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입시는 ‘전쟁’이다. 학생과 학부모가 함께 전략을 갖고 임해야 하지만, 결국은 학생 스스로 싸워야만 하는 ‘자기와의 전쟁’이다. 전쟁에서 전략이 없으면 많은 희생을 치르고도 이길 수 없다. 그러나 상대방을 알고 전략을 세운다면 승산은 높아진다. 여기서의 상대방을 입학사정관으로 가정해보자. 사정관은 합격과 불합격의 판단을 내리는 사람들이다. 각 대학마다 10~20여명의 입학사정관들은 매년 수만장의 지원서를 4개월여에 걸쳐 검토한다. 미국에는 2만7000여개의 고등학교가 있다. 이곳에서 한해 300여만명의 졸업생들이 쏟아진다. 이들중 각각 2만7000명의 수석졸업생과 총학생회장, 그리고 신문편집장 등이 배출된다. 이같은 최고의 학생들은 줄잡아 10만~15만명에 이른다. 거의 차이가 없는 지원자들이 대학마다 수백~수천명에 달한다. 하버드대 입학사정관들은 “매년 3만여명의 우수 지원자 가운데 1600여명을 추려내는 작업이야말로 가장 고통스러운 시간”이라고 입을 모은다. 이같은 상황에서는 어디선가의 단 1% 차이가 합격을 좌우한다. 진학 전문가들은 그 ‘결정적인 1%’가 바로 대학 지원서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한다. 열정이 느껴지고 최선을 다해 작성한 지원서가 사정관 눈에 띄는 것은 너무도 당연하다. 따라서 원서 작성에 들어가기전 사정관들이 어떤 학생을 선호하는지, 어떤 스펙을 중시하는지 파악하는 노력이 매우 중요하다. 즉 ‘입학 사정관의 입장에 한번 서보라’는 것이다. 과거 전국대학입학카운슬링협회(NACAC)가 전국 661개 대학입학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입학사정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는 요소를 발표한 적이 있다. 결과를 보면 대입 주요과목 성적과 SAT·ACT 점수, 전 과목의 성적, 그리고 학급 석차, 에세이, 추천서 순이었다. 첫째, 대입준비 주요과목(College prep courses)의 성적을 중시하는 이유는 대학에 와서도 성공적인 학업 능력을 보여줄 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이다. 따라서 AP(Advanced Placement) 등이 제아무리 도전적인 과목이라 하더라도, 기타 과목 위주로 이수해 숫자를 채우는 방식은 호평을 받지 못한다. 즉, 영어·수학·과학·사회 등 주요 과목을 AP로 정면 승부하는 게 더 낫다는 얘기다. 두번째, SAT/ACT 점수가 중요하다. 이는 각 대학이 우수 학생을 판별하는데 간편하고도 경제적인 방법이라는 이유에서다. SAT 점수를 기준으로 삼다보면 각 고교마다 다른 학점(GPA) 산정방식으로 인해 혼란을 겪을 일도 줄어든다. 갈수록 늘어나는 지원자를 변별해 내는데 이만한 내셔널와이드 기준도 없다. 세번째는 전과목 성적이 중시된다. 대입준비과목 성적외 기타 과목의 성적에도 비중을 두는 이유는 바로 ‘균형과 성실성’을 보기 위해서다. 따라서 장래 소셜워커가 될거라고 해서 물리나 생물 점수를 등한시 하지 말라는 얘기다. 네번째는 학급석차(Class Rank)다. 물론 현재 미국 고교의 45%만이 학급석차를 매기고 있기 때문에 이는 그리 유용한 기준이 못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다수 대학들(78%)은 여전히 학급석차를 참조하기를 원한다. 특히 경쟁률이 치열한 대학일수록 더욱 그런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다섯번째로는 지원서 및 에세이(College Application Essay)가 중요하다. 특히 명문대일수록 에세이를 중시한다. 에세이는 흔히 귀찮고 까다롭게 여겨지지만, 반대로 대학측에 자기 자신을 잘 알릴 수 있는 ‘절호의 찬스’임을 명심해야 한다. 일단 정해지면 바꿀 수 없는 성적이나 특별활동 경력과 달리 에세이는 시간적 여유를 갖고 얼마든 개선해 나갈 수 있다. 어찌 에세이에 최선을 다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 진학상담: 571-217-9595 / AGM College Planning
2010.06.21. 15:29
대학 지원서에는 일을 한 경력(Work experience)을 쓰는 란이 있다. 일 경력사항을 적는 란도 공통지원서(Common App.)에는 4개, 유니버셜 지원서(Universal College App.)에는 5개나 된다. (참고로 유니버셜 지원서는 공통지원서와 경쟁관계에 있는 입학원서 양식의 하나로, 현재 하버드·유펜·듀크 등 80여개 대학이 이를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의 일 경력이란 돈을 받고 노동을 하는 유급 근로(Paid Job)를 말한다. 무급 인턴십이나 무급 자원봉사 등은 당연히 이에 해당되지 않는다. 지원자들은 그동안 고교시절 일 경력에 대해 아무 생각을 안하고 있다가 막바지 원서를 쓰면서 낭패감을 맛보게 된다. 원서 작성을 앞둔 11학년 학부모들의 볼멘소리가 터져 나온다. “우리 애는 단 하루도 돈버는 일을 해본 적이 없는데…. 