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그룹의 차녀 최민정씨가 각성제로 분류되는 약물의 처방전을 남발하다 경영진이 기소된 미국의 중국계 의료 회사에서 자금 업무에 관여했다는 미국 언론의 보도가 나왔다. 최씨 측은 문제가 된 자금 업무는 퇴사 이후의 일이므로 보도는 사실 무근이라고 반박했다. 연방검찰에 따르면 지난 6월 샌프란시스코 지역 원격의료 회사 ‘던 글로벌(Done Global)’의 경영진들이 소셜 미디어에 과장 광고를 게재,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ADHD) 치료제인 애더럴(Adderall)을 부적절하게 처방한 혐의로 기소됐다. 애더럴은 마약류로 분류되진 않지만, 각성 효과가 있어 제대로 된 처방에 따라 사용하지 않으면 심장마비 및 약물 의존 증상을 보일 수 있다. 현재 미국 젊은층 사이에서 오남용 문제를 일으키는 대표적인 약물이기도 하다. 이 회사는 팬데믹 이후 원격 의료 활성화 과정에서 4000만개 이상의 애더럴을 처방하고 1억 달러 이상의 수익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 회사의 창업자이자 CEO인 중국계 루시아 허(Ruthia He)가 기소 직전 중국으로 떠날 계획을 세우는 과정에서 홍콩으로 돈을 이체하는 일을 최씨에게 맡겼다고 26일 보도했다. WSJ은 최씨와 관련해 “그의 아버지는 한국의 억만장자 사업가인 최태원이고 할아버지는 대통령이었다”고 실명을 적시해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최씨는 이 회사에서 재무책임자로 근무했고 허 CEO와는 베이징 대학 동문이다. 허 CEO는 당국의 수사망이 좁혀오자 홍콩으로 향하는 편도 비행기 표를 구매, 미국에 예치됐던 돈을 중국으로 보내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재무 담당자인 최씨에게 25만 달러를 홍콩으로 이체하는 일이 주어졌다는 게 WSJ 보도 요지다. 이에 대해 최씨가 창업한 의료 스타트업 인테그럴헬스 홍보실은 29일 “거짓 사실과 사람들을 오도할 수 있는 내용이 담겨 있다”고 전해왔다. 최씨는 2024년 1월 던 글로벌의 재무 컨설턴트 겸 고문직을 이미 사임했기 때문에 그 뒤의 자금 이체 업무와 무관하다는 것이다. 또 SK그룹 측도 이 날 “최씨는 처방 규정에 따른 안전조치를 충분히 하지 않은 데 대한 문제 제기를 한 것을 계기로 던의 CEO와 의견충돌이 이어져 퇴사한 것”이라고 알려왔다. 허 CEO는 지난 6월 수사당국에 체포돼 3개월 동안 수감된 뒤 풀려났지만, 해외 도주 우려가 있다는 법원 판단에 따라 현재 자택에 연금돼 있는 상태다. 최씨는 기소 명단에 들어 있지 않다. WSJ은 “미국 본사의 직원들은 다수 퇴사했지만 중국에 있는 회사를 통해 던 글로벌의 사업은 계속 진행되고 있다”며 “여전히 미국인들이 각성제를 쉽게 처방받을 수 있다”고 전했다. 이 매체에 따르면 던 글로벌의 환자 수는 지난 5월 기준으로 6만7000명이었다. 2022년 11월(약 5만6000명)에 비하면 약 20% 가까이 증가한 셈이다. 이 회사에서 근무했던 간호사 켈리 고든은 WSJ과의 인터뷰에서 “자동으로 처방전을 갱신하고 발급하도록 지시를 받았다”며 “제대로 관리돼야 하는 약물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계속 처방하든지, 회사에서 나가든지 하라는 방식이었다”고 말했다. 최씨는 지난 2014년 한국 해군 사관후보생에 지원해 소위로 임관한 뒤 함정 병과 장교로 2015년 청해부대에서 활동했다. 이때 충무공 이순신함에 승선, 6개월간 아덴만에서 파병 근무도 했다. 2017년 전역 후에는 중국 투자 회사인 홍이투자(弘毅投資·Hony Capital)에 입사, 글로벌 M&A팀에서 근무했다. 2019년부터는 SK하이닉스에 대리급으로 입사해 일했다. 최근에는 미국에서 인공지능(AI) 기반 헬스케어 스타트업을 창업했고, 이번에 적발된 던 글로벌의 재무 컨설턴트 겸 고문으로도 일했다. 최씨는 내달 서울 워커힐 호텔에서 중국계 미국인 사업가와 결혼식을 올릴 것으로 알려졌다. 약혼자는 하버드대, 스탠퍼드대 공공정책대학원을 졸업하고 현재 소프트웨어 관련 스타트업을 운영하고 있다. 그는 2016년부터 2022년까지 미국 해병대에서 복무했고 주한미군으로 10개월 간 근무하기도 했다. 김영남 기자 [[email protected]]SK 최민정 최태원 각성제 ADHD 중국계
