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조지아텍에서 '공금 횡령' 내부고발 파문

감사서 "추가 혐의" 드러났지만 보고서는 "혐의 없음"으로 종결   조지아텍에서 25만 달러를 횡령하는 부정행위 의혹이 제기됐다고 애틀랜타 저널(AJC)은 24일 보도했다.   최근 이 대학 전 직원은 허가되지 않은 요금이 청구되거나, 누락된 기금 항목을 자주 발견했다고 주장하며 학교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풀턴 카운티 수피리어법원에 대학 측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 원고는 조지아텍 경영대학원 비즈니스분석센터(BAC)의 키스 월 디렉터다. 고소장에 따르면 그는 5만 달러 수표를 직접 전달했지만, 몇 주 후 그 돈이 비즈니스센터 계좌에서 없어지는 것과 같은 여러 가지 부정행위를 목격했다. 또 그는 2022년 1월 BAC 계좌에서 10만 달러 자금이 횡령된 것을 발견했으며, 2개월 전에는 경영대학원 재무 책임자가 횡령을 숨기기 위해 특정 자금을 “쓸어버리라”는 지시를 자신에게 내렸다고 주장했다. 그는 25만 달러 이상의 횡령 의혹이 있다고 주장했다.   월 디렉터는 이러한 사항을 윗선에 보고했지만, “전문가답지 않은 행동”이라는 이유로 오히려 징계를 받았다고 밝혔다.   소장에 의하면 조지아텍은 이후 월 디렉터의 요청에 따라 독립적인 감사를 실시해 경영대학원 전반에서 수십만 달러 규모의 추가 횡령 사실을 적발했으며, 이후 교내 윤리 및 규정준수 부서에서 20명 이상을 인터뷰한 결과 60만 달러 이상의 횡령 혐의가 드러났다. 그런데도 2023년 5월 보고서는 해당 조사에서 횡령 혐의의 배후에 “기만 의도가 있다는 증거”가 발견되지 않았다는 결론을 내렸다.   학교에서 7년간 근무했던 월 디렉터는 2023년 9월 무기한 휴직 처분을 받은 후 직장에 복귀할 수 없었다.   월씨는 조지아주 공립대학 당국인 조지아대학시스템(USG)이 조지아 고발자보호법을 위반했다고 비난했다. 그는 자신의 복직과 손해 배상을 요구하고 있다.   조지아텍은 앞서 2022년에도 사이버 보안 규칙 위반과 관련해 내부고발을 당하기도 했다. 당시 두 명의 고발자는 연방 국방부 계약에 필요한 사이버 보안 규칙을 대학이 따르지 않았다고 주장했으며, 지난해 8월 연방 법무부는 학교를 사이버 보안 위반 혐의로 고소했다. 3명의 고발자 모두 조지아텍의 전·현직 직원들이었다. 윤지아 기자부고 조지아 조지아 고발자보호법 횡령 혐의 추가 횡령

2025.02.24. 14:04

썸네일

뉴저지 한인, 120만불 횡령 혐의 체포

한인으로 추정되는 뉴저지 거주자가 4년간 일했던 회사에서 120만 달러 규모를 횡령한 혐의로 체포됐다.     17일 버겐카운티 검찰은 사기·절도 혐의로 뉴저지주 벨미드에 거주하는 상 박(Sang Park·44)씨를 체포했다고 발표했다.     앞서 리지필드파크 경찰서는 지난해 12월, 리지필드파크에 위치한 한 회사에서 직원의 횡령 혐의 신고를 받고 버겐카운티검찰 금융범죄수사부에 연락했다. 이후 검찰에서 수사에 착수했고, 포괄적 수사 결과 박씨는 2018년부터 2022년까지 본인과 직원들의 급여를 조작한 것으로 파악됐다. 또한 다양한 내부 급여 및 경비 시스템을 사용해 회사 자금에서 120만 달러 이상을 횡령했다.     버겐카운티 검찰은 몽고메리타운십 경찰서의 협조를 받아 벨미드에 있는 그의 자택에서 박씨를 체포했다. 현재 박씨는 2급 사기·절도 혐의 2건으로 기소됐다. 그는 법원 출두를 앞두고 구금된 상태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뉴저지 혐의 횡령 혐의 뉴저지 한인 뉴저지주 벨미드

