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0 년 6 월 27 일, 어머니는 서울 혜화동 이모 집에서 걸어 걸어 인천 집으로 돌아 오셨다. 만일 다음 날 떠났더라면 아마도 어머니는 불귀객이 되었으리라. 6 월 28일 새벽 3 시 한강교는 폭파되었고 숱한 시민의 목숨을 앗아간 사건이 벌어졌기 때문이다. 서울에선 전쟁이 났다고 시민들이 난리법석을 떨었다. 피난을 떠나는 사람 들이 갈팡 질팡 길을 메우고 북새통을 떨었다. 어머니는 죽어도 가족과 같이 죽어야겠다고 생각을 하고 새벽녘에 이모 집을 나섰다. 그리고 저녁 밤 늦게 인천 집으로 돌아 오셨으니 100리 길을 꼬박 걸으신 것이다. 개나리 봇 다리 하나를 머리에 달랑 이고 인천 집으로 들어 오시자 어머니는 그만 몸을 가느지 못하고 쓰러 지셨다. 얼굴엔 땀과 흙 먼지에 쌓여 분장한 배우의 얼굴 처럼 참담하게 보였다. 아버지는 어머니의 몰골을 보시고 화를 버럭 내 셨다. “ 뭐 하러 내려 와 서울에 가만이 있지 .” “ 무슨 말을 그렇게 해요, 서울은 인민군이 처 들어 온다고 야단 난리가 났는데 죽어도 같이 죽자고 온 사람에게 무슨 말을 그렇게 해요.” 어머니는 힘 없이 중얼거렸지만 악에 받쳐있었다. 어머니의 죽어도 같이 죽자는 말은 우리 가족에게는 의미가 담겨있는 말이다. 나의 고향은 장화 홍련전으로 유명한 평안북도 철산 이다. 고향에서 우리 집은 2000석 정도의 부농으로 남 부러울 것 없이 잘 살았다. 그러다 1945 년 8 월 해방을 맞았다. 북에 공산 정권이 들어서자 우리 집은 초 죽음이었다. 공산 당원들은 아버지를 일제시대 때 일본놈의 앞잡이고, 농민을 착취한 반동 분자라고 몰아세웠다. 1 게다가 기가 막힌 일은 그렇게 순하고 착하던 우리 집 소작인들이 아버지의 목에 낫을 들이대고 생명을 위협했다. 소작인들은 공산주의라는 단어도 알리 없었다. 공산당원들은 소작인들을 혁명의 주체세력이라고 추겨 세우고 그들을 이용하여 우리 아버지를 죽이려고 했던 것이다. 공산당원들의 술수에 우리 가족은 죽음 앞에 설 수 밖에 없었다. 어느 날 낮 12 시 까지 집을 비우라는 통지 문이 우리 집 대문 앞에 붙었다. 집은 군 인민위원회 에서 접수 한다고 했다. 이들은 우리 가족을 고향에서 멀리 떠나 중강진 이라는 벽촌으로 이주 하라고 지시 했다. 반동분자는 과거 농민을 착취한 만큼 고통을 받으며 농사를 짓고 살아야 한다는 것 이었다. 아버지는 우리 가족을 데리고 남으로 떠나기로 결심 했다. 벽촌에 가서 고생고생 하다 죽으니 보다 죽기를 각오하고 자유를 찾아 남으로 내려 가기로 했다. 아버지는 남으로 내려간 주변 사람들의 이야기를 많이 알고 있었다. 아버지의 판단이 옳았고, 아버지는 현명했다. 우리 가족은 1948 년 7 월 초, 38 선을 넘어 자유 대한으로 내려 왔다. 그리고 조카가 살고 있는 인천에 터를 잡고 정착 했다. 그야 말로 월남 피난민이 된 것이다. 그런데 기구한 운명은 북에서 내려 온지 2 년 만인 1950 년 6 월 25일 공산당이 남으로 처 내려 오다니 북에서 도망하다 싶이 남으로 내려온 우리 식구는 불안에 떨 수 밖에 없었다. 그들은 북을 버리고 남으로 내려온 우리 식구를 반동분자라고 몰아쳐 죽이지 않겠는가 하는 두려움 속에 가족과 같이 죽겠다는 어머니의 기막힌 심정을 이해 할 수 있으리라. 그 때 나는 12 살이 였고, 인천 축현 국민학교 5 학년 이였다. 북에서 김일성의 인민 학교를 3학년 까지 다니다 남으로 내려왔기 때문에 북한 실정을 잘 알고 있었다. 내가 배운 북한의 국어 교과서에는 미군을 “ 양코백이 ”라고 증오하며 코를 크게 그려 놓고 미국 놈들을 다 함께 찔러 죽이자며 총 검으로 찔러 죽이는 장면이 수록되어 있었다. 2 산수 책에도 마찬가지로 10명의 미군을 인민군이 몇 명을 때려 잡으면 몇 명이 남는가 하는 식의 도전적이고 적개심을 불러 일으키는 전쟁 교육이 였다. 나는 남으로 내려와 그야말로 판이하게 다른 민주 교육을 받았다. 예를 들면 사과 10 개가 있는데 철수가 두개를 먹으면 몇 개 남지 하는 식의 교육에 나는 흥미를 느꼈다. 그런데 나는 이북 사투리 때문에 반 아이들 한테 많은 놀림을 받았다. 하여간 우리 가족은 피난 생활을 잘 꾸려가고 있었다. 아버지는 원래 장사꾼이 었다. 가족의 생계를 위해 인천 중앙시장 입구의 배다리라는 곳에 터를 잡고 고무신 장사를 했다. 배다리라는 곳은 원래 인천이 개항 직전 배가 닿은 곳이라 해서 배다리라고 불렀다. 그러다 대한 제국이 최초로 경인철도를 놓을 때 바다를 메우고 뚝을 쌓고 철로 다리를 만들었는데 그대로 배다리 라고 했다. 배다리는 지역적으로 육로로 서울에서 인천으로 들어 오는 관문이다. 주안에서 국도를 따라 들어 오면 배다리에 이르는데 사방 팔방으로 갈라지는 지점이다. 배다리 뚝 넘어는 바다 물이 들어 오는 갯벌이 였는데 방죽을 쌓고 흙을 메웠다. 그 터에 시장이 크게 형성이 되어 주변 촌락에서 모여드는 사람들로 붐볐다. 그러다 보니 시장이 점점 커저서 중앙 시장이 형성되었다. 철로 따라 올라 가면 동인천 역이 나온다. 우리 집은 동인천 역 못 미처 철로 뚝에 자리잡고 있었다. 어쩌다 기차를 타거나 내릴 떼에는 역 구내로 들어가지 않고 기차 철로로 되돌아 나와 뚝 밑인 우리 집 뒷 문으로 들어 오면 되었다. 동인천 역에서 위로 올라가면 내가 다니는 축현 국민하교가 있고 그 위로 더 올라 가면 맥아더 장군의 동상이 서있는 만국 곻원(지금의 자유공원)이 있다. 이 공원에 서서 인천 앞바다를 훤이 바라 볼 수가 있다. 배다리 철둑 옆에 파출소가 있는데 네거리 중앙에 자리 잡고 있어 파출소는 항상 소란했다. 그 파출소 바로 앞 길 건너에 우리는 공터에 판자로 가계를 짓고 고무신 장사를 하고 있었다. 3 당시에는 주로 검은 고무신이 였고 흰 고무신은 귀했다. 인천 주변 촌 사람들이 농사지은 쌀, 조, 보리, 닭 등 농산물을 가지고 와서 고무신과 바꿔가는 물물 교환의 수단이 많았다. 당시 나는 개구장이 였고 사고 뭉치였는데 우리가 하는 고무신 장사 보다 가계 앞 배다리 파출소에서 일어 나는 사건들이 흥미로웠다. 죄인들인지 많은 사람들이 파출소로 잡혀 들어 갔다. 얽어 매고, 수갑이 채워지고, 형사들이 발갈로 차고 줘어 박고 때리는 소리가 우리 고무신 가계까지 들려왔다. 그럴 때면 나는 호기심에 파출소로 달려가 창틈으로 안을 들여다 보곤 했다. 그런데 잡혀 오는 사람들이 도둑질한 사람 같지 않고 젊은 학생들이 많았다. 어느 날 파출소 안을 언 듯 들여다 보았는데 학교 반 친구의 누나가 잡혀 왔다. 인천 여중을 다닌다는 누나인데 형사들이 누나의 가방을 뒤집더니 무언가 종이 뭉치를 꺼내 얼굴에 들이 대고 큰 소리를 치는 것이었다. 그렇게 착하게만 보이던 그 누나의 살기스러운 눈매는 지금도 잊혀지지 않는다. 아마도 그 종이가 삐라였으리라. 나중에 안 일이지만 누나는 인천 여성동맹의 말단 세포였다고 한다. 인천에는 지방 빨갱이가 많았는데, 그중 명문 인천 중하교, 인천 여중 선생들이 많았다. 이들 공산주의 자들은 남노당 계열로 인민군이 인천에 들어오기 전에 사전 지하 공작을 하고 교란 작전을 했다고 한다. 7 월 초 어머니가 서울에서 내려 오신지도 몇 일이 지났다. 어머니는 어느 정도 회복이 되었는 지 얼굴에 화색이 돌았다. 소식통에 의하면 서울은 인민군이 들어와 완전 빨갱이 나라가 되었다고 했다. 그런데 인천은 아직 인민군은 들어 오지 않았다. 시내는 너무 조용했다. 배다리 파출소는 텅 비어 있었다. 4 정막이 흘러 소름이 돋았다. 어느새 배다리 파출소의 경찰들은 하나 둘 사라지고 보이지 않았다. 지금 당장 무슨 일이 벌어질 것 같은 적막감이 들어찼다. 밤이면 북쪽 멀리에서 섬광이 번득이며 포 소리가 들려왔다. 그럴 때면 아버지와 어머니의 얼굴이 흙 빛으로 변했다. 공포에 떨고 있었다. 나는 그 당시 이데올로기가 무엇인지 몰랐다. 12 살 짜리가 민주주의와 공산주위를 알리가 없었다. 헌데 전쟁이 나고 우리가족에게 어떤 재앙이 닥쳐 온다는 사실은 느낌 으로 알 수 있었다. 7월의 태양은 강열하게 초목을 불 태우고 있었다. 서울이 함락되고 인민군은 남으로 진격하고 있었다. 인천은 비껴가고 있었다. 그저 낙동강을 향해 진격 했다. 부산을 점령하면 전쟁은 끝나는 것으로 믿고 밀어 붙첬다. 인천의 소시민들은 전쟁은 어떻게 되건 살기 위해 예나 다름 없이 부단이 움직이고 있었다. 촌 사람들은 쌀이며, 보리며, 감자 고구마를 가지고 중아 시장으로 몰려왔고, 우리 집은 고무신 장사를 계속했다. 장사가 잘되다 보니 얼마 전 가계에 도둑이 들었다. 가게 판자를 뜯고 고무신을 훔쳐 간 것이다. 그래서 나와 아버지는 가계를 지키기 위해 저녁이면 가계에 나가 잠을 잤다. 저녁을 먹고 나면 나는 아버지와 함께 가게로 나가 공부를 하고 아버지는 하루 매상 장부를 정리하다 늦게 잠자리에 들었다. 그 날밤 나와 아버지는 삶과 죽음의 기로에 서 있었다. 아니 죽음을 맛 보았다. 새벽이 었을가 멀리서 굴렁쇠 소리가 들려왔다. 멀리에서 희미하게 소리가 들리더니 점차 소리가 거칠게 울려왔다. 틀림 없이 인민군 전차였다. 인민군 6 사단의 전차들이 인천으로 들어오고 있었다. 아무런 저항도 없었다. 저항을 받을리 없다. 썰물이 빠져 나가듯 인천엔 국군의 흔적도 없이 후퇴를 했으니 말이다. 5 덜컹거리는 전차가 배다리 앞까지 와 섰다. 어느 쪽으로 갈까 사방 팔방으로 나 있는 길을 선택하기 위해선지 전차는 정지하고 포신을 좌우로 돌리고만 있었다. 나와 아버지는 판자 문틈 사이로 밖을 내다 보았다. 분명 인민군 전차였다. 바로 눈 앞에 보이는 집채만한 인민군의 전차가 서있는데 공룡같이 보였다. 앞에는 포신이 하늘을 찌르고 있었다. 또 뒤에서 덜컹거리는 쇳 소리가 들려 왔다. 계속 전차가 들어 오고 있었다. 그런데 제일 먼저 나타난 전차가 갑자기 배다리 파출소를 들이 받는 것이 었다. 파출소가 부서지는 파열음의 소리는 엄청나게 울려 퍼졌다. 벽돌로 쌓은 파출소가 구멍이 뻥 뚫리더니 전차가 파출소 안으로 쑥 들어가 버렸다. 파출소는 완전 박살났다. 그리고 뒤로 후진이 잘 되지 않는지 강한 엔진소리가 나더니 전차가 뒤로 빠른 속도로 쑥 빠져 나오면서 나와 아버지가 있는 우리 가계를 덮쳤다. 순간이 었다. 나와 아버지 는 전차에 깔려 죽는 줄만 알고 납작 엎드렸다. 전차는 가계 집웅을 날려 버리고 전차 바퀴 사슬이 나의 눈앞에 까지 닦아와 정지 했다. 한 뼘 정도의 거리에서 전차의 굴렁쇠가 멈추었다. 나와 아버지는 꼭 껴안고 이제 죽는 구나 생각 하며 몸을 떨었다. 그런데 전차가 눈 앞에서 정지 했다. 어떻게 그럴 수가 있을까. 지금 생각해도 이상했다. 하느님이 나와 아버지를 지켜 주신 것이라 믿었다. 얼마 후 전차의 뚜껑이 열리더니 인민군이 머리를 내 밀었다. 그리고 전차 위에 실린 벽돌을 발로 흘터 내고 있었다. “동무 ! 