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절감을 이기지 못해서 습관적으로 손목이며 팔에 칼로 상처를 내는 버릇이 있는 환자에게 그녀의 자해 행동은 우울증 증상이 아닌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한다. “Old habits die hard, 오래된 버릇은 버리기 힘들어요”라고 그녀가 응답한다. ‘세 살 때 버릇이 여든까지 간다’는 속담보다 더 빨리 귀에 들어오는 표현이다. 브루스 윌리스가 열연한 액션 스릴러, ‘Die Hard’(1988)가 우리 고유의 격언보다 훨씬 더 호소력이 있구나. 셰익스피어의 ‘햄릿’ 5막 1장. 햄릿은 그의 현명한 친구 호레이쇼와 어깨를 나란히, 30년 동안 같은 일에 종사했다는 교회 묘지기와 대화를 나눈다. 주야장천 삽으로 묘지를 파고 해골들을 접하는 일을 어찌 그리 콧노래를 부르며 할 수 있냐고 햄릿이 학구적인 질문을 던진다. “Has this fellow no feeling of his business? He sings at grave-making.” - “이 작자는 자기가 하는 일에 대하여 아무런 감정이 없단 말이야? 무덤을 파면서 노래를 부르다니.” - 호레이쇼가 응수한다. “Custom has made it in him a property of easiness.” - 습관이 그 사람 안에 태평한 자산(資産)을 만들었답니다. (본인 譯) 로마가 하루 사이에 이루어지지 않았듯이 습관 또한 금방 이루어지지 않는 법. 악기에 익숙해지는 일도 악기를 연습하는 습관이 오래 쌓여 생기는 결과다. 사람을 사귀는 과정도, 남녀의 사랑이 익어가는 경로도, 정신상담의 결과도 마찬가지 수순을 밟는다. “See one. Do one. Teach one.” 1890년에 미국에서 최초로 외과 수련의 제도를 창시한 존스 홉킨스 병원의 외과과장 William Stewart Halsted(1862~1922)가 수련의들을 고무시키던 슬로건이다. 이 금언을 지금도 많은 의학도가 입에 달고 산다. 어떤 의료시술을 한 번 보고, 한 번 하고, 한 번 가르쳐보면 초입생 수련의가 그 시술을 할 수 있다는 격려사. 악사나 글쟁이에게 이 말은 적용되지 않는다. 시에서는 다독(多讀), 다작(多作), 다상량(多商量)을 추천한다. 많이 읽고 많이 짓고 많이 생각하란다. 자해라는 나쁜 습관을 고쳐야 되겠다고 그녀가 심드렁하게 말한다. “Knowing is one thing. Doing is another, 아는 것과 하는 것은 서로 다르답니다.” 정말이지 앎이란 말처럼 무의미할 때가 많다. “Actions speak louder than word, 말보다 행동이 중요합니다.” 넷플릭스 한국 의료드라마, ‘중증외상센터’에서 유심히 들었다. 주인공 외과의사가 “현장은 교과서와 다르다”라고 짧게 말하는 것을. 그 영민한 한국 외과의사는 “교과서에 나온 대로라면 환자는 이미 죽었을 겁니다”라고 크게 소리치며 이론과 현실의 엄청난 차이를 지적한다. 삶의 현실을 교과서적 지식 하나만으로 다스릴 수는 없다. 예외투성이의 현장은 즉각적 행동을 요구한다. 한 번의 시술 대신 무수한 ‘practice, 연습’에서 오는 노련한 경험과 경륜을 필요로 한다. “See one. Do one. Teach one” 하는 슬로건만으로는 미흡하다. “See many. Do many. Teach many” 하면 너무 힘겨운 교훈일까. 외과적 재질, 예술적 재능 없이 태어난 나 같은 사람은 저 눈물겨운 ‘노력상’이라도 받아야 하지 않을까 싶은데. 서량 / 시인·정신과 의사잠망경 hard die die hard 한국 외과의사 주인공 외과의사
2025.02.04. 20:47
(Sam is negotiating with a salesman to buy computers for the company he works for … ) (샘이 회사에서 쓸 컴퓨터를 사려고 세일즈맨과 흥정하고 있다 …) Sam: I like your product but your price is too high. 샘: 물건은 마음에 드는데 가격이 너무 높군요. Salesman: That‘s the best I can do. 판매원: 그 이하로는 안됩니다. Sam: It might be a good price if I was buying one but I’m buying forty. 샘: 하나 사려면 괜찮은 가격이지만 전 40대나 살 건데요. Salesman: That‘s a drop in the bucket. 판매원: 그거야 뭐 그리 많은 수가 아녜요. Sam: But we have twelve other offices in the U.S. and Canada. 샘: 하지만 우린 미국하고 캐나다에 다른 사무실이 열 두개나 더 있어요. Salesman: Are you buying computers for those offices too? 판매원:그 사무실에 쓸 컴퓨터도 사시는 거예요? Sam: If the price is right and we like the way they perform. 샘: 가격이 맞고 기능이 좋으면요. Salesman: How many are we talking about? 판매원: 몇 대를 사신다는 거죠? Sam: We’re talking about forty for this office. 샘: 우리 사무실용으로 40대를 얘기하는 거예요. Salesman: You drive a hard bargain. 판매원: 흥정을 세게 하시는군요. Sam: Well, I‘m just trying to get a good price. 샘: 저야 좋은 가격을 얻으려는 것 뿐이죠. ━ 기억할만한 표현 * a drop in the bucket: (별 티도 나지 않을) 적은 양 “I saved $100 for a motorcycle but it’s a drop in the bucket.” (모터사이클 사려고 100달러를 모으긴 했지만 별 큰 돈도 못돼요.) * the price is right: 가격이 싸다 “The price wasn‘t right so I didn’t buy it.” (가격이 싸지 않아서 사지 않았습니다.) * cut the right deal: 맘에 들도록 흥정하다 좋은 거래를 하다 “It seems every deal he cuts is a good one.” (그는 거래할때 마다 잘 흥정을 해냅니다.)오늘의 생활영어 bargain hard hard bargain good price right deal
