주택 113채 중 대부분이 현재 계약이 진행 중인 상태며 15채만 계약이 성사되지 않았다. 콜로라도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인 오로라는 3월 8일 현재 단독주택 27채를 포함해 187채만이 매물로 나와있는 실정이다. 덴버에 있는 콘도와 타운하우스 시장이 그나마 가격 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덴버의 콘도와 타운하우스 중간가격 상승률은 3.5%로 덴버의 단독주택 상승률 14.6%를 밑돌았다. 다만 콘도는 호가 대비 103.2%에 팔리고 있어 수요가 여전히 높은 편이다. 한편 콜로라도 부동산인협회는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에 소재한 부동산 기술업체로부터 콜로라도의 MLS를 토대로 한 통계 보고서를 매달 전달받는다. 또한 이자율, 카운티별 중간 판매가격과 중간소득 등 주택 적정가격 지표(Housing Affordability Index)를 통해 소비자들의주택 구입 적정가격을 측정하고 있다. 이은혜 기자덴버주택 호가 단독주택 중간가격 단독주택 상승률 덴버주택 가격
2022.03.14. 15: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