쌍 간나 새끼들 한 놈도 없어 ! ” 인민군의 말 소리가 들렸다. 함경도 말씨였다. 전차 안에 있는 동료 병사에게 말을 하는 것 같았다. 그리고 전차는 인천 부두가 방향인 신포동 쪽으로 올라갔다. 6 전차의 굴러 가는 소리가 멀어져 갔다. 다시 정막이 왔다. 무서웠다. 나는 온 몸을 가느지 못했다. 아버지는 더했다. 돌 부처 모양 꼼작 달삭 못 하셨다. “ 아버지 !” 나는 아버지를 불렀다. 그제서야 아버지는 정신이 드시는지 나의 손을 꼭 잡으신다. 그렇게 한 두어 시간을 보냈을가, 새벽이 닦아 왔다. 아버지는 부셔진 문틈으로 밖을 내다 보았다. 새벽 거리는 싸아하고 짙은 안개에 쌓여 있었다. 아버지는 도둑 고양이 모양 사방을 드리번 거리시더니 나의 손을 잽 사게 잡아 끌었다. 그리고 가계 문을 열고 밖으로 튀어 나왔다. 한길에는 아무도 없었다. “ 빨리 가자. ” 나와 아버지는 달렸다. 죽음의 장소에서 탈출 하듯 박살 난 파출소며 부서진 가계를 뒤로 하고 달렸다. 집 쪽으로 뛰었다. 어떻게 달렸는지 모르게 집에 와서 문이 부서저라 두들겼다. 놀라며 문을 열어주는 어머니를 제치고 안으로 들어갔다. 아버지와 나는 마루에 누워 헐덕 거리며 숨을 몰아 쉬었다. 시간이 지나니 좀 진정이 되었다. 정말 죽을 고비를 넘긴 것이다. 그사이 학교에서 통지가 왔다. 학교에 나오라고는 소집 통보였다. 나는 학교에 갔다. 학생들이 얼마 없었다. 순해 보이던 학교 선생님 여럿이 학교에 나와 내무서원인지 인민군인지 지시를 받고 있었다. 집에 와서 선생님의 이야기를 아버지에게 했더니 전부터 빨갱이였었나 보다 하셨다. 아버지는 나에게 말조심하라고 이루셨다 .그래서 북한 사투리를 숨겼다. 흑시나 나로 인해 월남한 가족으로 들통나면 어쩌나 하고 어린 생각에도 조심했다. 하여간 나는 북한에서 배웠던 “ 김일성 장군 ”의 노래며 인민군 군가를 다시 배웠다. 우리는 발을 번쩍 들어 올리는 인민군 제식 훌련도 받았다. 김일성의 항일투쟁 교육도 받았다. 7 다른 아이들은 신기했을지 모르지만 나는 지루했다. 얼마 후 놀란 사실은 파출소에 붙잡혀 고역을 치른 학교 반 친구 누나가 민족 해방의 승리자로 영웅 칭호를 받고 앞장 서서 인민의 반동 분자들을 색출하며 다녔다. 경찰관 , 국군의 가족을 색출하고 나선 것이다. 소름이 끼첬다. 우리는 인민군 전차에 박살난 고무신 가계를 다시 수리하고 장사를 계속했다. 중앙 시장은 여전이 사방에서 사람들이 몰려들어 상거래를 하고 있었다. 8월 달을 들어 서면서 공산 당원들은 바삐 움직였다. 공산 당원들은 마구잡이로 시민들을 노력동원에 끌고 나갔다. 낙동강 전선에 이상이 생겼는지 사람들을 잡아가고 의용군으로 잡아갔다. 아버지는 나이 때문인지 의용군은 면하고 노력동원으로 뽑혀 월미도 공사장에로 끌려 다녔다. 월미도를 요새화하기 위해 진지 구축 작업을 한다는 것이었다. 월미도에 포대를 세우는 진지작업인데 인천의 수많은 사람들이 동원 되었다. 때로는 소 월미도에도 진지 작업을 했다. 인민군은 월미도를 요새화 했고 언젠가는 연합군과 일전을 하리라고 예측을 한 것 같았다. 8월이 다 지날 무렵 인민군은 발악했다. 나이를 불문하고 의용군을 뽑아 갔고, 노력 동원에 극성을 부렸다. 아버지는 핑계를 대고 노력동원에 빠졌다. 그리고 집 뒤 기차 뚝 아래에 방공호를 파기 시작했다. 여차하면 가족이 들어가 숨을 장소를 만들었다. 그 때에 삼촌이 시골에 숨어 있다 우리 집에 찾아 왔다. 한 다리에 붕대를 칭칭감고 지팡이를 집고 들어 왔다. 생 발바닥을 칼로 찔러 상처를 내고 환자로 위장한 것이다. 나는 놀랬지만 좋아 하는 삼촌이라 신이 났다. 삼촌의 말로는 낙동강 전선에서 인민군 이 무너지고 있다는 소식이였다. 얼마 후 유엔군의 대 반격이 있으리라고 귀뜸을 해 주었다. 하늘 높이 비행기들이 햇빛에 반사되어 번득거리며 날랐다. B 29 라고 했다. 8 내가 가장 좋아 했던 비행기는“ 쌕쌕” 이 젯트기인데 어느 사이에 나타났는지 “씽” 하는 소리가 들렸다 하면 비행기는 벌서 저멀리 날으고 있었다. 점점 비행기가 나타나는 횟수가 많았다. 인민군도 “ 쌕쌕”이가 나타나면 공포에 떨며 민가에 뛰어 들어가 숨거나 마차 밑으로 몸을 숨겼다. 그런데 중앙시장에 비극적인 일이 벌어 졌다. 하루는 “ 쌕쌕 ”이가 중앙시징을 한 바퀴 돌더니 갑자기 중앙시장의 수 많은 시민들을 향해 기총 소사를 하고, 네이판 폭탄을 투하 한 것이다. 다들 “ 쌕쌕 ”이를 좋아 하던 시민들이었는데 무슨 변고인지 알 수 없는 일이었다. 그 시장에는 인민군도 없었고 전쟁물자도 없었다. 시장은 아수라장이 되었다. 장사를 하고 있는 상인들에게 폭탄을 퍼 부었으니 숫한 사람들이 죽었다. 비행기가 떠난 후 나는 시장으로 달려가 보았다. 피가 넘처 흘렀다. 정말 처참 했다. 어느 누가 나서는 사람이 없었다. 그 때부터 나는 그렇게 좋아하던 “ 쌕쌕”이가 싫어 졌다. 전쟁은 어느 쪽이든 믿을 수가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시민들은 기아에 허덕이기 시작했다. 먹을 것이 없었다. 인민군은 공출이라고 해서 현물세를 받았는데 곡식을 몽당 빼앗아 갔다. 어머니는 가족의 연명을 위해 보리 죽을 끓으시느라 고통이 이만 저만이 않이 었다. 보리 죽도 없었다. 고구마 줄거리에다 호박을 넣고 호박 죽을 끓으셨다. 그렇게 입에 풀칠을 하면서 하루를 살아만 했다. 나는 정말 고구마 줄거리에다 호박을 넣은 호박 죽이 싫었다. 그래서 호박죽을 슬적 버리다가 어머니한테 호되게 야단을 맞기도 했다. 어느덧 가을의 한기가 스며 들었다. 가끔 아버지는 나를 데리고 만국공원으로 갔다. 아버지는 그곳에서 인천 앞바다를 내려다 보시면서 의미 심장한 얼굴을 하시었다. 그런데 그전에는 볼 수 없었던 함정들이 인천 앞 바다에 빼곡이 들어 서 있었다. 그렇게 많은 함정을 나는 본적이 없다. 마치 바둑판에 바둑알이 잔득 깔려있는 것 처럼 함정들이 인천 앞 바다에 깔려 있었다. 9 어느 날 부터 아버지는 집 밖을 나가는 것을 금 했다. 우리 집은 점점 밖의 세상과 차단을 하면서 지냈다. 집을 비우고 철로 둑에 파 놓은 굴속에 들어가 숨어 살았다. 고무신 가계도 아에 문을 닫아 버렸다. 전쟁 막판에 지방 빨갱이들이 너무 무서웠다. 1950 년 9 월 15 일 새벽. 아버지의 예감이 들어 맞았다. 맥아더 장군의 인천 상륙 작전이 시작 되었다. 세계 대 전사에서 유례가 드문 작전이 시작된 것이다. 인천 앞 바다는 상륙작전하기에는 좀 힘든 곳이다. 썰물 때 인천 앞바다 갯벌이 최고 3.2 KM 나 노출되어 합정이 상육 지점 까지 접근 할 수가 없다. 그리고 인천 항의 간만의 차는 평균7 m 에서 심 할 때는 10m의 어려운 조건이다. 그러나 이런 악조건 속에서도 성공적인 인천 상륙 작전 만큼 통쾌한 순간은 없었다. 연합군 비행대는 월미도 제방 위에 설치해 놓은 인민군 장갑차를 일시에 폭파 시켰다. 그리고 소 월미도와 월미도 전체를 융단 폭격을 시작했다. 건너편 인천항 포대에서 인민군의 응사가 있었으나 함포사격과 비행기의 공중 폭격으로 이내 저항이 사라 젔다. 깊은 밤에도 함포 사격은 계속 되었다. 인천시 전체를 융단 폭격을 하고 있었다. 바다 쪽에서 부터 시내 안 쪽으로 1m 간격으로 폭격해 들어 오고 있었다. 우리가 숨어 있는 방공호 가까이 함포가 터지는 소리가 들려왔다. 철 뚝 방공호 근처까지 함포가 터 졌다. 포탄 파편이 푸드득 푸드득 풍뎅이 소리를 내며 날아 다녔다. 방공호 입구에 막아 놓은 기차 쇠 바퀴에 파편이 부디 치는 쇳 소리가 쨍쨍하고 울려 퍼졌다. 아버지는 지혜로으 셨다. 북에서 남으로 내려온 것, 기차 바퀴로 방곻호 문 앞을 막은 것은 정말 잘 하신 것이다. 그 기차 바퀴가 우리 가족의 생명을 구해 주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우리 가족은 방공호 속에서 이불 을 뒤집어 쓰고 하느님에게 기도를 올렸다. 어머니가 기도를 하고 나면 아버지가 하고 그렇게 함포가 터지는 가운데에서 기도 만을 했다. 그 함포 폭탄이 방공호 주변에 터지고 파편이 난무하고 있는데 우리 방공호 입구에 검은 물체가 닥아 와 섰다. 얼마나 급했던지 그 물체는 허락도 없이 우리 방공호 안으로 들어왔다. 10 그 물체는 다름 아닌 인민군이 었다. 인민군은 장총을 들고 있었다. 아마도 월미도 진지에서 겨우 살아나 시내로 탈출한 모양이다. 서울방향으로 가자니 자연 기차 철로를 따라 가는 것이 정확하다고 판단을 해서 서울로 향하다 함포 사격 으로 더이상 갈 수가 없어 우리 방공호로 기어 들어 온 것이다. 우리는 긴장을 했다. 흑시나 우리 식구 모두 다 쏴 죽이고 가면 어쩌나 하는 두려움에 떨었다. 그러나 어머니는 침착했다. 그리고 사랑이 가득했다. 인민군의 손을 잡고 이불 속으로 끌어 들였다. 우리 식구와 합께 이불 속에 머리를 밖았다. 어머니는 기도를 했다. 기도를 하는데도 함포 사격은 계속되었다. “ 하느님 이 불상한 자식을 살려 주시고, 하느님의 사랑 속에서 편안이 목적지 까지 인도해 주옵서소 아멘.” 어머니의 기도 속에 목적지는 인민군의 고향을 말하는 것이리라. 어머니는 간절히 빌었다. 얼마의 시간이 지났다. 조용해 졌다. 함포 사격이 멈춘 것이다. 우리 가족은 머리에 쓴 이불을 걷어 올렸다. 방공 호에는 우리 6 식구 외에 인민군이 함께 있었다. 낯선 인민군은 어머니의 손을 잡고 울고 있었다. 인민군은 어려 보였다. 17 살 정도의 누나 나이 또래였다. 우리는 어떻게 할 수가 없었다. 어머니는 인민군을 쓸어 안고 빨리 떠나라고 나직이 말을 했다. 어머니의 떠나라는 말은 고향의 부모한테 가라는 말인 듯 했다. 인민군은 아무 말 없이 방공호 밖으로 나 갔다. 아직도 밖은 캄캄한 밤이었다. “ 잘 가시요. 조심 하고. ” 어머니가 먼저 말을 했다. “ 잘 계시라요. 고맙스다레. ” 인민군은 철로를 따라 엄둠속으로 사라젔다. 우리 가족 모두가 허망하고 허탈한 마음이 었다. 방공호 속에서는 이불을 같이 들러 쓴 인민군의 생사에 마음이 아팠다. 살아 고향 부모에게 갈가 아니면 도중에 죽을가. 새벽 동이 텄다. 무섭고 두려웠던 어둠은 가시었다. 더 이상 함포 사격은 없었다. 11 그 무서운 함포 사격에서 우리 가족은 살아 남았다. 아마도 어머니의 간절한 기도가 하느님이 응답을 해주신 것이다. 우리 식구는 방공호의 공포에서 벗어나 피난을 가기로 했다. 우리 식구는 각자 물건을 챙겨 가지고 집을 나섰다. 포화 속에 시내는 불타고 있었다. 짙은 안개 속에 앞이 보이질 않았다. 거리에는 아무도 없었다. 다들 피난을 갔는데 바보 같이 우리 식구만 함포 사격속에서 살아 남았다. 우리는 주안 쪽 수봉산 절로 가기로 하고 발을 옮겼다. 얼만큼 갔을가, 송도 쪽에서 군대 행열이 인천 시내로 들어 오고 있었다. “ 어느 쪽 군대야 .” 하고 아버지가 물었다. “ 미군인데 .” 