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오늘 105주년 삼일절] 꽃길에서 만난 자유 뺏긴 두 민족

중가주 프레즈노에는 ‘블로솜 트레일(Blossom Trail)’로 불리는 유명한 꽃길이 있다. 매년 3월이면 이 길을 걷기 위해 많은 이들이 시모니안 농장(Simonian Farms)으로 몰려든다.   아름다운 꽃길 이면에는 아픈 역사가 있다. 미주 한인들의 나라 잃은 슬픔과 일본계 미국인들의 배척당한 이야기가 함께 배어있는 곳이 바로 프레즈노다.   꽃길 너머 시모니안 농장 귀퉁이에는 25피트 높이의 목조탑이 있다. 전면에는 한문으로 ‘위령탑(慰靈塔)’이라고 적혀있다.     탑은 1943년 3월 강제 이주조치로 애리조나 수용소로 보내진 이 지역 일본계 미국인 농부들을 기리기 위해 지난 2015년 세웠다. 탑 안내문에는 시모니안 일가가 이들로부터 농업 기술은 물론이고 근면, 성실의 가치를 배웠다고 쓰여있다.   기록에 따르면 일본계 미국인들은 1900년대 초 가주 채소 생산량의 약 40%에  관여하고 있었다. 당시 일본인 농장의 가격은 일반 농장의 거의 7배에 달했을 정도로 그들의 능력과 노력은 인정받고 있었다.   하지만 진주만 공습(1941년 12월7일) 이후 일본에 대한 적대적 감정이 팽배해지자 당시 가주 채소 재배 협회 측은 곧바로 일본계를 서부 지역에서 추방하는 데 앞장선다. 가주의 농업 산업을 주도하고 있던 일본계 농장주들을 전쟁을 빌미로 배제 또는 도태시키려는 속셈이었다. 2차 세계대전 기간 동안 수용소로 강제 이주된 일본인들은 전국에서 12만명에 달했다.   시모니안 농장의 위령탑에서 남동쪽으로 불과 20마일 떨어진 리들리 지역에는 미주 지역 한국 독립운동사의 상징이 세워져 있다. 14피트 높이의 독립문이다. 그 옆으로 안창호, 이승만 등 애국지사 10인의 기념비도 세워져 있다. 중가주한인역사연구회, 한국 국가보훈부 등이 리들리시와 함께 22만 달러를 들여 세웠다.   1905년부터 한인들이 모여든 리들리는 하와이 사탕수수 농장에서 계약 기간이 끝난 상당수의 한인이 본토로 와서 가장 먼저 정착했던 곳이다. 당시 약 500여 명의 한인이 이곳 농장 등에서 일하며 자연스레 한인 사회가 형성됐고, 이후 미주 지역 항일운동의 근원지가 됐다.   삼일 운동 전후 2년 간(1918-1919) 리들리 지역 한인들이 한국으로 보낸 독립운동 자금은 1만3835달러였다. 현재 가치로 환산하면 30만 달러(연방 노동부 자료 참고)가 넘는 돈이다. 농장 노동자 등으로 힘겹게 일하며 일당을 쪼개고 또 쪼개서 모은 돈임을 감안하면 독립에 대한 열망이 얼마나 강했는지 알 수 있다.   독립문 인근 다뉴바 한인교회당 터를 가면 당시 독립 자금 기부자 명단이 기념비에 새겨져 있다. 당시 다뉴바 한인교회 앞은 삼일운동 이듬해인 1920년 3월 1일, 미주 한인들이 태극기를 흔들며 시가행진을 펼쳤던 곳이다. 이후 이 교회 앞에서는 매해 삼일운동 기념식이 열렸다. 1937년에는 리들리를 비롯한 중가주의 팔리어, 생거, 델라노, 다뉴바 등 5개 지역 한인들이 연합으로 삼일절을 기념하며 시가행진을 펼치기도 했다.   당시 리들리의 한인과 시모니안 농장 지역 일본인간의 마찰이나 갈등이 있었다는 기록은 없다. 두 민족 간의 어떠한 교류가 있었는지 역시 알 수 없다.   단, 공통점은 있다. 두 민족 모두 한 맺힌 시간을 보냈다는 점이다. 일본계 미국인은 전쟁을 일으킨 민족이라는 이유만으로 강제로 수용소에 갇혀 배척을 당해야 했다. 결은 다르지만 한인들은 조국을 빼앗겨 애통한 시간을 보내야 했다.   LA한인회를 비롯한 한인 단체들은 오늘(1일) 이곳에서 삼일절 기념식을 연다.   매년 봄이면 꽃구경을 하려는 한인들이 프레즈노를 즐겨 찾는다. 요세미티나 세코이아 국립공원 가는 길에 들르는 지역이기도 하다. 꽃길만 걷다오기에는 지난 역사가 아프다. 김인호 여행작가·장열 기자삼일절 105주년 삼일절 3.1절 리들리 한인 로스앤젤레스 LA 미주중앙일보 장열 일본계 시모니안 농장 프레즈노 일본인 수용소 독립운동 다뉴바 LA한인회 블로솜 트레일 김인호 여행작가