2024.07.21. 17:25

[로컬 단신 브리핑] 횡령 혐의 전 주 상원의원, 징역 1년 실형 외

▶횡령 혐의 전 주 상원의원, 징역 1년 실형       전 일리노이 주 상원의원 토마스 컬러튼이 횡령 사건으로 징역 1년형을 선고 받았다.     컬러턴은 지난 2019년 8월 '팀스터스'(Teamsters) 노조로부터 24만8000달러를 받은 혐의로 기소됐고, 지난 3월 이를 인정한 바 있다.     검찰은 컬러턴이 '선출직 공무원'이라는 점을 이용해 2013년부터 2016년까지 아무런 일도 하지 않고 월급과 보너스를 챙겼다며 징역 18개월 형을 구형했다.     컬러턴에게 징역 12개월 형을 선고한 로버트 게틀맨 지방 판사는 "아무런 일을 하지 않고 '팀스터스'로부터 보수를 받을 때마다 스스로도 잘못된 짓을 하고 있다는 것을 자각했을 것"이라며 "안타깝게도 일리노이 주에서는 너무 많은 공무원들이 범죄자로 법원에 출두하고 있다"고 말했다.   컬러턴을 '팀스터스'의 '유령 위원'으로 고용한 존 콜라이도 최근 시카고 '시네스페이스 필름 스튜디오'(Cinespace Film Studios)로부터 2014년부터 2017년까지 총 32만5000달러를 횡령한 혐의를 인정한 바 있다. 콜라이에 대한 재판은 아직 진행 중이다.         ▶켈로그, 3개사로 분사… 본사 시카고로 이전     'Frosted Flakes', 'Rice Krispies', 'Eggo' 등으로 유명한 식품업체 '켈로그'(Kellogg Co.)가 3개의 회사로 나눠진다.     식물성 식품업체 '모닝스타 팜'(MorningStar Farms)의 모기업이기도 한 켈로그는 21일 "앞으로 시리얼, 과자, 그리고 식물성 식품에 각각 집중하는 3개의 회사로 분사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3개 회사의 이름은 내년 연말까지 각각 결정될 예정이다.     켈로그는 지난 2021년 기준 과자, 시리얼, 그리고 식물성 식품 분야에서 각각 114억 달러, 24억 달러, 그리고 3억4000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했다.     켈로그측은 "각 분야마다 독립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고, 분야별로 회사가 나뉘어지면 각 제품에 걸맞는 전략과 리소스를 사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켈로그는 이와 함께 현재 미시간 주 배틀 크릭에 위치한 본사를 시카고로 옮길 예정이다. 단 매출 비중이 가장 큰 과자 회사는 시카고와 배틀 크릭 사무실을 모두 사용한다는 방침이다.     켈로그는 각 주주의 보유 지분에 비례해 분사되는 회사들의 주식으로 배분할 계획이며 추후 식물성 식품 회사는 매각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켈로그의 분사 발표에 앞서 지난 21일 이 회사 주가는 8% 올라 주당 73.29달러를 기록했다.        ▶윌리 윌슨, 200만달러 무료 주유•음식 이벤트     시카고 시장 선거에 나서는 시카고 사업가 윌리 윌슨(74)이 또 다른 무료 주유 및 음식 나누기 행사를 진행한다.     올 들어 세 차례나 무료 주유 이벤트를 펼쳐 주목을 끈 윌슨은 이번에는 총 200만 달러를 들여 개솔린 및 음식을 무료로 배포할 계획이라고 지난 21일 발표했다.   무료 음식 배포는 오는 29일, 무료 주유 이벤트는 내달 9일 각각 열릴 예정이다.     윌슨은 "모든 제품의 가격이 폭등하면서 저소득층 가정일수록 필수품을 구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JB 프리츠커 일리노이 주지사와 로리 라이트풋 시카고 시장이 단 90일동안이라도 유류세를 중단한다면 일리노이 주민들에게 큰 힘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윌슨의 무료 개솔린 및 음식 이벤트와 관련한 구체적인 정보는 추후 공개될 예정이다.    ▶시카고 남부 매장 전격 폐쇄 발표       독일의 저가 슈퍼마켓 체인 '알디'(Aldi)가 시카고 남부 매장을 전격 폐쇄했다.     알디는 최근 시카고 남부 오번 그레쉠의 76가와 애쉬랜드에 위치한 매장을 영구적으로 문을 닫는다고 발표했다.     알디측은 "쉽지 않은 결정이었지만, 매장 안에서 계속되는 절도와 지속적인 매출 감소 등으로 인해 해당 매장을 유지하는 것이 더 이상 지속 가능한 옵션이 아니라고 판단했다"고 폐점 이유를 설명했다.     알디를 비롯 시카고 남부서 '홀푸드', 'CVS', 'Save-A-Lot' 등의 식료품점들이 최근 연이어 폐점 결정을 내리면서 지역 주민들은 쇼핑 선택지가 줄어들고 있다며 이에 대한 당국의 적극적인 대처를 요구했다.  Kevin Rho 기자로컬 단신 브리핑 상원의원 횡령 상원의원 징역 횡령 혐의 상원의원 토마스