삼촌이 재 빨리 대답을 했다. “ 그러면 다시 돌아 가야 겠네. ” 어머니가 오랜 만에 미소를 지우며 말했다. 다시 집으로 돌아 오는데 어디에 숨어 있다가 나타 났는지 많은 사람들이 창고를 털고 있었다. 인민군이 소유했던 창고며, 빈 집을 털고 있었다. 비단과 광목을 들고 다니는 사람, 쌀을 포대로 지고 끙끙거리는 사람 시내는 무법 천지가 되었다. 나도 잽사게 창고로 달려 갔다. 무엇이나 집어 올려고 어머니가 말리는 것도 모른체 하고 집 근처 창고에 들어갔다. 창고에 들어 가니 창고는 텅 비어 있었다. 이미 인민군이 다 가지고 간 빈 창고 였다. 그렇게 많던 물건들이 하나도 없었다. 나는 그래도 흑시나 하고 빈방을 이리저리 들러 보다가 이상한 소리를 들었다. 분명 사람의 소리였다. 소리 나는 쪽으로 살금 살금 가 보았다. 주위에 피 자국이 있고 피 묻은 옷가지가 흩어져 있었다. 나는 가만이 서서 귀를 귀우렸다. 12 “ 동무 어떻게 하면 좋겠오 ?” 사람의 목소리가 나즉이 들렸다. “ 군관동무, 나도 모르겠습니다. ” 울먹이는 소리였다. 나는 겁이 덜컥 났다. 함포 사격 때 방공호 속으로 들어온 인민군이 생각 났다. 나는 밖으로 튀어 나왔다. 마침 해병대 아저씨들이 길 양쪽으로 갈라 서서 행진하고 있었다. 나는 해병대 아저씨 앞으로 달려 갔다. 그리고 벽돌 집 안을 손으로 가리켰다. 해병대 아저씨는 너무도 빨리 알아 차렸다. 나의 손 끝을 보더니 몇 명의 해병을 데리고 벽돌 집 안으로 날렵하게 들어 갔다. 얼마 만인가 안에서 총소리가 “ 탕 탕 ” 울렸다. 나는 깜작 놀랐다. 인민군이 죽는구나 그런데 얼마 후 두명의 인민군이 두손을 높이 들고 나오고 있었다. 한 명은 장교 바지를 입고 또 한명은 군복을 아에 벗어 버리고 내의만 입고 있었다. 마음이 씁슬했다. 어제 저녁 방공호 속으로 살려고 들어온 인민군 이나 별 다름 없는 군인들이 었다. 이제 1950 .6.25 전쟁은 60 년이라는 긴 시간이 흘렀다. 나는 그 때 인연을 맺었던 모든 사람들의 얼굴이 그리워 진다. 내 나이 70이 넘었으니 그 때 사람들은 거지반 세상을 떠 났으리라. 그리고 6. 25 전쟁의 흔적은 하나하나 사리지고 그 때의 아픔을 망각하고 있는 현실이 되어 가고 있다. 전란 속에서 살아 남은 인생의 무상 함, 동족 상잔의 민족 비극이 이 땅에 다시는 일어 나지 말아야 할 것이다. < 끝 >
2010.07.20. 15:41
I was so frightened and shocked when I heard the news that the navy vessel Cheonan of South Korea was attacked by North Korea and 46 soldiers in the vessel were lost. While the Korea government performed the examination of what caused the catastrophe, I saw the U.S. government help the Korea government all the while. It was so impressive that the two countries worked together. So I have thought about the alliance between the two nations and why it is so important. The alliance between South Korea and U.S.A. has been strong and important in both history and in the present. When the Korean War took place from June, 1950 to July, 1953, approximately 36,940 American soldiers died trying to defend South Korea from communism. With the help of the American soldiers, South Korea could keep democracy and be a free country. Since then South Korea has developed economically and politically while North Korea still remained the same as a poor country under a dictator ship. If South Korea had been suppressed under communism, South Koreans would not have freedom of expression, religious freedom, any kind of rights, and they would be all equally poor and miserable. This time again in March 2010, when Cheonan was attacked by North Korea, the U.S. government supported South Korea in every side. The strong alliance between South Korea and U.S.A. is still effective and supportive to each other. When the Hurricane Katrina hit the south-eastern coast of America in August 2005, there was a big disaster. The hurricane was one of the five deadliest hurricanes in the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1,836 people lost their lives and thousands of displaced residents were in desperate condition. But who came to the rescue? South Korea! South Korea provided displaced residents with money to recover and rebuild shelters. South Korea and U.S.A. protect each other according to the alliance. Imagine this; if America is under attack by another country, South Korea would surely fight back the other country. Also it‘s vice versa; if South Korea is attacked by the communists of North Korea, America would fight back North Korea, too. If either country is in trouble, they would help each other. This explains why the alliance is so helpful. The alliance between South Korea and U.S.A. also shows a good example to all other countries. In my mind I think it explains that every city, country, and continent should unite so that the world can be a better place. Cooperating is always better than competing, because like everyone always says, “Two heads are better than one.” So the two countries take part in building a better world through their strong alliance. As in the videotaped message of President Obama at the Korea Society 2010 Annual Dinner in New York, he said, “the alliance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Republic of Korea is needed now more than ever… you have the full support of your friend and ally,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I believe it’s true. All we need to do is strengthen the alliance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In this way both countries can exceed to greatness such as being world power leaders.
2010.07.20. 15:33
1950년 3월 2일 찬란한 햇빛과 맑은 공기로 꽉찬 아침 운동장 조회때 교장선생님께서 각 학년 반 담임 선생님을 발표했다. 우리 선생님의 성함은 탁인섭 선생님이셨다. 조회를 마치고 교실에 들어오니 선생님께서는 이미 들어와 계셨다. 출석을 부르시며 미소띤 얼굴로 우리를 바라 보셨다. “여러분, 오늘 부터 함께 생활하게돼 반갑습니다. 앞으로 공부를 잘해야 겠어요.” 선생님을 간단히 소개하면 평양에서 서울로 오셔서 여기까지 오셨다고 하셨다. 평양에서 남부럽지 않데 살던 가족은 북한이 공산정권에 들어 서게 되면서 아버지가 지주래서 공산당에게 끌려가 재산을 다 빼앗기고 억울하게도 학살을 당했다고 하셨다. 어머니께서는 슬픔을 참지 못하고 분개해 대동강변으로 뛰쳐나가 절망중에 신음하시가 결국 쓰러져 처함하게 돌아가셨다. 나는 남동생과 안식구, 딸아이와 북한에서 살수가 없어서 북한을 탈출해 남동생은 서울에서 학교를 다니게 됐다. “여러분을 만나게되 참으로 반갑습니다.” “여러분들 집에사거 부모님께 서신을 드리세요.” “불학불식한 소생이 귀댁의 자녀들의 교육을 맡게되 양 어깨가 무겁습니다. 하오나 사도정신에 어긋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란 간단한 글을 써 주셨다. 우리들은 깜짝 놀랐다. 북에서 오셨다는 말씀, 괴로느런 삶은 너무나도 안타까웠다. 그 날 수업을 마치고 집에 돌아와 어머니께 말씀 드렸더니 “이럴수가! 선생님께서 고생이 많으시구나” 하시면서 안타까운 표정을 지으셨다. 학교 관사에 사시게 된 선생님께 간장, 된장, 고추장, 장아찌 등 밑반찬을 보내드렸다. 선생님께선 학교에서 실시하는 가정방문을 하시면서 어린이 교육에 참고하시는 훌륭하신 선생님이셨다. 때마침 농번기 방학을 하였는데 학교에서 급히 오라는 연락이 와서 달려 갔더니 “금석아, 우리 가족 너희집에서 올 여름만 지내면 안될까? 