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LA 최저임금 인상 논란 격화…업계는 '시급 30불' 폐지 캠페인

LA 최저임금 인상을 둘러싼 논란이 격화되고 있다.     호텔·공항 노동자 시급을 2028년까지 30달러로 올리는 시 조례〈본지 5월 27일 A-2면〉에 맞서, 업계는 이를 폐지하기 위한 캠페인을 시작한 바 있다. 이에 맞서 노조는 LA 전체 노동자에게 같은 임금을 적용하자는 내용의 새 발의안을 위해 서명운동에 착수했다.   LA타임스는 호텔·식당 노동자를 대표하는 ‘유나이트히어로컬11’이 16일, 두 건의 주민발의안 초안과 관련 서류를 시에 제출했다고 보도했다. 첫 번째는 LA 시 모든 근로자의 최저임금을 2028년까지 시간당 30달러로 인상하는 내용이다. 두 번째는 80실 이상 호텔 신축 또는 확장, 1000석 이상 이벤트 센터 개발 시 주민투표를 의무화하는 조항을 담고 있다.   노조 측은 “관광업계만 임금 인상 대상으로 삼는 것은 불공평하다”며 “모든 노동자가 더 많은 임금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시 예산이 투입되는 호텔 및 컨벤션센터 개발은 주민이 직접 판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시의회는 지난달 호텔·공항 노동자의 최저임금을 2028년까지 30달러로 올리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곧바로 호텔·항공 업계를 중심으로 한 ‘관광·일자리·진보를 위한 LA연합(LA Alliance for Tourism, Jobs and Progress)’이 해당 조례의 철회를 위한 주민발의안 절차에 돌입했다. 이들은 “30달러 임금은 산업을 위축시키고, 일자리를 줄이며, 개발을 방해할 것”이라고 반발했다.   현재 LA의 일반 최저임금은 시간당 17.28달러이며, 호텔 노동자는 20.32달러다. 공항 민간업체 직원은 보건혜택 포함 25.23달러를 받고 있다.     발의안이 향후 주민투표에 오르기 위해서는 14만 명 이상의 서명을 120일 내에 확보해야 한다.   한편, 연방 차원의 최저임금 인상 논의도 불붙고 있다. 조시 홀리 연방상원의원(미주리·공화)은 시간당 7.25달러에서 15달러로 인상하는 법안을 최근 발의했다. 현 연방 최저임금은 2009년 이후 16년째 동결 상태다.   강한길 기자최저임금 캠페인 최저임금 인상 일반 최저임금 la 최저임금 호텔 항공업계 30달러 미주중앙일보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미국 LA뉴스 LA중앙일보 강한길 근로자

2025.06.17. 21:39

썸네일

LA 최저임금 인상 업종따라 들쑥날쑥

LA카운티 수퍼바이저위원회(이하 위원회)가 업종에 따라 위선적으로 최저임금 인상 기준을 제안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LA데일리뉴스는 지난 8일 위원회가 관광업에 초점을 맞춰 최저임금을 30달러로 인상하자는 안을 제시했지만, 이틀 뒤인 10일에는 카운티에 소속된 의료종사자의 최저임금을 25달러로 인상하는데 반대하는 서한을 주 정부에 보냈다고 20일 전했다.   수퍼바이저들의 모순적인 태도는 해당 서한에 잘 드러난다고 매체는 전했다. 실제 위원회는 서한에서 “(임금 인상은) 카운티 연간 재정에 상당한 부담을 줄 것”이라며 “매년 최대 2억 달러의 추가 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카운티가 앞으로 계속 고용을 하고 대중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해로운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심지어 이들은 이러한 극적인 변화는 정리해고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잠재적인 홈리스 증가로 나타날 수 있다고 강하게 반대했다.     그러나 매체는 이토록 경제적 영향을 우려하는 위원회가 관광 업계의 엄청난 임금 인상에 있어서는 다른 분야에 어떠한 영향을 끼칠지 경제 영향 분석 한번 없이 번개처럼 빠른 속도로 법안을 추진한다고 지적했다.     더구나 의료종사자의 임금 인상 법안이 카운티의 노사간 단체 교섭 능력을 약화시킨다고 주장에 대해 매체는 “호텔 직원 노조(Unite Here Local 11)의 시위 소리에 잠을 깬 사람이라면 누구나 노조가 협상테이블에 앉아있는 것을 안다”며 “위원회는 특별한 이익 집단이 아닌 우리 모두를 위해 일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장수아 기자 [email protected]최저임금 인상 최저임금 인상 la 최저임금 la카운티 수퍼바이저위원회

2023.08.22. 23:16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