2022.06.22. 13:13

썸네일

[로컬 단신 브리핑] 횡령 혐의 IL 주상원 컬러튼 자진 사퇴 외

▶횡령 혐의 IL 주상원 컬러튼 자진 사퇴       횡령 및 허위 진술 혐의 등으로 재판을 받고 있던 일리노이 주 상원의원이 자진 사퇴했다.     시카고 서 서버브 빌라파크 지역을 중심으로 한 23지구 주 상원 의원인 톰 쿨러튼(민주•52)은 최근 성명서를 내고 사임한다고 밝혔다.     2012년 이후 주 상원으로 재임 중인 쿨러튼은 상원 노동위원장을 맡고 있으면서 노동조합연맹에 이름만 올려두고 아무 일도 하지 않으면서 3년 간 27만5000달러의 '유령 급여'(Ghost Payroll)와 혜택을 받은 혐의로 2019년 연방 검찰에 의해 기소됐다.     기소 후 무죄를 주장해온 쿨러튼은 팬데믹으로 재판이 연기 돼 오는 4월 법정에 설 예정이었지만 유죄를 인정하는 대신 검찰과 합의하에 형량을 낮출 것으로 알려졌다.     쿨러튼의 사임으로 존 라쉬 일리노이 연방 검사장의 정치인 부패 수사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라쉬 검사장은 부임 후 일리노이 주 정치인들에 대한 고강도의 수사로 잇단 기소가 이뤄지고 있다. 마이클 매디간 전 하원 의장을 비롯 마틴 산도발, 테리 링크, 루이스 아로요 주 의원 등이 조사를 받거나 기소됐다. 이들은 모두 민주당 소속으로 당 중진이거나 의회 분과위원장을 맡고 있는 등 요직에 있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NP          ▶FBI, 시카고 지역 가짜 코로나19 검사시설 수사     연방수사국(FBI)이 시카고 지역의 가짜 코로나19 테스팅 시설을 수사 중이다.     FBI와 경찰은 최근 시카고 북서부 노우드 파크 지역에 위치한 '랩 엘리트 노스웨스터 사이트'(LabElite Northwest Site) 시설을 급습했다.    연방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랩 엘리트'는 코로나19 테스팅을 위해 연방정부로부터 7720만 달러를 지원 받았지만 이를 지키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FBI는 구체적인 혐의 대신 "거짓 운영에 대한 조사를 진행 중"이라고만 밝혔다.     앞서 지난달 일리노이 주 보건부는 시카고 북서 서버브 롤링메도우스에 위치한 '센터 포 코로나 컨트롤' 테스팅 시설과 '오헤어 클리니컬 랩' 등이 코로나19 테스트를 허위로 하거나 뒤늦게 결과를 알려준 것을 적발, 조치했다. @KR       ▶시의회, 독립수사기관 COPA 새 책임자 승인       시카고 경찰의 부당 행위를 조사하는 독립수사기관 COPA(Civilian Office of Police Accountability)의 새로운 수장이 임명됐다.     시카고 시의회는 앤드리아 커스텐을 COPA의 새 최고 책임자로 지난 23일 승인했다.     커스텐은 작년 5월부터 공석이었던 COPA 최고책임자를 임시로 맡고 있었지만 근무 중 사망한 시카고 경찰의 생전 부적절한 행위를 추모 기간 중 발표해 유가족에 대한 배려가 없다는 비판을 받아 시의회의 최종 승인까지 우여곡절을 겪었다.     지난 2016년 설립된 COPA의 창립 멤버인 커스텐은 "경찰에 대한 불만 제기를 더 빠르게 처리하고, 경찰의 위법 행위에 대한 영상 증거를 더 신속하게 공개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COPA를 투명하게 운영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경찰의 개혁과 책임을 묻는 것은 경찰에 대한 진정한 지지를 이끌여낼 수 있다"며 "COPA는 시카고 경찰이 바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돕는 단체지 경찰을 없애려는 단체가 아니다"며 경찰과의 협력을 기대했다. @KR         ▶쿡 카운티, 1000번째 빈집 개조 프로젝트       비어 있거나 버려진 집을 개조하는 프로그램을 진행 중인 쿡 카운티가 최근 1000번째 개조 작업을 마쳤다.     쿡 카운티 Land Bank Authority는 14년 전부터 이 프로그램을 진행 중이다.     시카고 웨스트 사이드 소재 1000번째 집 개조 작업을 진행한 개발자 헨리 쉘튼은 "내가 자란 커뮤니티에 이렇게 긍정적인 변화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이 매우 의미 있다"고 전했다.     토니 프렉윈클 쿡 카운티 의장은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아무런 투자를 받지 못하고 뒤쳐진 흑인 및 라티노 커뮤니티들에 생기가 생겼으면 좋겠다"며 "끝이 아니라 이제부터 시작이다"고 말했다. @KR Nathan Park•Kevin Rho 기자로컬 단신 브리핑 주상원 횡령 횡령 혐의 자진 사퇴 시카고 지역

2022.02.25. 14:27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