지금 부모님 어디 계시니?” “오늘 저희집 모심는 날이에요” 라고 대답한 후 집에 돌아오면서 곰곰히 생각하니 정말 걱정이 되었다. 논으로 달려가 아버지를 불렀다. “아버지, 선생님께서 올 여름을 우리 집에서 지내고 싶으시대요. 어쩌면 좋아요?” “선생님 사정이 그러시다니 어쩌겠니? 걱정하시지 말고 오시라고 지금 곧 달려가 말씀 여쭤라” 나는 죄송하고 감사한 마음으로 단숨에 달려 갔었다. 그날 석양에 선생님께선 이불 봇짐을 메시고 사모님은 아기를 업고 오셨다. 우리 부모님께서는 정성껏 저년 식사를 대접하셨다. 선생님 내외분 염려마시고 내집처럼 편히 쉬시도록 안방을 내드렸다. 우리 부모님께선 밤마다 선생님 내외분과 밤이 깊어가는 줄도 모르시고 대화를 하셨다. 나는 중학교에 진학 꿈을 이루려 동아전과, 모범전과 두 권을 읽고, 쓰고, 외우고 호롱불 밑에서 12시를 넘겼었다. 한번은 ‘무슨 얘기를 저렇게 밤마다 하실까?’ 하는 생각에방문 앞에 가서 얘기를 들어보니 북한에서 핍박 받으며 살아온 얘기, 언제 죽을지 절망 속에서 살아온 얘기 부모님들의 참혹한 죽음, 죽음을 각오하고 무릅쓰고 월남한 얘기 내친김에 일본까지 가려했으나 여기 전북 진안군에 머물고 보니 지하랑 소굴이어요. 사모님은 훌쩍 우시고 선생님께서도 목 메인소리로 머지 않아 북한 괴뢰군이 여기까지 쳐들어 올테니 몹씨 걱정이야유. 며칠후 동네 사람들이 모정에 모여 봉두씨땍에 와 있는 선생은 학교 관사로 가시도록 하자는 논의가 있었다는 것이다. 이주일이 되어 공산당은 지서와 면사무소에 쳐들어와 각 마을 지하당원을 파악하고 연락망을 조직 했다는 것이다. 지서장과 순경들 면장과 직원들은 피신하고 목사님은 끌려가 총살당했고 지하당원 집은 제외하고 우리동네에서는 우리집에만와서 시계와 금품을 내 놓으라고 괴롭혔다. 동네 청년과 우리반 아버지들은 지하당원으로 밤이면 전기줄 끊고 다리 끓는일을 계속 해오던때 동네 친절한 분들은 걱정을 했다. 봉두씨네 댁에 아마 서울에서 경찰관인 형들 또는 검찰청 근무하는 조카들이 온건지도 몰라. 날만새면 수근거리며 우리집의 감시를 받던중 드디어 아빠께서 당원들에게 끌려가 구금되었었다. 여름방학중인데도 인민군 노래 배우라고 등교를 하라 하였다. 학교가는길에 도시락을 갔다드리며 창백하여진 아빠얼굴을 뵈오니 송구스럽고 안타깝기 그지없다. 아버지께서 지금 고통 당하시는 것은 우리선생님의 가족들이 우리집에서 지내셨기에 동네 사람들의 오해와 의심을 샀기 때문이 아닌가? 난 엄마뵈올 염치가 없었다. 며칠후 엄마께서 해질녘에 취나물 무침을 갖고 친형제 처럼 지내는 최창근씨댁 대문안에 들어서자 어쩌면 좋으니 화를 면할 방법이 없을까? 창근씨의 할머니 음성이 어렴풋이 엄마귀에 들려 왔었다. 이모님, 방금 그 말씀 무슨 뜻이에요? 잘은 내 몰라도 지서에 갇힌 사람들 오늘밤에 차에 실려 계곡으로 가면 죽엄을 면할길이 없대, 어마나 이게 무슨일이래요. 엄마는 그 자리에 주저앉고 말았었다. 집에 돌아 오셔서 우리들을 끌어안으시고 통곡을 하셨다. 새벽녘에 “여보 나야” 들릴 동 말 동 아빠의 음성이 들려 왔다. 한숨 자지 않고 온 식구들은 불안에 떨고 있을 때 쉬잇 조용히 방에 들어오시지 않고 그 길로 어디 먼 곳으로 가셨다. 천우 신조로 살아 오셨다고 어머니께선 하나님께 기도로 날을 샜다. 어머니께서 산고개를 넘고 넘어 금광에 은신해 계시는 아버지께 이틀에 한 번씩 도시락을 날랐다는 것이다. 괴로 장들은 끌려간 양민들을 한 줄로 세워 놓고 총을 쏘았을 때 총알에 맞기 전에 맞은 사람과 같이 쓰러져 살아 돌아 오셨단 이야기를 얼마 후 들은 바 있었다. 공산당은 “신봉두 간나 새끼가 없어졌는데 내놓으라우, 어디메다 숨긴 거야?”소리소리 지르며 갑자기 총부리를 들이대어 깜짝 놀라신 어머니는 동생을 업고 내손을 잡고 성화대는 공산당을 따라 을미산 밑에 가서 금석 아버지 소리쳐 불러도 아무런 반응이 없으니 오늘은 해가 저물었으니 내일 찾아보자고 한 동네 사는 우리 반 강계순의 아빠가 당원들을 납득시켜 집에 오게 되었다. 금광에서 아빠는 굶주림과 고뇌에 시달려 사경에 이르렀다. 또 한편 옥구군 미면 미룡동에서는 양민을 붙잡아다 깊은 우물에 투신하고 돌로 눌러 인간 젓을 담던 잔인무도한 공산당 들이었다. 또 창고에 여름 내내 가두어 두었던 수십 명을 불러내어 괭이와 고갱이로 찍어 죽여 소금을 끼얹었다니 잔인무도한 괴로 도당 들이었다. 그러자 추석이 돌아 왔는데 동네 아낙네들이 여기 저기 모여 수군거렸다. “공산당들이 쫓겨 가고 있데, 국군들이 돌아오면 우리 동네 아저씨들은 어떻게 될까!” 근심 띄운 음성들이었다. 이분들은 지하당원 아내들이었다. 16개국의 유엔 참전 용사들의 고귀한 희생과 헌신으로 낙동강 전선에서 공산당들은 후퇴하게 되었다. 공산당들은 닥치는 대로 총을 쏘아 양민들을 죽음으로 몰아 넣었다. 산에서 나무하다가 산촌 사람들은 마당에서 콩타작 하다가 날아온 총알에 맞아 죽은 사람이 많았다. 우리 가족들도 마당에서 콩타작 하다 죽을 뻔 했다. 우리집 왼편 산등성이에 총대를 메고 누리끼리한 군복차림에 힘빠진 걸음 거리로 지나가며 총성을 울릴때마다 심장이 멎을 것 같았다. 몇개월이 지나 추운 겨울이 왔다. 동네 청년들과 지하 당원은 지리산으로 들어가 빨치산이 되어 공산당 행각을 했다. 이들은 쫓기는 북괴들과 합류하여 이북으로 가지 못한 사람들이다. 빨치산으로 지리산까지 못간 잔당들은 마을에서 가까운 곳에서(산) 지내며, 밤이면 내려와 소, 돼지, 양식등을 빼앗아 가며 어느땐 제사 지내기 위해 준비한 제물도 다 가져가기도 했다. 그들은 동상에 걸려 고생도 했다고 했다. 몇개원후 중공군의 참전에 따라 연합군이 대규모로 퇴각한 사건으로 1951.1.4 일은 서울을 공산진영에 빼았겼다. 이 때 국민들은 하루 바삐 서둘러서 쌀을 볶아 가루를 장만하고 피난 준비에 애를 썼다. 엄동 설한의 피난준비는 그때 들은 어머니 말씀으로는 오금이 절였었다고 하셨다. 그때 일을 생각하고 이글을 쓰니 손이 자꾸 떨리는구나! 그후 8개월이 지나 맥아더 장군의 진두지휘아래 유엔군의 도움으로 서울을 다시 찾게 되어 전주, 광주, 대구, 부산 등지로 피난 살이 했던 경기도민, 서울 시민들은 역경에서 벗어나 서울로 입성하게 됐을 때 집은 불타 없어진 사람이 있는가 하면 학교 공장, 대규모의 빌딩의 파괴 부모 잃은 전쟁 고아가 수백만에 이르고 달했고 목숨 바친 국군과 유엔군도 수 백 만 명에 이르렀다. 6.25전쟁이 우리 민족에게 준 상처는 오늘까지 깨끗이 아물지 않았다. 대한민국의 일꾼들은 살기 좋은 국가 건설에 힘을 다했건만 지금껏 조국통일을 이루지 못한 채 남한과 북한으로 분단된 국가로 세계인들이 주시하고 있어 부끄러운 마음으로 살아가고 있으니 이 어찌 한탄스럽니 않을 소냐. 그런데 이번 황당한 천안함 사건 이 어찌 된 일인가 통탄스럽기 그지없구나! 정부나 국민이 안보 불감증을 벗어나지 못한 탓이 아닌가 천안함 사건이 유엔 안전보장 이사회에 공식회부되어 천안함 사건을 유엔 안보리에서 다뤄줄 것을 암보리 의장국에 제출했다는 것 북한의 어뢰공격에 의한 것임이 민군 합동조사단의 조사결과 명백히 드러났다 하여 유엔 안보리가 이번 북한의 군사적 도발에 엄중하게 대응해 줄 것을 요청하고 이번 북한의 공격행위를 규탄하고 사과와 재발방지를 촉구하는 내용의 일반 결의안을 추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고 하는데 우리 정부에서는 그렇게까지 되도록 안보에 무관심하며 살고 있었을까. 발을 굴러 땅을 치며 후회하지 않을 소냐. 정부나 정부요인들, 국민 모두가 안보 불감증에 사로잡혀 살고 있지 않은가 나는 그러면 73세가 되도록 대한민국 여인으로 조국과 민족을 위해 살아오는 동안 하여온 일이 무엇인가 반성하여 보지 않을 수 없다. 학생들에게 달리는 투사와 같은 용기와 끈질긴 인내와 불같은 집념으로 숭공통일을 위해 일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인류공영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우수두뇌로 성장시키기에 노력하여 왔으며 해마다 6월이 오면 반공교육 행사에 힘썼다. 실천사항으로 학년(전학년)초부터 숭공일기쓰기를 실시하여 우수학생 학급당 3~4명을 선정하여 표창하였고 멸공 웅변대회ㆍ멸공 글짓기대회ㆍ멸공 그리기대회를 실시하여 6.25를 상기시켜 안보의식 고취, 반공애국정신을 고취, 함양코저 반공학습 자료실 설치 운영, 반공관과 반공복도 환경 구성하여 반공교육에 시범학교가 되도록 노력했다. 이제 와서 내자신에 대하여 실적이 만족하지 않았다고 후회를 하지 않는다 도지정 반공시범 연구학교 연구주임으로 최선을 다했으니 말이다. 오늘이 6월11일. 머지않아 6월 25일이 다가온다. 6.25때 참혹하게 돌악ㅏ진 선친들과 호국영령들께 참배와 묵념을 드렸다. 가신님들이여! 묘소 주변엔 산과 바람, 허공과 해와 달, 별만이 펼쳐있으리라 생각하노니 앞으론 우리 민족의 살과 피와 함께 어우러져 하루 빨리 국민 모두가 행복하고 평온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진리와 자유의 나라가 되어 땅따로 물따로 관리하지 말고 한 덩어리가 된 무궁화 활짝핀 삼천리 반도 금수강산에 평화 꿈틀거리는 대한민국을 행복지수가 5위안에 드는 국가로 건설토록 약속 드리오리다. 대한민국의 천안함 파괴로 돌아가신 46인의 고귀하신 수병들에게 앞날의 조국의 비전을 바치오리다. 조국을 위해 희생한 님들은 국민의 멍든 가슴에 깊이 남아있습니다. 가신 임들이여! 우리 국민 모두에게 억장이 무너지게 하고 슬픔을 안겨주심으로 철통 같은 안보의식을 고취시켜주셨습니다. 우리는 울먹이며 애국애죽하신 수병님들을 위한 행진곡을 편히 잠드시도록 조용한 행진곡을 불러드리오리다. 아아 잊을 수가 있으랴. 우리 천안함 부서진 이날을 땅을 치며 격분에 찼던날을 잊으리오! 앞으로 그날의 원수를 갚겠나이다. 생각하면 생각할수록 정부의 요인이나 국민모두의 안보불감증을 원망하고 반성하지 않을 수 없다. 너나 할 것 없이 대한민국의 국민이라면 안보에 관심을 단단히 가질 각오가 되어있지 않고거야 북괴의 남친야욕을 물리치기 쉽지 않을 것이며 수상하면 간첩이 아닌가 예리한 통찰로 지혜를 모아 철통같은 안보태세로 북괴들의 남침야욕을 벽리 뽑지 않으면 아니 되겠다. 북한은 경계선을 넘나들고 2002년 서해 교전도 잊을 수가 없다. 북한과 교전 2분 뉴스속보는 국민들의 가슴을 멍들게 했다. 정부는 북한에 엄정한 통보를 하고 침착하고 의연히 대처했으나 북한은 아랑곳 없이 우리를 얕보고 천안함 사건을 또 이르킴이 아닌가? 국민들이여! 청통같은 안보태세로 악독한 북한의 남침야욕을 잠재웁시다. 하늘이여! 땽이여! 국민들의 애국심과 강력한 안보태세에 강인한 힘을 실어 주소서.
