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김의환 주뉴욕총영사 귀임 예정

김의환 주뉴욕총영사(사진)가 이르면 내달 귀임할 것으로 예상된다.     27일 주뉴욕총영사관에 따르면, 김 총영사는 최근 대한민국 정부에 재차 사의를 표명한 뒤 재가를 기다리고 있다. 황준국 주유엔대사, 이명석 뉴욕한인회장 등 한인 단체장·정치인과 잇따라 만나며 귀임 의사를 전하기도 했다.   김 총영사가 공식 귀임하게 되면 차기 총영사가 확정될 때까지 업무는 이상호주뉴욕부총영사가 대행하게 된다.     김 총영사는 지난해 말에도 한국 정부에 사의를 전달했다. 그는 “전 대통령이 임명한 특임 공관장이었던 만큼 정부가 바뀌면 물러나는게 맞다”며 “뉴욕에서 활약하는 한인 동포사회가 더 발전하고 주류사회와 협업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김은별 기자주뉴욕총영사 김의환 김의환 주뉴욕총영사 차기 총영사 황준국 주유엔대사

2025.06.29. 18:03

썸네일

한국, 11년만에 유엔 안보리 재진입…내년부터 비상임이사국 활동

한국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비상임이사국으로 선출됐다.   한국은 6일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총회 비상임이사국 선거에서 투표에 참여한 192개 회원국 중 3분의 2 이상인 180개국의 찬성표를 획득했다.   이에 따라 한국은 2024~2025년 임기의 안보리 비상임이사국이 됐다. 한국이 안보리에 재진입한 것은 2013~2014년 이후 11년 만이다. 유엔 가입 5년 만인 1996~1997년 첫 비상임이사국으로 활약한 것까지 포함해 이번이 세 번째 임기다.   안보리는 미국과 영국, 프랑스, 중국, 러시아 등 각종 논의에서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는 5개 상임이사국과 2년 임기의 10개 비상임이사국으로 구성된다.   비상임이사국은 5개 상임이사국에만 주어진 거부권만 행사할 수 없을 뿐 유엔 안보리의 현안 논의와 표결에 참여할 수 있다.   안보리는 제재 부과나 무력 사용 승인과 같은 국제법적 구속력을 가진 결정을 할 수 있는 유일한 유엔 기구라는 점에서 한국은 이번 비상임이사국 진출로 외교적 지평을 넓히고 '글로벌 중추국가' 목표에 한 걸음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앞서 한국은 '글로벌 중추국가'라는 키워드에 맞춰 ▶평화유지(PKO).평화구축에 대한 기여 ▶여성과 평화 안보에 대한 기여 ▶사이버안보에 대한 기여 ▶기후변화 극복에 대한 기여 등 네 가지 중점 과제를 안보리 비상임이사국 선거 공약으로 발표했다.   이와 함께 비상임이사국이 됨에 따라 한국은 향후 북한의 핵 위협에 대한 대응 등 안보리의 한반도 현안 논의에도 더욱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또 최빈국에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공여국으로 성장한 경험을 토대로 선진국과 개도국 간 가교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고 외교부는 설명했다.   황준국 주유엔대사는 선거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많은 회원국의 지지를 받아 안보리에 진출하게 된 것을 대단히 기쁘게 생각한다"며 "보편적 가치와 유엔 헌장의 원칙에 기반을 둔 외교, 개도국과의 협력 확대를 통해 세계 평화와 자유, 번영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설 주유엔대사 황준국 주유엔대사 유엔대사가 한국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2023.06.06. 20:45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