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생성 기사일본 화산 화산 폭발
2025.02.11. 16:06
이왕이면 사람이 적고 자연을 품은 여행지가 뜨고 있다. 화산, 폭포, 온천, 야생동물에 관심이 있다면 고민할 필요없이 여기다. 코스타리카. 스페인어로 ‘풍요로운 해안’을 뜻하는 코스타리카는 대서양과 태평양 사이에 위치한다. 평균 기온이 화씨 약 70도로 일 년 내내 따뜻하다. 발길 닿는 곳마다 나무가 울창해 보이는 모든 것이 ‘초록’이다. 국토의 23%가 국립공원으로 보호받는 원시림에는 코코새, 세발가락 나무늘보, 흰머리 카푸친, 악어, 딸기독화살 개구리 등 신기한 야생동물들이 서식한다. 나비 천국이기도 해서 세계 나비의 10% 이상이 이곳에 살고, 그 종류는 무려 2000여 종이 넘는다. 거기다 식물 종류는 아프리카 대륙 전체보다도 많다. 대한민국 약 4분의1 크기의 작은 나라가 전 세계 5%의 생물 다양성을 품고 있으니 영화 ‘쥐라기 공원’이 왜 이곳에서 촬영됐는지 쉽게 이해가 된다. 코스타리카의 명물은 화산이다. ‘불의 땅’으로도 불리는 코스타리카에는 120여 개가 넘는 화산이 있는데 그중 4개의 활화산이 지금도 요동치고 있다. 가장 유명한 활화산은 온전한 원뿔 형태의 아레날 화산(ArenalVolacano). 400여년간 침묵을 지키던 아레날은 1968년 돌연 대폭발을 일으켜 인근 3개 마을이 용암에 뒤덮여 사라졌고 87명의 사상자를 냈다. 2003년 이후 화산은 휴지기에 들어갔지만, 끊임없이 부글거리며 수 초마다 작은 규모의 폭발을 일으킨다. 약 5500피트 분화구에는 화산재 기둥, 폭발, 용암의 붉은 증기 구름이 모락모락 피어난다. 먼발치에서 그저 바라보기만 해도 신비롭고 경이로운 풍경이다. 시뻘건 용암은 밤에 더욱 잘 보이기 때문에 야간 화산 투어를 즐기는 이들도 많다. 지금부터가 진짜다. 아레날 주변에는 타바콘 강이 흐르는데, 화산 아래 마그마가 강물을 데워 밀림 속 노천온천을 이룬다. 이곳이 코스타리카에서 누구나 가고 싶어하며 세계 5대 온천으로 꼽히는 타바콘 그랜드 스파다. 전 세계 수많은 온천을 다녀봤지만 타바콘은 상상을 초월하는 온천 극락이다. 숲과 나무로 둘러싸인 밀림에 화산지대에서 흘러내려오는 뜨거운 온천수가 콸콸, 세차게도 흐른다. 온천수를 인공적으로 가둔 것이 아니라 화산의 열기와 힘이 느껴지는 진짜 천연온천이다. 손으로 바닥을 긁어보면 화산재가 쌓여 생긴 곱고 부드러운 진흙도 묻어난다. 폭포 아래서 온천수로 마사지까지 받고 나면 신선이 된 기분. 시간만 허락한다며 며칠씩 머물며 온천 여행을 즐기고 싶다. 실제로 화산 근처로 허니문을 온 외국인들도 쉽게 볼 수 있다. 코스타리카의 화산은 커피라는 기대 이상의 소득을 안겨주었다. 화산재로 다져진 기름진 땅에는 티피카, 카투라, 카투아이, 비야 사르치 등 향 좋은 커피가 자란다. 세계에서 단 하나뿐인 커피 농장 스타벅스도 이곳에 있다. 그래서 사람들은 ‘죽어서 천국에 가기 원하고 커피 애호가들은 죽어서 코스타리카에 가길 원한다’고 했던가. 새해에는 호랑이처럼 강렬한 타바콘 온천에서 향긋한 커피 한 잔 즐겨보시길… 〈US아주투어 대표〉 박평식 / US아주투어 대표투어멘토 박평식의 여행 이야기 밀림 화산 화산재 기둥 아레날 화산 화산 폭포
2022.01.20. 19:28
지난 15일 남태평양에서 발생한 해저 화산 폭발로 세계의 눈과 귀가 섬나라 통가에 쏠려 있다. 한반도 역시 화산 안전지대는 아니다. “함경도 부령에 이달 14일 오(午)시에 하늘과 땅이 갑자기 캄캄해졌는데, 때로 혹 누른빛이 돌기도 하면서 연기와 불꽃 같은 것이 일어나는 듯하였고, 비릿한 냄새가 방에 꽉 찬 것 같기도 하였다. 큰 화로에 들어앉아 있는 듯하여 몹시 무더운 기운에 사람들이 견딜 수가 없었다.” 숙종 28년(1704년) 5월 20일 『조선왕조실록』에 남겨진 기록은 조선이 재앙 직전까지 갔던 상황을 묘사하고 있다. 당시에는 그저 기이한 자연현상으로 생각했지만, 현대 지질학자들은 백두산의 화산활동으로 추정한다. 다행히 이때는 화산이 폭발하지 않아 대규모 재난으로까지 이어지지는 않았던 것 같다. 한때 백두산 화산은 발해 멸망의 주범으로 지목됐다. 10세기 백두산에서 거대한 화산폭발이 일어났으며, 이때를 노린 거란의 공격에 발해가 손도 쓰지 못한 채 멸망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동안 치열했던 찬반양론은 얼마 전 해소됐다. 클라이브 오펜하이머 케임브리지대 교수는 2017년 서울에서 열린 학술회의에 참석해 백두산에서 채취한 각종 자료를 근거로 화산은 946년 이후 폭발했으며, 발해 멸망(926년)과는 무관하다고 발표했다. 백두산의 오랜 ‘혐의’가 벗겨진 순간이었다. 유성운 / 한국 문화팀 기자역지사지(歷知思志) 화산 화산 안전지대 해저 화산 발해 멸망
2022.01.19. 19: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