2010.07.20. 15:30
The most breathtaking life story that I interviewed which occurred during the Korean war was from my uncle Jongdae Kim. It is a wonderful, sad, funny, exciting, affectionate, human feeling account that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friendship and family. In this essay, I am going to write a brief story of my uncle’s life during the mass departure of the Korean war. Jongdae Kim was born on December 12, 1940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at Yongsan, Seoul. Yongsan is in the country side in Seoul. Yongsan was larger than a village and smaller than a city. People from there, made their living out of agriculture and dairy farming. They did one of the most important jobs for the country’s economy. Jongdae‘s father, on the other hand, was a police from the city, so everybody knew him and respected him. There were four members from his police squad. They all wore gun belts, cross-draw belts, and bowties. Jongdae’s mother was a typical Korean house wife. She would wake up at five in the morning and put wood into the furnace to cook rice and prepare warm water for her husband. She would crouch down next to the boiler and use a newspaper to fan the fire, which will increase the heat so that the rice can be completely cooked. Jongdae was born before their parents were married and four years later, they had another boy Jongchul, and two years later Younghee was born, their first daughter. Memories growing up in Yongsan was wonderful for Jongdae. Summer was the best time for him. He was always excited when summer was on it’s way. He wasn’t the only one who was excited, his younger brother Jongchul and all the kids from the neighborhood were too. School was almost out and play time was near. Summer has the longest days and shortest nights, which means he gets to play outside with his friends like there is no tomorrow. However, he felt little sad for some of the children who studied or help their parents with farming. During those days, he liked going to the Han river with his friends to swim. It was the only way to escape the heat. When he wakes up in a summer day, his younger brother Jongchul and him would quickly brush their teeth, eat breakfast, rice and kimchi, and they would first go rushing to Sungjin’s house which was not far from where they lived. Sungjin’s family was a little wealthy than Jongdae‘s. It was observable by his appearance because he was a foot taller than Jongdae and he had a body of a Ssireum wrestler Other children were frighten by his appearance at first, but once you get to know him, he was a sweet and a lovable kid. Both of his parents were farmers. They grew crops and raised animals. Sungjin had pigs, ducks, chickens, rabbits and couple cows. Playing with different kinds of animals was one of the reasons that Jongdae liked playing with him, but what he really liked about Sungjin was that he was very courageous. One time, they were stealing some bag of noodles from this lady’s store and they were caught at the scene, but Jongdae managed to get away. However, poor Sungjin wasn’t a good runner so the store lady catch up to him and grabbed him by his ear and dragged him all the way back to the store When Jongdae ran home, he knew he was going to be dead meat. Pretty soon the lady from the store will come knocking on his door. However, no one came that night. Later, he found out that Sungjin didn’t rat on him. Jongdae was very surprised by his brotherhood. Sungjin saved his life. Otherwise, Jongdae’s father would have beat the living hell out of him. From that incident, Jongdae started to look at his friend differently. Now that they had Sungjin with them, three of them: Jongdae, Jongchul and Sungjin, headed over to Youngho’s house. Youngho was the total opposite of Sungjin. Youngho was a very small and skinny kid who wore these thick glasses. He was a poor kid, probably the poorest kid from the city. He only ate two meals a day and when he was feeling hungry at night, he would just go to sleep early. He lived with his mother, a widow, and two younger brothers who were also small and skinny. Out on the fish market, his mother would sell fishing nets and baskets that she made on her own. Youngho wasn’t allowed to play outside during the school days because after school he would have to go to the fish market and help his mother with the sell. Therefore, summer was the only time that Jongdae and his friends get to play with him. At school, Youngho was always a good student and he stayed away from trouble. He was not an athletic. When other children played soccer, he would just sit in the corner and read a book. You could say he was a boring kid. Now all four of them had united, Jongdae and his little brother Jongchul, Sungjin, and Youngho, they all hurried to the Han river up on the hills passed the evergreen trees. When they arrived at the river, they were the first ones to be there. But pretty soon, group of kids would come from everywhere. Most of the kids were from the same school that Jongdae went, but because it was summer, they brought their cousins and friends from other cities Jongdae, Jongchul, Sungjin and Youngho would climb to the top of the muddy cliff and take turns diving. Before they jump down into the shallow water, they would scream something from the roof top, for example like Jongdae, he would say something like: “Summer vacation would never end!” Sungjin, the chubby kid, would say: “ I wish I get a new bike for my birthday!” He always complained about walking to school. Jongchul would scream something similar to his brother: “I wish we play like this forever!” And finally, Youngho, the skinny kid would say: “ I wish I’ll eat chicken for the rest of my life!” Chicken was his favorite food, but he gets to eat chicken very occasionally, like once a year. One day, at the river, it was summer of ’49, this kid named Babo came running down to the river like he had seen a ghost. Although, his real name was Sukho, all the kids nicknamed him Babo, meaning stupid in Korean, because he stammered when he spoke. He was gasping for air and his entire face was covered in perspiration. It took a while to catch his breath and finally he opened his mouth: “ D-do…you…w-want to see something c-cool?” Almost all the kids at the river agreed to follow Babo. They were behind him, whispering to each other in a curious voice, “Where is he taking us?” All the kids asked him in a chant what he was going to show them, but Babo ignored them and just kept on walking faster. He was trying to keep them guessing along the way. Jongdae personally thought Babo had seen a dead body or a naked women. But naked women was pretty off the subject because there were girls who followed him too. Sungjin asked him, “Is it a dead body?” Youngho asked, “Did you fine a bag of money?” Jongchul asked, “Is it a ghost?” But Babo smiled and shook his head and said, “M-much b-better than that.” They finally reached a fence. All the boys started to climb the fence, but the girls chickened out and decided to give up and headed back down home. Jongdae and his friends didn’t even bothered to try pursuing the girls to come back because they might get in their way. All six boys made it over the fence: Jongdae, Jongchul, Sungjin, Youngho, Babo, and this other kid who they just met at the river. Every body climbed the fence clean, but Sungjin was a heavy kid so a piece of cloth from his pants had caught on the fence and made a big hole on his butt, revealing his red underwear. Jongdae and his friends couldn’t help them selves from laughing. “Who wears red underwear?” Jongdae asked Youngho, giggling. Then Sungjin heard what Jongdae said and pushed him with his weight. The friends laughed the whole time walking where ever Babo was taking them. As the laughter slowly faded, Babo kept telling them, “W-were almost here.” “W-were almost here.” Jongdae warned Babo this would have to be good. Sungjin said he was starting to get hungry and Youngho was getting kind a scare and worried. They have been walking like that for at least twenty minutes. From a distance, Jongdae and his friends started hearing people laughing and talking. They were also hearing something that was being hit with an object. “Thud…thud…thud!” When they approached closer, group of adults gathered around and was doing something. “Thud…thud…thud!” Jongdae and his friends all sprawled down on their stomachs behind a small hill, Jongdae felt like he was in a war ready to attack. Now all six of boys had a perfect view. A man in his mid forties, wearing a white tang top in a straw hat, was hitting something with a baseball bat that was hung upside down. When the man switched position to the right to hit the object again, it gave them a better view. The friends all looked at each other in a shocked expression. The man was hitting a dog. It was a very big, black dog and it was dripping blood for the tip of the mouth and seemingly it appeared dead because the dog was not making any sound. Another man, also in his mid forties, was crouched down carving a knife against the sharpening stone while pouring water on it. Another man was smoking a cigarette while talking to the man who was beating the poor dog. That was the first time Jongdae and his friends actually had witnessed an animal that was brutally beaten and killed. It was the most gruesome and violent act that they saw. Jongdae asked Babo why were they beating the dog. Babo said they were hitting the dog with a baseball bat to make the meat tender and when the dog is dead, they will skin it, cut it, cook it in a pot and eat it for dinner. He said dog meat was good for the human health. Babo had much knowledge on those areas than most of the kids at his age. Perhaps because he was an explorer. He collected insects and dissected them. He starts conversation with anybody that comes in his way, including strangers. At dinner that night, Jongdae suddenly lost his appetite thinking about the dog early afternoon. The thrill of going there with his brother and friends to witness that was exciting, but he couldn’t get that dog’s image off his head for a long time. Jongdae and his friends hung around like that during the summer all along, but when the war broke out between the north and south Koreas, those fun days in Yongsan was quickly vanished. On Sunday morning, the 25th of June, the North Koreans attacked. Jongdae was 9, his brother Jongchul was just 5, and his baby sister Younghee was only 3 years old. Jongdae remember that day vividly. There were people scrambling down from a hill shouting, “The Communists are coming!” “The Communists are coming!” Jongdae realized almost all the people from the neighborhood were clustered outside the deck near the river. Jongdae was with his father at the time holding his hand. Most of the people outside were grown ups, talking to each one another in an anxious tone. As Jongdae and his father approached closer, they heard something inside the gang. “Excuse us.” “Excuse us.” And they squeezed their way inside to the crowd. The noise was coming from an radio and people sitting down on the deck was listening to it carefully like it was about to give them orders. A women on the right was breast feeding her baby while a trickle of tear was slowly coming down to her cheek Men on the left were puffing cigarettes regularly. All the people around them looked gloomily. Mrs. Lee, who was the oldest women in Yongsan, was on her knees, praying, rocking her body back and forth and whispering something religious under her breath. Five days before the Korean war, fortunately, there was a rumor that the North Korean army will soon invade at Seoul. Jongdae’s father and the people from Yongsan figured it wasn’t safe here anymore. Mr. Lim, the city’s barber, had already gone off to Taegu, where his brother lived. Mrs. Choi, the owner of a small market, emptied the store and went near Pusan, along with many people from the neighborhood. Jongdae’s family decided to go to Chungpyong because his father’s older sister, Jongdae’s aunt, lived there. Jongdae was born in Yongsan and he nearly spent his entire childhood there. The worst thing about leaving this place for Jongdae was he was not going to see his best friends, Sungjin and Youngho, anymore. On June 23, 1950, two days before leaving Yongsan, Jongdae and his father walked around the neighborhood to farewell to the others. Jongdae’s father first met with the elders who were evacuating to a village near the mountains, then he met three of his police buddies who were going to the country side near Inchon, and then finally he met his best friend Wong Jo. He was a bachelor. He was never been married. Jongdae’s father persuaded him to date women, but he wasn’t interested. Every time Mr. Jo visited their home, he would always bring loft of bread from his store. Jongdae’s father used to drink with him quite often, especially during the weekends. Jongdae and Jongchul would sometimes sneak up to them and grab some appetizers like dry squid and peanut. Next, the father and son went to see one of Jongdae’s best friends, Sungjin. His house was very close from theirs. Sungjin’s father opened the gate and invited them in. Sungjin and his father really resembled. His father was the biggest guy from the city. He had a body like a pro wrestler. He was a heavy drinker. Jongdae heard this from Sungjin that his father often beats him when he was drunk, but nothing serious. Jongdae’s father often wondered what did Sungjin’s father eat as a child that made him a giant. And there was Sungjin, he was the little version of his father. He had his father’s belly, the lopsided ear, dark skin tone and slanted eyes. While the grown ups were talking inside having tea, Jongdae and Sungjin stayed outside, sitting down on the wooden patio. The sun was starting to disappear behind the hills. The two friends were petting Dodo, Sungjin’s mutt, while figuring out what to say to each other. Jongdae was feeling depressed that he wasn’t goiug to see Sungjin anymore. Jongdae believed that Sungjin felt the same too, but it seemed he was hiding his emotions. Jongdae realized his friend was trying to be macho. Every time Jongdae talk about leaving this place, Sungjin would just say funny and exciting things that they did together growing up here. Jongdae figured Sungjin’s way of saying good bye was to talk about the good memories that they had here. Jongdae remembered when they first met. Sungjin was sitting next to him in class. Jongdae’s first impression of him was some fat ugly kid who didn’t speak much. Jongdae would have never pictured him as his best friend. Jongdae learned he should never judge by person’s appearance. When the grown ups finished their cup of teas, Sungjin and his parents walked the father and son to the gate to say goodbyes. The last house that the father and son went visiting was Youngho’s house. It was the most farthest house from the city The house was falling apart and it looked like no one lived there. The small front metal door to his house was opened and it was swinging by the wind and making a “Clank,” sound every time it shut. The father and son went inside and the father called in a calm voice, “Hello?’ “Is anybody home?” Then a door slide opened and it was Youngho, followed by his two younger brothers. Youngho said his mother went to the market and she will be back soon. Jongdae’s father stayed outside to smoke a cigarette and Youngho led Jongdae to his room, a room where two of his brothers shared. Youngho quickly opened a drawer from his old, wooden desk and handed Jongdae his expensive pen that he won at a math contest in school. Jongdae knew it meant a lot to him, so he refused to take it, but Youngho just kept on insisting him to have it. He never written something with that pen or took it out from the case. Jongdae felt guilty not bring him any gift. Not like Sungjin, Youngho was sentimental. Youngho asked Jongdae where he was staying and when they were going to meet again. It took Jongdae by surprise, he only played with Youngho only during summer vacation because he had to help his mother after school. Moreover, Jongdae honestly wasn’t fun playing with Youngho because he wasn’t bold and crazy like Sungjin and he was always a shy kid. It was sure Jongdae was going to miss his friend Youngho. Jongdae and his father waited for Youngho’s mother for a while, but she was not back from the market. They decided to leave without seeing her, since Jongdae’s family had to do some packing of their own. By the time the father and son walked out from Youngho’s house, the evening was slowly fading into night. The wind was making the trees rattle. Jongdae was feeling a little cold. As they were heading back home, Jongdae was starting to miss the evergreen trees that stretched to the hills endlessly, the river where his friends swim, the market where Jongdae bought ice creams, the elders who sang and drank rice beer on the patio, and everthing about it was just making his eyes formed into tears. But somehow Jongdae believed they were going to come back sometime and things would be back to normal again. As Jongdae’s father puffed a last breath of the cigarette and threw it into the flowing water by the damp, Jongdae was seeing a girl walking toward their direction. Jongdae squinted his eyes to get a better look and he recognized who she was. It was a girl from his class. She was the tallest, smartest, and most loving person. Every boy in the class wanted her. Jongdae never talked to her before because he was sacred, but he gain confidence that day and decided to say hi. She said hi back and she waved her hand smiling at him. Jongdae thought to himself why didn’t I do that earlier. Jongdae had the courage to do that because he was leaving and he was afraid he might not see her again. At dinner, Jongdae, Jongchul, and their father sat on the floor by the table while the mother was preparing for dinner. Jongdae’s baby sister Younghee finished the last bottle of the milk and went to sleep early like usual. She was sleeping peacefully next to the lamp. Her face shimmering by the lamp’s light, the poor baby had no idea what was going on, which was good for her. Jongdae’s mother was serving each of them bowl of rice and setting the hot bean soup gently to the middle. The bean soup smelled really good. Jongdae was starving from all the packing and digging to help bury his father’s police uniform and badge. He said it wasn’t safe to carry around police uniform if he might get caught by the North Korean soldiers. He also told Jongdae and Jongchul not to tell anybody that he was working for the police, not even children. As Jongdae sat across from his father under the dim light, he noticed his father appeared very old with age. This was the first time Jongdae got a clear look at his face. There were tuffs of hair left on his head and his face was featured with many wrinkles. Jongdae looked at his mother now as she was softly slurping the soup with a spoon. Her eyes were tired from concern and there were dark circles beneath her eyes. Jongdae couldn’t see those flaws on his parents faces in daylight, but the little dim light that hanged from the top of the room revealed everything. When the family finished eating dinner, Jongdae’s father said he had something to say to them. Hopelessly, the father stared at his wife and Younghee. Then he took a good look at Jongdae and Jongchul. He cleared his throat and was about to say something, but Jongchul’s cough interrupted him. Jongdae handed over a cup of water to his brother and he drank it quickly. The father begin. He said tomorrow, it was going to be a long journey. Jongdae, Jongchul and the father will walk to Chungpyong where Jongdae’s aunt lived and the mother and Younghee will take a bus to go to a village close by with other people from the city. The father said it wasn’t safe for his wife and the baby to walk to Chungpyong. Then when the war settles down, the family will meet in time. Jongdae’s mother didn’t say anything that night, she had no choice but to agree. It was safe for her and Younghee to follow the people to the village because there was a small possibility that the North Koreans will invade there To be honest, Jongdae wasn’t worried much. When the war is over, his family will unite and they can go with their lives again. The next morning, the mother was crying, hugging both of her children, Jongdae and Jongchul . She wouldn‘t let go, almost suffocating them That moment Jongdae felt like he wasn’t going to see her again. The mother had Younghee tied securely around her back and she was carrying a sack full of rice that was formed into a ball, some clothes and a red cotton blanket. Jongdae and Jongchul carried nothing because it was going to be a long walk. Only thing Jongdae had in his pocket was the expensive pen that Youngho gave him. Jongdae’s father carried a blanket and some clothes. He gave his wife some money and had enough for his own Holding each others hands, the family walked out to the street very slowly to separate. They wanted to take up every second of their precious time together as a family. They finally reached the middle of the street where all the people from the city was getting ready to leave. There was a big bus parked under this huge tree. The mother and Younghee was getting on that bus. There were already people inside the bus, talking and crying and waving their hands to another. The father told his wife to be careful and not to worry about them and she said to Jongdae to stay with his father at all times and never let go of his brother’s hand. Carrying Younghee, the mother had her foot on the step to get on the bus and took a last glance at them. Jongdae, Jongchul and the father waved their hands to the bus like the other people around them, “Bye!” “Be careful!” and the bus slowly drove off, making a big storm of dust in the air. Jongdae looked up to see his father and his lower lip was trembling. He was about to break into tears, but when Jongdae was caught looking at him he turned his head and walked away. “Let’s go guys.” Now it was Jongdae, Jongchul and the father. They were headed to Chungpyong to meet their aunt. They were walking along with other people. Jongdae was holding Jongchul’s hand like he promised his mother. There was a family in front of them, pulling a farm cart full of stuff and on top of it, there was a little girl, about Jongchul’s age, holding a puppy. A family behind them were fighting the whole time, complaining about something. Jongdae, Jongchul and the father were walking for hours now. The sun was starting to blaze up. Jongdae’s eyes were getting fuzzy from the sun and he was starting to get sun burn underneath his arm pits. His mouth had dried up like sand paper. Jongdae was thirsty and so was his brother. Jongchul told his father he was having a cramp in his right foot. He was slowing them down. As they passed a abandon restaurant that had broken windows, a building had appeared from far away. They made theme selves to the building and found a shaded area and rested there for a while. It seemed like a neglected factory. The father pulled out the ball shaped rice that his wife made last night. He split into three pieces and all three shared. It was hard and crunchy. It was hard for them to swallow because they were out of water They drank all the water on their way here. Now all three of them were regretting they should have saved some of it. Perhaps, next time before they drink their water, they will think about the every drop that was going into their mouths. It was almost sunset when they reached a house. The father was carrying Jongchul on his back the whole time. He couldn’t walk because the cramp in his foot had worsen. The father gently put Jongchul down and knocked on a stranger’s door. Nobody answered. Their father continue knocking, this time pounding with his fist “Is someone there?” Then, the gate suddenly opened to a slit. A man’s face revealed. “Can I help you, sir?” The father begged the man if they can spend the night there, but the owner said the house was full of other people like them and he was truly sorry. The father was frustrated. They had to spend the night somewhere until they reached the aunt’s house. The father told his children they have to walk a little more and try looking for another place where there was less people. Jongdae was exhausted from walking. His legs were tired, it wouldn’t listen, but they had no choice. They couldn’t sleep in middle of nowhere. As the father and children passed some buildings, a small barn appeared at the corner. Carried on the back of his father, Jongchul was the first one to spot it. “Look!” “There is a barn!” They went closer to get a better look. There was a red wooden gate. Their father gave it a hard tug and opened the gate and a man with a shovel stood there. “What do you want?” the man asked the father. “Can we spend the night at the barn?” “I am planning to go to Chungpyong in the morning.” The man looked at Jongdae and Jongchul and then the father and scratched his bald head. “Ok, but just for one night.“ When they went inside the barn, it smelled really bad. There was a cow there tied to a metal pole. There were couple families like them sleeping next to a mountain full of straws. Jongdae and Jongchul examine the place to look for a spot to sleep, while their father went inside the house with the bald man. The father came back a few minutes later and was carrying a tin can full of rice. That was what they had to eat, just rice. The father and children ate with their bare hands. The father ate the less and Jongchul scooped the last ball of rice. The bald man was kind enough to give them food. They made them selves comfortable at the corner next to a small opened window. The summer breeze coming from the window felt good against Jongdae’s skin. Right next to them, there was a family just like them, except they had a mother. The parents were sleeping, but the kids woke up from Jongdae and Jongchul’s talking. The kids stared at them like they wanted to talk, but the place was quite in sleep that it was inappropriate to speak. They stared at each other and fell a sleep. The next morning, the father woke Jongdae up and his eyes couldn’t adjust quickly. It was very early, the sun hadn’t rise yet. Jongchul was still sleeping and Jongdae woke him up They got out from the barn and Jongchul was able to walk again. His swollen foot had eased down. The father warped a cloth around his foot. They were walking again. Like the day before, the father and children walked and rested through out the day. When they got hungry, they knocked on any house and asked for food. If the owners were nice enough, they will give them some left over food. At a near by playground, an old man was selling sweet potatoes and it smelled really good. Jongchul jerked his father’s shirt and begged for one. They had no money at the time and it was obvious that the man wasn’t giving them out for free. Jongdae took a deep breath and let it out in despair. He reached for his pockets again to check if he had any coins and suddenly came an idea. He had the expensive pen that Youngho gave him as a goodbye present. Jongdae asked the man who was selling the potatoes if he was willing to exchange the expensive pen for some potatoes and the man excepted the deal. Jongdae felt kind a bad at first, but they were very hungry. And if Jongdae tell Youngho their situation, he would’ve understand. Late in the evening, the father and children reached a house and luckily spend the night again. Finally, they reached Chungpyong. Jongdae’s uncle and aunt welcomed them with their hospitality. Jongdae’s aunt immediately asked the father where his wife was and he just put his head down and said, “Let’s go inside and talk.” Jongdae and Jongchul went into a room and there were their cousins, Seungja, Sookja and Soonja. They were all girls. It was nice to see them again. The last time they got together was new years, four years ago. At dinner, their aunt served them fried eggs and kimchi. Jongdae hated eating those food back home, but it tasted better than ever. The family stayed there for about three months. On late September, 1950, the battle of Inchon was over and Jongdae, Jongchul and the father were headed over to Inchon to meet the mother. They heard that Jongdae’s mother went to Inchon to stay with her relatives. Jongdae, Jongchul, and the father aboard to a bus where it was taking them to a train station at Inchon. The bus was packed with families like them. Jongdae and Jongchul was happy that they didn’t have to walk to Inchon. The war had settled down. General Douglas MacArthur landed at Inchon and turned the war around to South Korean‘s favor. He was a hero. People said the south was winning and there was nothing to worry about. Jongdae was soon going back to school and his father was going to work for the police again. Moreover, they were going to meet the mother. Jongdae wanted to see Younghee and kiss her cheek and make funny noises. She laughed really hard every time he did that. As the bus was taking them to Inchon, Jongdae looked outside through the window and it was a disaster. He never seen anything like this before. It was the war aftermath. The father covered Jongdae and Jongchul’s eyes every time there was a corpse, but he gave up doing that because there were to many of them. The whole place was deserted and there were big mass of dust roaming around in the air. There were children running around bare footed looking for their mothers or something. Buildings and stores were destroyed, bricks and broken concrete were only things left. There were stray dogs sniffing around looking for food. They were fat like pigs, probably surviving by eating human corpses. Jongdae could see some part of the ground were dug up and there were pile of corpses inside. There was a lot of tank trail marks as he looked down at earth. As their bus slow down a little to make a right turn, group of kids were running toward the bus and asking people if they had any thing to eat or if they had any money. The bus passed the sign that said “Inchon.” There were group of people protesting with banners and cardboards near the railroad. Jongdae saw American soldiers sitting down by a abandon store, eating some kind a cracker. One of the soldiers went down to his knees and was feeding a cracker to this tiny Korean girl. There were people and soldiers walking around everywhere, helicopters, jeeps, and trucks that were filled with people. Finally, the bus stopped to a halt and every body was getting off. The father and children reached the train station and there were people celebrating, all waving the Korean flags. The mother will soon get off a train and the family were to take the train to Inchon to stay at her relatives. Jongdae, Jongchul and the father arrived at the train station a little early. Jongdae and the father sat on the wooden bench and waited for the mother. Jongchul was drawing something on the ground with a piece of charcoal that he found on his way here. The father was constantly turning his head to the right if his wife’s train was coming. Three trains had stopped, but it wasn’t the train that the mother was in. Perhaps Jongdae’s mother’s train was running a little late. Finally a train had stopped and said on the top: Kyunginsun. It was the train that the mother was in. All three of them got up to their feet and was excited to meet her. After three month of hell, practically homeless, they were going to be a family again and have a home. People were stepping out from the train in all directions. Quickly, the station filled up with people. It was difficult to find the mother because of the people who were blocking their views. Jongdae and Jongchul were jumping up and down to catch a glimpse of their mother. The father shift his head side to side for a desperate look for his wife. However, there was no sign of her. Is she coming today? Jongdae wondered. Then, the three of them heard something from a far distance. “Hey Jongdae!” “Jongchul!” “Honey!” She was waving her hand to them near the ticket box. Jongdae and Jongchul ran as fast as they can and hugged their mother. The father was behind his children, walking slowly in relief. The mother started to ask all these questions really fast, “Jongdae, did you listen to your father?” “Where did you guys stayed?” “What did you guys eat?” “Did you guys get sick during the way?” All three of them asked similar questions to her too. However, they weren’t seeing Younghee. Perhaps, she already left her at Inchon with the relatives. The father asked his wife where Younghee was. Then suddenly, the mother’s face changed colors and she dropped to her knees and started to cry. The father went down, lift her head up and asked her what was going on. She was crying so hard it was making her hard to speak. The father helped her up to her feet and walked to a bench close by. The parents sat down on the bench and Jongdae and Jongchul were standing up, waiting for her answer. Now she was sobbing, her crying had slowed down. She tried her best to speak. Her mouth was trembling and she finally got it out, “Younghee…died from a cold.” She blew her nose with a handkerchief and continued crying. Jongdae’s baby sister caught a cold during the way to the village and died. There was a doctor onboard, but the bus didn’t carry any medicine. Sleeping peacefully by the lamp was the last time Jongdae saw Younghee’s innocent face.