2024.02.29. 19:59

썸네일

나소카운티, 3.1절 기념 유관순상 시상식

나소카운티 정부는 지난달 28일 나소카운티 청사에서 ‘3.1절 기념식 및 제4회 유관순상 시상식’을 개최했다. 유관순 열사를 기리기 위한 ‘유관순 상’은 재스민 펭(Jasmine Feng), 타라 니콜 토르보르그(Tara Nicole Torborg)가 받았다. 수상자들은 2000달러 장학금을 지원받게 된다. 문상인 충남북부상공회의소 회장은 감사장을 전달받았다.     [롱아일랜드컨서바토리]나소카운티 유관순상 3.1절 롱아일랜드컨서바토리

2023.03.01. 19:52

썸네일

"한인사회, 3·1절 계기로 화합·발전해야"

    "뉴욕 한인 동포사회도 3·1절을 계기로 화합, 단합하면 이루지 못할 것이 없습니다. 세대를 뛰어넘어 모두가 힘을 모으면, 세계의 모델이 되는 민족으로 발전할 것이라고 믿습니다."   1일 오전 맨해튼 뉴욕한인회관. '제104주년 3·1절 기념식'에서 연단에 오른 찰스 윤 뉴욕한인회장이 작심한 듯 목소리를 높였다. 최근 뉴욕한인회장 선거를 두고 불거진 갈등을 염두에 둔 발언이었다. 그는 "지난 몇 주간 가슴 아픈 분열을 뉴욕한인사회가 겪었다"며 "이제는 단합, 발전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제104주년 3·1절을 맞아 뉴욕 일원에서 기념행사가 이어진 가운데, 뉴욕한인회에선 3·1절을 맞이해 선거 관련 분열사태를 봉합하고, 화합하는 한인사회를 만들자는 의견이 나왔다.    유진희 대한민국광복회 뉴욕지회 회장의 독립선언서 낭독, 김의환 주뉴욕총영사의 대한민국 대통령 경축사 대독 등의 순서가 이어진 가운데 윤 회장이 먼저 선거 관련 사태를 언급한 것이다. 김 총영사 역시 "3·1절의 뜻을 기리며 한인사회가 마음을 모아 번영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가 끝난 뒤 윤 회장과 강진영(진 강) 뉴욕한인변호사협회 회장, 김광석 전 뉴욕한인봉사센터(KCS) 회장은 별도 자리를 마련해 최근 선거와 관련한 대승적 합의를 발표했다.   한편 이날 기념식에선 민병갑 뉴욕시립대 퀸즈칼리지 석좌교수가 특별강연을 진행했다. 그는 '일본의 한국 식민지 지배와 3.1절의 의미'를 주제로 강연하고, 일본의 사과를 요구하는 흐름을 극단적 민족주의로 치부하는 행태에 대해 비판했다.     뉴저지한인회도 이날 팰리세이즈파크의 한인회관에서 기념식을 열었다. 이창헌 뉴저지한인회장을 비롯해 한인회 주요 인사, 각 단체장들이 대거 참석했다.     이 회장은 "한인 2세들은 선열의 고귀한 뜻을 받들어 더욱 열심히 일해 성공하고, 전통을 후세에 전하는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폴 김 팰팍시장은 "독립을 위해 헌신한 선조들의 가치를 되새기고 기억해야 한다"며 "어려운 시기에 동포들이 가족처럼 지내며 미래를 열어나가자"고 다짐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엘렌 박 뉴저지 주하원의원, 김진성 버겐카운티 부셰리프, 존 호건 버겐카운티 클럭 등도 축사를 했다.     김은별·박종원 기자 [email protected]뉴욕 뉴저지 뉴욕한인회 뉴저지한인회 만세삼창 삼일절 3.1절

2023.03.01. 19:39

썸네일

제103주년 3.1절…뉴욕 곳곳에서 만세삼창

  제103주년 3.1절을 맞아 1일 뉴욕 일원 곳곳에서 기념행사가 열렸다. 맨해튼 뉴욕한인회관에서 열린 기념식에서 참석자들이 태극기를 흔들며 만세삼창을 하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이경로 전 뉴욕한인회장(제29대), 찰스 윤 현 뉴욕한인회장(제37대), 정병화 주뉴욕총영사, 이종원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뉴욕협의회장, 조병창 전 뉴욕한인회장(제19대), 김정희 전 뉴욕한인회장(제14대).  김은별 기자삼일절 3.1절 뉴욕 뉴욕한인회 한인회 찰스윤 미국

2022.03.01. 16:37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