혹시 대학진학에 불리한 건 아닌가요? 학교 공부에다 SAT·AP시험공부·자원봉사·특별활동 등 학생들이 할 것이 많은데 언제 일할 시간이 있다고 이런 것까지 쓰라고 하나요?” 당연한 푸념이다. 대졸자들도 직장 잡기가 하늘의 별따기인 판에 하물며 고교생들이 유급 일자리를 갖는다는 게 어디 그리 쉬운 일이겠는가. 그렇다고 빈칸으로만 남겨 두기에도 웬지 찝찝하다. 미국 대학들은 왜 굳이 학생들이 돈을 받고 일을 해 보았는지 확인해 보려는 걸까. 바로 학생의 성숙도를 가늠해 보기 위해서다. 청소년들이 학교 울타리를 벗어나 현장을 체험해본다는 것은 그 자체로도 대단히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학생들이 일을 해보게 되면 우선 맡은 일에 대한 강한 책임감을 배운다. 돈 받고 하는 일인만큼 책임이 따를 수 밖에 없다. 또 윗사람의 명령에 따르는 법이나 다른 사람들과 어울려 일하는 법 등을 터득하게 된다. 이런 경험은 학생들을 한층 성숙하게 만든다. 대학들은 바로 이점에 착안, 지원서에 Work experience를 기재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면 학생들은 어떤 일을 하는 것이 좋을까. 아무 일이나 무작정 해도 괜찮은 걸까. 전문가들은 일을 찾아 나서기 전 깊이 생각해 볼 것을 권한다. 아무 일이나 마구잡이로 할 것이 아니라 미래 자신의 전공과 연관지어서 하라는 설명이다. 예를 들어 저널리즘을 전공하려는 학생은 지방 신문사 등을 노크해보고, 과학도가 되려는 학생은 생명공학업체 연구실 등에서 일을 해본다면 더 말할 나위 없이 좋을 것이다. 올해 일찌감치 치대 예과 과정에 들어간 김모군(페어팩스)의 경우 지난 11학년 방학때 동네 치과병원에서 일을 도운 경력이 있어 합격장을 받은 것과 같은 이치다. 학생들은 아무리 작은 일이라도 직접 창업을 해보는 것도 좋다. 자기 비지니스를 했다는 것은 학생이 리더십이 있다는 확실한 증거이기 때문이다. 차 닦는 일, 집집마다 다니며 문에 게시물을 전달하는 일, 비디오를 찍어 편집해주는 일, 방학을 맞아 어린 학생들을 돌봐주거나 튜터링 해주는 일, Ebay 비즈니스 등으로 돈을 번 학생 등을 참조해 볼만 하다. 그렇다고 동네 베이글 숍에서 일하는 것이 전혀 가치 없다고 말하는 것은 아니다. 입학사정관들은 일을 통해 학생이 무엇을 배웠고 얼마나 성숙해졌는지 알고 싶을 뿐이다. 하지만 구슬도 꿰어야 보배다. 단순히 돈 버는 일을 많이 했다고 해서 좋은 건 아니다. 일자리를 찾다가 느낀 점이나 인상 깊었던 기억들을 대학진학 에세이에 녹여 표현해 보는 것도 중요하다는 얘기다. 여기서 한가지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일자리를 찾는 것 못지않게 학교성적(GPA) 관리가 기본이 돼야 한다는 사실이다(Balancing Work and Grades). 성적은 자꾸 떨어지는데 특별활동만 열심히 했다는 인상을 주는 것 만큼이나 ‘학생답지 않은’ 스펙도 없기 때문이다. ▷ 진학상담: 571-217-9595 / AGM College Planning
2010.06.14. 17:14
대학을 방문, 입학사정관들을 만나보면 예상외의 푸근함이 느껴진다. 왠지 무섭거나 무표정한 포커페이스(Poker face)일거라는 선입관과는 거리가 멀다. 인터뷰를 요청하면 자신들의 시간이 허락하는 한 거의 받아준다. 심지어는 “입학국장님을 만나게 해드릴까요?”라며 한술 더 뜬 과잉친절(?)을 베풀어준다.
사실 미국 대학 입학 사정관들의 생활은 밀실에서 이뤄졌었다. 혹시라도 입학부정이 생길까하는 우려에서다. 그래서 지원자들은 대학별로 만들어 놓은 ‘메시지 보드’나 ‘칼리지 컨피덴셜(collegeconfidential)’ 등 웹사이트에 들어가 대학진학 관련한 궁금증과 안타까운 심정을 토로해 온 것이 고작이었다.
그러나 몇년전 존스합킨스의 입학사정관인 대니얼 크리지가 학생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블로그(Blog)를 열어 화제를 모았다. 이 블로그에는 입학사정관들이 무엇을 중시하고, 무엇을 고민하는지 씌여 있다. 다른 입학사정관 동료들의 생각도 곁들였다. 크리지는 자신이 한해 몇개의 원서를 읽고 있으며(1200여개), 어떻게 심사가 진행 되는지, 그리고 원서를 읽으면서 자신이 가장 싫어하는 것(pet peeves)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담백하게 기록해 놓았다. ‘밀실’에서 일하던 입학사정관의 입장이 공개된 셈이다.
그런데 최근 이 블로그에 대학지원시 첨부할 수 있는 학생의 이력서(Resume)와 관련된 글이 올라와 있어 이를 소개해 본다. 학생의 이력서 작성은 의무사항은 아니다. 그러나 자신의 장점을 더욱 드러내기 위해서는 꼭 필요할 수도 있다. 왜냐면 공통지원서에 쓰는 특별활동 수는 소위 ‘똑똑한 놈(?)’ 7개 밖에 안되기 때문이다.
대니얼 크리지가 지적하는 Resume작성시 해야 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 5가지는 다음과 같다.
2010.06.07. 1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