2010.07.20. 15:26
지난 3월 어느 새벽, 위층에서 탁구공 같은 물체가 굴러 떨어지는 소리에 번쩍 잠이 깸과 동시에 순간 아파트 건물이 움직이는 것을 느꼈다. ‘이런, 지진이다!’ 화들짝 정신을 차리고 시계를 보니 4시가 조금 넘은 시각. ‘그러지 않아도 빅원이 온다더니 드디어 올 것이 오는 가부다. 공교롭게도 남편 출장으로 나 혼자 있는데 어쩌나. 9·11이 터질 때에도 바로 쌍둥이 빌딩을 마주한 곳에서 나 혼자 있었더니만, 또.......’ 어쩔 줄 몰라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누워 있노라니 별다른 움직임이 없는 것 같아 용기를 내어 조심조심 일어났다. 시간 있을 때 지진을 대비하여 중요한 물품들을 챙겨놔야겠다고 생각만 했었는데, 얼른 물건들을 챙기기 시작했다. 엄마 생일이라고 큰 아들이 제법 고심하며 골랐을 명품 가방에 내 딴에는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서류부터 차곡차곡 넣었다. 여권, 은행 문서, 언젠가는 글을 쓴다며 글감을 정리해 놓은 내 가장 소중한 공책, 가족사진 몇장...문득 빛바랜 사진에 시선이 멈추었다. 몇 해 전, 한국에 다녀 온 친정 여동생이 낡은 사진첩을 뒤져 부모님의 젊은 시절 사진 몇장을 뽑아 나에게도 전달한 사진들이었다. 친정 부모님의 빛바랜 흑백 약혼 기념사진과 들러리를 셋이나 앞세운 당시로서는 꽤 근사했을 결혼사진, 학사모를 쓴 미남의 아버지, 세월이 흘러 모처럼 집 앞마당에서 3남매를 세워놓고 찍었지 싶은 가족사진, 지금의 내 두 아이보다 더 어려보이는 빨간 한복 차림의 내 옆에서 활짝 웃고 계시는 아버지, 훌쩍 커버려 교복 바지가 짧아진 우스꽝스런 차림의 오빠와 함께 서계신 아버지 등... ‘언제 찍었을까? 아버지와 이런 시간도 보냈었네!’ 온통 어둠이 기세 등등이 버티고 있는 3월의 새벽, 지진의 두려움은 아랑곳없이 어느 새 나는 가진 것은 없을지라도 마냥 행복했던 아득한 어린 시절로 돌아갔다. 실향민 아버지 내 친정은 6·25 동란 당시 원산에서 LST를 타고 이남으로 내려오신 실향민(失鄕民) 집안이다. 아버지는 4형제 중 셋째로 아래의 넷째 동생은 전쟁때 전사하셨다. 무슨 일이 있었는지 피난통에 형님들과 헤어져 아버지 홀로 이남에 내려와 전전긍긍하다가 군대에 자원 입대하셨다. 전쟁에 나가는 일은 무서웠으나 적어도 숙식을 해결할 수 있어 그나마 다행이었는데, 약골인 아버지는 그만 늑막염을 앓게 되었다. 누구 한 사람 아는 이 없는 이남의 어느 초라한 곳-내 기억으로는 거제도 수용소라고 알고 있다- 사정을 딱하게 여긴 간호사가 여기 저기 수소문한 끝에 기적처럼 두 형님들을 만날 수 있었다고. 필시 같은 곳에 있었는데 서로 몰랐으리라. 그 후, 두 형님들이 버팀목이 되어주며, 어느 정도 건강을 회복하고는 미군 부대에서 하우스 보이로 일하여 알뜰살뜰 모은 돈으로 그 어렵던 시절 대학과정도 마치셨다. 땡전 한 푼 없는 피난민 신세에 그 어려운 삶을 어떻게 살아내셨는지, 아버지의 고생담을 잘 들어 두었어야 했는데 너무 어렸던 탓에 별로 기억나는 것이 없어 안타깝다. 어마어마하게 큰 배가 온통 피난민으로 바글바글 댔다는 이야기, 사방에서 총탄이 날라 다녔고, 하늘에서는 폭탄이 떨어졌으며, 죽어 나뒹구는 시체들을 넘어 다녔고, 하얀 피부에 키가 이만큼이나 큰 러시아 군, 끝도 없이 밀려오던 중공군 등.. 6·25때가 되면 신문의 한 면을 장식하는 다리 끊긴 한강의 모습 따위의 당시 사진과 더불어 아버지 이야기를 들으며 전쟁의 무서움에 여린 가슴은 콩콩 방망이질 쳤다. 한편 어머니는 당신의 아버지와 내려오셨다가 영영 고향 땅을 밟지 못하고 그만 이남에 살며 아버지를 만나 결혼하셨다. 교회에서 특창하는 엄마의 꾀꼬리 같은 목소리에 반해 청혼하셨다는 아버지의 로맨스를 종종 듣곤 했었다. 외할아버지는 이북에서 교회를 많이 개척하며 신실히 믿음을 지키는 분이셨다고 한다. 집안의 장자인 오빠가 태어날 때 당시 최자실 권사가 받았다는 이야기로 미루어 아마 외할아버지는 순복음교회에 다니신 것 같다. 어린 시절 엄마 손 잡고 교회에 갔었고 가끔 교회에서 심방 오신 것도 기억난다. 그러나 먹고 살기에 바빠 부모님은 점차 교회와 멀어졌다가 엄마의 유일한 친척의 전도로 후일 다시 교회와 인연을 맺게 되었다. 실향민 삼형제 아버지 삼 형제가 각기 가정을 꾸려 외롭고도 고단한 실향민의 삶을 엮어갔을 우리들의 어린 시절, 설날과 추석에는 어김없이 큰 아버지 댁에 모여 제사를 지냈다. 폭설이 내려 버스가 끊겨 버린 어느 해 설날에는 한참을 걸어 큰길까지 가서 가까스로 버스를 타고 큰댁에 간 기억도 있다. 살을 에는 추위 속에 눈이 한 자나 쌓인 시골 길을 걸어가면서도 무엇이 그리 좋은지 눈길에 미끄러지며, 넘어지며 아버지 손을 꼭 잡고 큰댁에 가던 장면은 어느 영화 못지않은 아름다운 흑백의 추억이다. “어서 오나라, 우리 강아지들!” 변함없이 반겨주시던 큰 어머니의 함경도 사투리는 언제 들어도 푸근했다. 큰 아버지 두 분은 이제나 저제나 고향에 갈 날을 기다리다가 결국 나중에 가정을 꾸리는 바람에 사촌들은 나보다 어렸다. 올망졸망 어린 것들은 모처럼 대하는 떡국이나 잡채 등 평소에는 맛보지 못하는 푸짐한 음식에 배가 남산만 해졌다. 게다가 평소에는 보지도 못하던 과자나 사탕 따위를 한 보따리씩 받고는 마냥 신났었다. 큰어머니가 차려 주시는 음식은 얼마나 맛이 좋았는지.... 어린 것들 주머니에 세배 돈이 두툼해짐에 따라 아버지 삼형제의 형제애는 더욱 돈독해지며 실향의 아픔은 조금씩이나마 옅어졌다. 비록 온 가족이 함께 내려오지는 못했으나 삼형제라도 같은 하늘 아래에서 가까이 지낼 수 있음에 세 아버지는 서로 위로가 되었으리라. 졸지에 사랑하는 가족과 헤어져 물설고 낯설은 객지에서 살게 된 부모세대의 실향(失鄕)의 한(限)을 2세인 우리는 전혀 가늠할 수 없을지니....... 실향민 자녀 교육 자식들만큼은 잘 살게 해주고 싶은 아버지는 워낙 부지런한 성격이셨다. 설날과 추석 딱 이틀을 제외하고는 일년 열두 달 비가 오나 눈이 오나 한결같게 아침 일찍 가게 문을 열고 앞마당을 싸리비로 쓸며 하루를 시작하셨다. 또 상당히 엄하여 1년에 한 두 차례 호되게 맞았던 기억이 있다. 그럴 때면 무척이나 내성적인 나는 며칠이고 엄마, 아버지에게 말도 못 부쳤다. 부모의 마음은 얼마나 아팠을까, 새삼 가슴이 아리다. 전쟁의 상흔이 채 가시지 않아 암울하기만 했던 60년대, 아버지는 자식들을 위하여 당시로서는 상당한 투자를 하며 예술적인 소양을 심어주기 위해 애쓰셨다. 초등학교 들어가기 전에는 고전무용을 배웠고 겨울방학때면 어김없이 스케이트를 탔다. 국문을 깨우치자 아버지는 어린 남매와 함께 시조가 적힌 카드놀이를 하며 은연중에 문학공부를 시키셨다. 동창이 밝았느냐 노고지리 우지진다.......이 몸이 죽고 죽어 일백 번 고쳐 죽어....... 후일, 학교에 다니면서 내가 알고 있는 시조가 나오면 그리도 기분이 으쓱했었다.
한국인 여류 바이올리니스트가 출연할 예정이며 현재 한국에서 작곡 분야에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작곡가 우효원 선생의 곡도 포함시켰다고. 상당히 고무적인 일이 아닐 수 없다. 비단 음악뿐만 아니라 미술 무용 문학 등 모든 면에서 이러한 일이 진행되어야 하리라.
현재 6.25 동란을 겪은 많은 분들이 작고하셨거나 연로한 상태다. 각 가정에서나 각 교회에서 또는 정책적으로 그런 분들의 회고담을 잘 정리하여 후세대에게 제대로 알려야 할 것이다. 친정아버지의 행적을 정확히 보존하지 못하여 자식의 도리를 제대로 하지 못한 못난 딸의 자책의 말이다.
잃어버린 아버지의 글
삼 년 전 성탄절 오랜만에 엄마를 위시하여 친정 식구들이 한 자리에 모여 잠시 행복한 시간을 보냈다. 이런저런 이야기 끝에 오라버니를 통하여 알게 된 새로운 사실 하나.