2024.09.29. 19:09
미국 내 로비 활동에 나서고 있는 삼성, SK하이닉스, 현대차 등 3개 기업의 로비 활동비 규모가 한국의 주요 10개 대기업 총 로비 활동비의 4분의 3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픈시크릿츠 웹사이트(opensecrets.org)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2년 10개 기업의 총 로비 활동비가 1788만 달러로 집계된 가운데 이들 3개 기업의 로비 활동비 합계는 1340만 달러로 전체의 75%에 달했다. 2019년 656만 달러에 비해서 104% 증가했다. 〈표 참조〉 지난 2019년 총 347만 달러를 로비에 지출했던 삼성은 지난해 66.9%가 증가한 579만 달러를 투입함으로써 1998년 집계 시작 후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올해도 3분기까지 497만5000달러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나 지난해 동기간 대비 15%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삼성이 5개 로비업체를 통해 고용한 로비스트 수도 지난 2019년 27명에서 지난해 55명으로 103.7% 늘었으며 전직 관료 출신 비율도 77.8%(21명)에서 81.8%(45명)로 증가했다. 로비 대상 역시 국무부, 상무부 등 중앙 부처를 비롯해 백악관, 연방통신위원회, 무역대표부 등 13곳에 달했다. 올해는 로비스트와 로비 대상을 각각 66명, 16곳으로 확대한 상태다. 미국 현지에 150억 달러 규모의 첨단 패키지 공장 건설을 추진 중인 SK하이닉스는 2019년 235만 달러에서 지난해 527만 달러로 124.3% 증가했다. 이 역시 지난 2001년 집계 이후 최고치다. 로비스트 수는 2019년 15명에서 지난해 37명으로 146.7% 늘었으며 로비 대상은 에너지부, 상무부, 국가경제위원회, 백악관 등 11곳이다. 바이든 행정부의 인플레이션감축법(IRA)으로 인한 전기차 현지 생산, 도심 항공 모빌리티 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는 현대차는 로비 규모를 2019년 74만 달러에서 지난해 234만 달러로 216.2% 늘려 1998년 집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로비스트 수도 2019년 15명에서 지난해 31명, 올해 34명으로 각각 늘렸으며 로비 대상도 9곳에서 15곳으로 확대했다. 현대차와 비슷한 상황에 처한 기아도 2019년 76만 달러에서 지난해 102만 달러로 34.2% 늘리며 2010년 집계 이후 최고 수준을 나타냈다. 로비스트 수도 6명에서 15명으로 증원했으며 로비 대상도 5곳에서 9곳으로 확대했다. LG/LG전자도 팬데믹 이전 22만 5000달러 수준이던 로비 규모를 지난해 121만 달러로 437.8% 늘렸으며 1만 달러에 불과했던 두산은 지난해 1400%가 증가한 15만 달러를 투입했다. 포스코는 83만 달러에서 48만 달러로 42.2%가 감소해 10개 기업 중 유일하게 로비 활동비가 줄었다. 한편, 유럽과 미국, 일본의 합병 승인을 남겨 놓은 대한항공은 지난해 40만 달러, 올해 3분기까지 16만 달러 등 총 56만 달러를 로비 활동비로 투입했다. 박낙희 기자 [email protected]삼성 현대차 로비 활동비 로비 규모 로비 대상 로비 SK 로비스트
2023.12.17. 19:07
조 바이든(왼쪽) 대통령이 29일 미시간주 베이시티에 위치한 SK실트론 CSS 공장을 방문, 시설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해외 기업의 반도체 투자 사례와 이에 따른 일자리 창출 효과를 내세우고, 연방정부의 경제 활성화 노력에 대해 강조했다. [로이터]바이든 SK실트론 SK 반도체 CHIPS
2022.11.29. 1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