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한인건축가협회(KAANY: Korean Architects Association of NY.회장 손창수) 연말 행사가 지난 6일 협회원 및 종사 엔지니어 7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유명 조명회사인 USAI Collaboratory 쇼룸에서 열렸다. KAANY는 뉴욕·뉴저지 일원에서 활약하는 건축설계사(RA), 친환경 건축 전문가(LEED AP, CPHD), 인테리어 설계사(NCIDQ), 조경 건축가(PLA) 등 엔지니어와 전공 학생들로 구성된 협회로 매년 건축 설계, 조경, 인테리어, 친환경 에너지 효율성 건축의 아키토크(Architalk) 행사와 강의 등의 이벤트를 개최하고 있다. [뉴욕한인건축가협회]뉴욕한인건축가협회 KAANY 손창수 회장 아키토크 USAI Collaboratory 쇼룸
2024.12.09. 20:13
뉴욕에서 활동하고 있는 한인 김용엽 건축사(Registered Architect in New York state)가 친환경 건축 연구와 확산의 선구적인 건축가로 주목을 받고 있다. 한국에서 홍익대 건축학과를 거쳐 미국에 유학, 컬럼비아 건축대학원을 졸업한 김 건축사는 졸업 후 친환경 식물원 ‘에덴 프로젝트’로 유명한 건축회사 ‘그림쇼 아키텍츠(Grimshaw Architects)’에 입사해 아름다우면서도 친환경적이고 에너지를 적게 사용하여 탄소를 줄일 수 있는 건물을 제작할 수 있는지에 대한 깊은 연구·설계와 함께 중동의 친환경 사옥 외에도 미국과 아시아 등지에서 지속가능성을 모티브로 한 사옥과 연구실을 계획하고 있으며, 뉴욕한인건축사협회(KAANY) 등에서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김 건축사는 “컬럼비아 건축대학원에 진학한 뒤 친환경 건축에 관심을 갖고 전 세계 스타 건축가들이 주목하기 시작한 ‘매스팀버(Mass timber: 공학화된 목조구조)’ 구조의 설계와 디자인을 깊이 연구했다”며 “지구온난화가 문제가 되고 있는 지금 친환경 건축이 지구환경을 살리는 건축의 미래가 될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강조했다. 김 건축사는 “매스팀버로 지어진 건물은 기존의 전통적인 건물들보다 50% 이상의 탄소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며 “미국과 한국 등에서 지속가능성의 관점에서 매스팀버가 철근과 콘크리트의 많은 부분을 대체할 것으로 보여 이 분야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와 설계를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화여대 ECC, 삼성역 앞 영동대로 지하계획, 강남 르메르디앙호텔 재건축 등 대형 프로젝트를 디자인 한 회사인 도미니크페로에 근무한 김 건축사는 베르사유 궁전 리노베이션 프로젝트 참여와 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공모전팀 경력(2년 6개월) 등을 통해 건축가로서의 자질을 다졌다. 김 건축사는 이러한 한국에서 가졌던 ‘세계적인 건축가’로서의 꿈을 바탕으로 “다가오는 사회·문화·환경적인 변화에 적응하고, 이를 이용해 나 자신만의 건축을 해보고 싶다”는 계획을 밝혔다. 박종원 기자김용엽 김용엽 건축사 김용엽 뉴욕 건축사 컬럼비아 건축대학원 홍익대 건축학과 KAANY Mass timber 매스 팀버 건축 Grimshaw Architects
2024.06.27. 17: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