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뉴욕 한복판에서 한국 예술을 말한다”

“한국 젊은 작가(미술가)들은 전 세계 어디에 제시해도 뒤지지 않는 예술성과 창의성을 갖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들의 작품과 이야기를 뉴욕에 소개하는 것이 제가 가진 사명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뉴욕에 기반을 둔 비영리 예술단체 ‘뉴욕한인예술인연합(Korean Association of New York Artists: 이하 KANA/ www.nykana.org)’에서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팀장 및 큐레이터로 활동하면서 한국의 젊은 예술가들을 뉴욕에 소개하고 있는 황혜린 큐레이터(사진)는 ‘젊은 작가들의 성공’을 키워드로 소개했다.     현재 KANA와 함께 뉴욕한국문화원에서 일하면서 한국의 뛰어난 젊은 작가들을 미국에 소개하고 있는 황 큐레이터는 “아직은 상대적으로 덜 주목받고 있지만 재능있는 한국 예술가들을 뉴욕과 인근 지역에 소개함으로써 뉴욕 한복판에서 한국 예술을 말하는 것이 독립 큐레이터로서의 역할”이라고 강조했다.   이화여대에서 조소와 미술사를 전공하고, 뉴욕 프랫인스티튜트에서 문화예술경영 석사 과정을 마친 황 큐레이터는 “뉴욕을 중심으로 각종 강연, 전시, 예술에 특화된 행사를 통해 젊은 예술가들은 지원하고 있다”며 작년에 ‘Unbound Playground’와 ‘Binary Equilibrium’ 주제 그룹전과 함께 이번 달에 ▶예술의 중심지 뉴욕, 파리, 런던에서 개최된 ‘Focus Art Fair’ ▶뉴저지 아트판 갤러리와 협업한 송지은 작가 개인전 ▶KANA를 대표해 ‘Focus Art Fair New York’에 노바울·천효주 작가 부스 기획 등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황 큐레이터는 “뉴욕은 다양성을 허용하는 예술가의 도시지만 그만큼 경쟁이 치열하고, 많은 예술가들이 뉴욕을 꿈꾸며 오지만 실제로 주류로 인정받는 예술가는 극히 적다”며 “뛰어난 예술가들이 뉴욕에서 인정받기 위해서는 뉴욕을 아는 전문가가 함께하는 것이 중요한데, KANA는 이런 한국인 예술가들을 다방면으로 지원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어 황 큐레이터는 “KANA를 통한 다양한 활동에서 저의 목표는 한국 작가들의 활동을 지원하고, 더 나아가 뉴욕 주류 예술계 안에서 한국 작가들이 인정받고 의미 있는 교류가 일어나도록 하는 것”이라며 “저는 예술이 개인의 이야기를 세계와 연결하는 매개체라고 믿는데, 작가 고유의 목소리와 맥락이 뉴욕에서 정확하게 전달되고 공감될 수 있도록 돕고, 한국 미술의 동시대성을 어떻게 보여줄 것인지 늘 고민하며 활동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펴, 황 큐레이터는 뉴욕에서 활동하고 있는 젊은 한인 작가들에게 ‘연대감을 가질 것’을 조언했다.   “뉴욕의 에너지와 다양성은 예술가들에게 도전이자 기회입니다. 주변에 함께 나아갈 수 있는 커뮤니티가 있고 저와 같이 한국 예술을 사랑하고 그 예술을 뉴욕에 소개하고 싶어하는 큐레이터들이 있다는 사실을 기억해 주셨으면 합니다. 각자의 목소리로 꾸준히 작업을 이어간다면 인정받는 날이 있을 것이고, 저는 그런 작가분들의 인내와 용기를 응원합니다. 혼자라고 느껴질 때일수록 함께 연대하는 것이 큰 힘이 됩니다.” 박종원 기자황혜린 황혜린 큐레이터 뉴욕한국문화원 황혜린 큐레이터 KANA KANA 황혜린 프로젝트 매니저 뉴욕의 한국인 미술가

2025.05.21. 21:47

썸네일

KANA·갤러리 장, 한인작가 단체전 개최

뉴욕한인예술인협회(KANA)는 맨해튼 갤러리 장(Gallery Chang)과 함께 7월 30일부터 오는 8월 18일까지 두 차례의 단체전을 갖는다.     뉴욕한인예술인협회와 갤러리 장은 이번 2차례의 단체전에 대해 “공동 기획자 이상혁과 황혜린의 기획을 바탕으로 역량 있는 한인 작가들을 조명하고 한국 미술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며 발전 가능성을 더욱 확장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전시는 1부와 2부로 나누어져 각각 ‘Binary Equilibrium’과 ‘Unbound Playground’라는 다른 주제로 진행된다.     1부 전시에는 뉴욕에서 활동하며 한국 문화적 배경을 공유하는 김태중·김세준·오진이·김다운·이상혁·조윤아·노바울, 그리고 오가영 작가가 참여한다.   1부 전시는 실존주의와 허무주의의 이중성의 맞닿아 있는 부분에 대한 작가들의 견해를 담아냈다.     8월 9일부터 8월 18일까지 열리는 2부 전시에는 애니쿤(Anikoon)·유선미·권용은·서태경·김홍빈, 그리고 박연수 작가가 참여한다.   2부 전시는 작가들의 ▶일상과 어린 시절의 경험 ▶기억과 감정에서 출발해 각기 다른 시각적 언어와 유희적인 표현으로 이뤄진 작업들을 선보인다.     전시와 관련된 자세한 정보는 갤러리 장 웹사이트(www.artgallerychang.com) 참조.   박종원 기자뉴욕한인예술인협회 KANA 갤러리 장 Gallery Chang 이상혁 황혜린 Binary Equilibrium Unbound Playground

2024.07.31. 20:03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