젊은 시절 아버지께서는 언젠가 책을 낼 것이라며 당신의 행적을 기록한 두툼한 원고 보따리를 가지고 다니셨다고 한다. 살기에 급급하여 또한 이곳저곳으로 이사를 하는 통에 제대로 간수하지 못하더니 결국 언제 어떻게 없어졌는지 사라져버렸다며 오라버니는 매우 애통해 했다. 그 때는 너무 어려 그 두툼한 보따리에 무슨 의미가 있는지 잘 몰랐다고 못내 아쉬워하는 오라버니는 자신도 언젠가는 글을 쓸 것이라고 슬쩍 속내를 비쳤다.
'정말 그렀네. 언젠가는 글을 쓸 것이라며 흔들거리는 아파트 속에서도 글감이 담긴 공책부터 챙기는 변변치 못한 동생이나 두 아들에게 수시로 장문의 긴한 편지를 써 보내는 오라버니나 그 아버지에 그 아들딸이었구나!'
우리 집안에는 글을 쓰는 사람이 없는데 이상하게도 언제부터인지 내 속에는 글을 쓰고 싶다는 아니 글을 써야 한다는 부담이 있었다. 그동안의 의문이 스르르 풀리던 순간 심장이 멎을 것 같던 전율!
'아 아버지의 피가 내 속에서 흐르고 있었구나! 아버지의 못 다한 꿈을 이 부족한 딸이 이뤄야 할 텐데. 이제라도 자신감을 가지고 당당하게 글을 써 볼까?'
어느새 아버지 돌아가신 지 30년이 지났다. 이미 아버지 나이를 훌쩍 넘긴 못난 딸은 십분의 일 아니 백분의 일이라도 아버지의 삶을 따라 가겠노라고 마음을 다잡아 본다. 후일 아버지를 만나 아버지 떠난 후의 지난 세월을 도란도란 이야기 할 것이다. 자랑스러운 아버지의 딸로 어떠한 삶을 살아 냈는지 딸의 이야기를 들으며 마냥 흐뭇해하시겠지. 6.25 동란 발발 60주년이 되는 6월 또한 아버지날이라고 많은 가정에서 아버지를 생각하는 달이기에 새삼 더 그립고 보고픈 아버지다.
한국 역사의 험한 풍상을 오로지 몸으로 막아내며 그 거센 풍랑 까닭에 오늘 이 시간 바로 이 자리까지 견뎌 오신 장하고 장한 실향 1세대 모든 아버지들에게 힘찬 박수를 보낸다. 그 분들이 고향을 밟을 수 있는 날이 속히 돌아왔으면….
〈끝〉
2010.07.20. 15:18
전쟁은 그 자체도 비극이지만 무엇보다도 슬픈 것은 사랑하는 사람들을 강제로 떼어 놓는다는 것이다. 그것은 가족 친지 연인 등등 모든 관계에 해당될 수 있을 것이다. 누가 말했듯이 전쟁의 가장 큰 피해자는 민간인이다. 3년간에 걸친 한국전쟁으로 사망 실종된 민간인 숫자는 약 300만명으로 추산된다. 그러니 이와 관련된 이야기만 하자고 하더라도 끝이 없을 것이다. 우연히 한 한국전 참전 미군 병사를 알게 되어 그의 체험을 듣고 한 한국 할머니의 처연한 모습을 상상하며 가슴이 저렸다. 미군 병사의 이름은 '월터 벤튼'. 계급은 상사로 당시 압록강을 향하여 북진하던 미 육군 3사단 소속이었다. 그의 부대는 북진중 대거 중공군을 만나 후퇴하게 되었고 결국 흥남에서 비운의 철수작적을 하기에 이르른다. 그가 말하는 이 이야기는 배가 떠나기전 1시간쯤 전에 벌어졌던 일이다. "1950년 12월 24일 크리스마스 전날 영하 20도 우리 부대는 모진 눈보라가 치는 흥남 부둣가에 모닥불을 피우고 앉아 수송선의 승선 명령만을 기다리고 있었다. 그렇게 모닥불가에 서있던 나는 조금 떨어진 곳에 서있는 한 늙은 할머니를 발견하고는 가까이와서 불을 쪼이라고 손짓을 했다. 처음에는 무척 망설이던 그 할머니는 마침내 우리에게로 다가왔다. 모닥불을 위로 펴서 뻗은 할머니의 손은 평생동안 험한 일만 한 탓인지 울퉁불퉁하고 굵은 매듭이 생겨 있었다. 이렇게 추운날 장갑도 없이 어떻게 동상에 걸리지 않았는지 신기할 정도였다. 대형 물통을 밀어주면서 할머니를 앉게한 다음 무척 시장해보이는 할머니를 위해 깡통 통조림 몇개를 뜯었다. 이때 쯤 부두와 해안가에서는 미처 배에다 실을 수 없게된 식량 장비등 군수품이 산더미처럼 쌓여 있었고 이를 폭파시키기 위하여 야전 공병대들이 숨가쁘게 뛰어다니고 있었다. 내가 그동안 배운 짧은 한국말 또 옆의 전우들까지 합세해 손짓 발짓으로 알아낸 바에 의하면 할머니의 나이는 93살이었고 지난 며칠동안 먼 길을 걸어왔다고 한다. 가족들은 죽거나 흩어졌고 함께 오던 몇몇 친구들과 같은 마을 사람들도 모두 폭격이나 전투상황으로 서로 뿔뿔히 헤어졌다고 한다.
2010.07.20. 15:13
엄마는 언제나 한복을 입고 계셨다. 아주 어렸을 때의 기억 속에서도 엄마는 사시 사철 긴 치마와 저고리를 입고 솜 넣은 버선에 고무신을 신은 모습 뿐이다. 더운 여름날 손수건으로 흐르는 땀을 닦으며 발 끝까지 내려오는 치마 자락을 손으로 잡아 허리끈으로 질끈 동여 매고 장 바구니를 들고 대문을 나서는 엄마의 뒷모습은 동네 사진관의 흑백 사진처럼 아직도 선명하다. 태어나고 자란 서울의 돈암동이 내 세계의 전부 일때 엄마가 나만 사립초등학교에 보냈다. 당시의 '성신 사대부국'은 근처의 은석과 함께 돈 많고 '빽'좋은 집 아이들이 많았다. 학교 행사나 수업 참관일 때면 학부형들이 오는데 다들 양장에 하이힐이 대부분이었다. 나는 언제나 한복에 고무신을 신은 엄마가 은근히 부끄러웠다. 나이에 비해 생각이 깊은 편인지라 특별히 부모님 뜻을 어긴 적이 없었지만 엄마의 고무신은 싫었다. 엄마는 집에서도 늘 솜버선을 신은 채였다. 엄마의 맨 발을 본 적이 없었다. 그래도 우리 형제들 넷을 키우고 살림하며 엄마는 늘 명랑하고 분주했다. 초등학교 3학년 여름이었나보다. 몹시 더웠는데도 목이 따끔거리고 한기가 들었다. 식은 땀을 흘리며 말도 못하고 앉아있는 데 담임 선생님이 조퇴를 명령했다. 뜨거운 햇볕을 고스란히 받으며 어떻게 걸었는 지 모른다. 열린 우리 집대문을 보니 반가와서 울음이 나왔다. 1. 한 여름의 집 안은 찜통처럼 더웠는데 이상하게 조용했다. 아직 학교도 안 들어 간 어린 두 동생도 보이지 않았다. 집에 아무도 없는 것 같아서 벌컥 설움이 복받히려는 데 어디서 가는 노래 소리가 들려왔다. 마치 뭔가에 홀린 것처럼 마루로 조용히 올라갔다. 몇 발자욱을 옮기다 열어 놓은 건넌방에서 엄마의 버선 벗은 두 발을 보았다. 엄마의 두 발은 발가락이 하나도 없이 뭉툭하고 작았다. 발 등과 옆에는 칼자국 같은 흉터가 크게 나 있고 주변은 굳은 살이 허옇게 덮고있었다. 엄마는 대야에 물을 떠다 발을 담가 불려서 면도칼로 굳은 살을 깍아 내고 있었다. 그 일에 집중하느라 엄마는 내 기척도 한참이나 지나서야 알아차렸다. 나에게 엄마의 처참한 두 발은 무섭고 충격이었다. 나는 아무 소리도 못 하고 입술만 앙 물고있었나보다. 엄마가 나를 보고 눈을 크게 뜨는 것이 보였다. 일 주일쯤 여름 몸살을 심하게 알았고 그 날 이후로 다시는 엄마 발에 대해서 불평하지 않았다. 엄마는 발가락이 다 잘려나가 작아진 발을 버선 앞 뒤로 솜을 뭉쳐 넣어 적당한 크기로 만들고 거기에 맞춰서 고무신을 신고 다닌 것이다. 대중 목욕탕에 목욕하러 갈 때 왜 항상 외할머니나 이모하고 같이 갔는 지도 알 것 같았다. 열 살짜리 마음에도 엄마의 발은 건드려서는 안될 상처이고 끔찍한 비극의 잔재로 남게되었다. 2. 육이오 사변이 터진 1950년 엄마는 여고를 막 졸업한 꿈 많은 열 아홉이었다. 자기 주관이 뚜렷하고 독립적인 칠남매의 맏이라 아래로 동생들을 돌보며 상급 학교로 진학하려는 소원을 가슴에 품고 있었다. 전남 고창에서 부유했던 외가는 주변에 친척들도 많아 유복한 일가를 이루었고 인심이 후하고 부지런한 외할머니는 어려운 이웃들을 늘 챙기고 도우셨다. 그러나 전쟁은 평화롭던 마을을 지옥으로 바꾸었다. 순하고 착한 마을 사람들은 인민군이 들어오자 그들의 꼭둑각시가 되어 가진 자들을 반동으로 몰아세웠다. 외가의 재산은 다 빼았겼고 가까운 친척들이 인민 재판이라는 이름으로 처단되었다. 외할아버지는 집안의 소작농 아저씨의 도움으로 그 집에 몸을 숨겼다. 대신 가장이 없어진 후 외할머니와 남은 식구들은 끔찍한 댓가를 치루어야했다. 장녀로서 아버지를 대신해 어머니와 어린 동생들을 지켜내느라 겨우 스물 안팎의 엄마가 당했을 고난은 상상할 수도 없다. 엄마의 여섯 동생들 중에서 가장 엄마를 따르고 총명했던 바로 밑의 남동생이 장남이라는 이유로 아버지를 대신해 죽창에 찔려 잔인하게 죽어갔다. 엄마는 혼절한 외할머니 대신 사랑하는 동생이 고통 속에서 죽어가는 모습을 피눈물을 흘리며 지켜보고 나중에 시신까지 수습해서 뒷 산에 묻었다. "마치 온 세상이 피에 굶주린 아귀들로 가득 한 것 같았지. 죽창을 제일 먼저 찌른 놈이 나랑 젖을 같이 먹고 자란 유모의 아들이더라. 내 쌍둥이 형제 같은 그 놈이었어." 내가 고등학교때 엄마는 그 시절의 얘기를 처음으로 들려주었다. 3. 나는 그 때까지도 엄마네 형제들(외삼촌과 이모들)이 모두 일곱인 줄로 알고있었다.엄마에게는 가슴에 묻은 채 죽어도 잊지 못하는 생각만 해도 심장에서 피가 뚝뚝 떨어지는 아픔인 또 한명의 동생이 있었던거다. 국군이 마을을 접수하고 또 한 바탕의 피비린내 나는 보복이 시작되었다. 인민군때 붉은 완장차고 압잡이노릇을 했던 자들이 이 번에는 거꾸로 숙청 대상이었다. 형제가 서로 총부리를 겨누고 선량한 마을 사람들이 아무렇지 않게 사람들을 죽이는 피비린내의 연속…. 몹시 추운 겨울에 엄마네 식구들은 피난 길에 올랐다. 가재도구도 겨우 챙겼지만 혹한에 어린 동생들 돌보느라 엄마는 몹시 힘들었다. 특히나 늦게 태어난 막내가 아픈 바람에 외할머니는 막내에게 묶여있고 나머지 다섯 동생들은 고스란히 엄마 책임이었다. 엄마는 장녀로서의 책임감과 유난히 잘 참는 성격때문에 자기 몸이 망가지는 것도 몰랐다. 피난 중에 엄마의 두 발이 동상에 걸렸다. 검푸르게 변한 두 발은 감각이 없고 걸을 수가 없었다. 스무 살의엄마는 그때 무슨 생각을 했을까?
2010.07.20. 1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