2024.05.02. 18:11
Marcus is talking to his mother-in-law Jenny. (마커스가 장모 제니와 이야기하고 있다.) Jenny: Your uncle is really a nice man. He took a lot of time to show us around town. 제니: 자네 삼촌은 정말 좋은 분이시더구나. 시간을 많이 내서 우릴 시내 구경을 시켜주셨다. Marcus: He's always been like that. He really is our favorite uncle. 마커스: 삼촌은 항상 그러세요. 진짜 저희가 제일 좋아하는 삼촌이에요. Jenny: Everywhere we went everybody knew him. 제니: 가는 곳마다 삼촌 모르는 사람이 없더라. Marcus: He's very popular because he's very friendly and has a good word for everybody. 마커스: 다정다감하고 누구에 대해서도 좋게 얘기하니까 사람들이 다 좋아해요. Jenny: If you follow his example you won't go wrong. 제니: 자네도 삼촌처럼만 하면 잘못될 게 없겠어. Marcus: I'm trying but he’s a hard act to follow. 마커스: 노력은 하는데 따라하기 참 어렵네요. Jenny: Well, you've got a good start. You're a very nice son-in-law. 제니: 글쎄, 자넨 시작이 좋아. 아주 괜찮은 사위야. Marcus: Thank you. You've never said that before. 마커스: 감사합니다. 그런 말씀 듣는 건 처음인데요. Jenny: I know but I've thought it many times. 제니: 그렇지? 하지만 그런 생각은 많이 했다. 기억할만한 표현 *show (someone) around: 안내하다. 구경을 시켜주다. "He showed me around New York City for two days but we didn't see very much of it." (그 사람이 이틀 동안 뉴욕을 구경시켜 줬는데도 아직 못 본 게 너무 많아.) *You won't go wrong: 잘못될 수가 없어. "You won't go wrong if you study English every day." (영어를 매일 공부하면 잘못될 수가 없어.) California International University www.ciula.edu (213)381-3710오늘의 생활영어 follow hard hard act law jenny 자네 삼촌
2023.03.15. 19:54
(Sam is negotiating with a salesman to buy computers for the company he works for … ) (샘이 회사에서 쓸 컴퓨터를 사려고 세일즈맨과 흥정하고 있다 …) Sam: I like your product but your price is too high. 샘: 물건은 마음에 드는데 가격이 너무 높군요. Salesman: That''s the best I can do. 판매원: 그 이하로는 안됩니다. Sam: It might be a good price if I was buying one but I''m buying forty. 샘: 하나 사려면 괜찮은 가격이지만 전 40대나 살 건데요. Salesman: That''s a drop in the bucket 판매원: 그거야 뭐 그리 많은 수가 아녜요. Sam: But we have twelve other offices in the U.S. and Canada. 샘: 하지만 우린 미국하고 캐나다에 다른 사무실이 열 두개나 더 있어요. Salesman: Are you buying computers for those offices too? 판매원:그 사무실에 쓸 컴퓨터도 사시는 거예요? Sam: If the price is right and we like the way they perform. 샘: 가격이 맞고 기능이 좋으면요. Salesman: How many are we talking about? 판매원: 몇 대를 사신다는 거죠? Sam: We''re talking about forty for this office. 샘: 우리 사무실용으로 40대를 얘기하는 거예요. Salesman: You drive a hard bargain. 판매원: 흥정을 세게 하시는군요. Sam: Well I''m just trying to get a good price. 샘: 저야 좋은 가격을 얻으려는 것 뿐이죠. ━ 기억할만한 표현 * a drop in the bucket: (별 티도 나지 않을) 적은 양 "I saved $100 for a motorcycle but it''s a drop in the bucket." (모터사이클 사려고 100달러를 모으긴 했지만 별 큰 돈도 못돼요.) * the price is right: 가격이 싸다 "The price wasn''t right so I didn''t buy it." (가격이 싸지 않아서 사지 않았습니다.) * cut the right deal: 맘에 들도록 흥정하다 좋은 거래를 하다 "It seems every deal he cuts is a good one." (그는 거래할때 마다 잘 흥정을 해냅니다.) 오늘의 생활영어 bargain hard hard bargain good price right deal
2022.07.10. 18: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