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STEM 일자리 뉴욕시 미래 견인”

과학·기술·공학·수학(STEM) 직군이 뉴욕시 미래를 이끌어갈 것으로 전망됐다.   29일 지역매체 더 시티(The City)는 뉴욕시 STEM 직종 종사자가 2011~2022년 사이 67% 증가해 19만3000명에 달한다고 시경제개발공사(EDC) 데이터를 인용해 보도했다. 월스트리트 근무자와 맞먹는다. 매체는 세계 금융중심가인 뉴욕 월스트리트를 STEM 직군 종사자들이 대체할 날이 머지 않았다고 봤다.   EDC는 STEM 직군에서도 비중이 높은 제조, 소프트웨어 개발, 정보기술, 엔지니어링, 과학 연구 분야를 조사했다. 같은 분야 다른 리포트들은 온라인 출판, 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도 STEM 직종으로 다루지만, EDC는 이들 직군이 엔지니어, 과학자를 많이 고용하지 않아 제외했다.   STEM 분야 기업은 10년간 52% 늘어나 1만3000개를 조금 넘는다. 다만 대부분이 재직자 수 6명정도의 소규모다.   조나단 보울 센터포어번퓨처(Center for an Urban Future) 이사는 "STEM이 뉴욕시의 미래 중산층 등을 이끌어나갈 드라이브가 될 것이란 의미"라며 "중산층 및 고임금 근로자를 위한 일자리가 될 것"이라고 했다.   성장세는 늘어나는 STEM 학위와 관련있다.   25세 이상 뉴욕시민 46만7000명이 STEM 학위자다. 2021년 전체 학위 수여자 중 29%가 STEM 학위를 받았다. 강민혜 기자 [email protected]일자리 stem stem 일자리 뉴욕시 stem 뉴욕시 미래

2024.01.29. 19:41

STEM 커리어 토크 콘서트, 온라인 개최

재미한인여성과학자기술협회(KWISE)와한국여성과학기술인육성재단(WISET)이 공동으로 주관 하는 '스템(STEM) 커리어 토크 콘서트'가 21일 오후 8시 30분부터 온라인으로 열린다.   이번 행사는 두 협회의 글로벌 멘토링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STEM(과학·기술·공학·수학) 분야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학생과 사회초년생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계획됐다.   전미현KWISE 본부 회장은 "한인 학생들을 위해 이번 행사를 준비했다"며 "차세대 여학생 및 경력 초기에 있는 분들께 앞으로의 장기적 진로 설계에 도움을 줄 수 있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이날 멘토로 인공지능 분야 전문가인 신봉근 박사(디어젠 USA 대표), 김단종노스텍사스대학 교수, 한나크라우캠프 마이크로소프트 시니어 데이터과학자, 권혁현 에모리대학 교수가 초빙됐다. 이들은 각자의 커리어 및 여러 경험에 대해 공유할 예정이다.   커리어 토크는 무료로 참가할 수 있으나, 온라인으로 사전 예약해야 한다.   예약=www.kwise.org 윤지아 기자커리어토크 stem stem 커리어토크 차세대 여학생 김단종노스텍사스대학 교수

2023.07.14. 14:51

썸네일

치열한 STEM 전공, 탄탄한 전략 필요…최고 난이도 수학·과학 수업 들어야

테크놀러지에 관심이 많거나 수학, 과학 수업에 재미를 느끼고 잘 하는 학생이라면 대학에서 STEM을 전공할 가능성이 높다.     STEM이란 사이언스(S), 테크놀러지(T), 엔지니어링(E), 매스(M)의 머리글자를 따서 만든 용어다. STEM 분야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현대 사회에서 테크놀러지와 과학은 우리 생활을 더 편리하게 개선하고 혁신을 일으키는 데 없어서는 안 될 분야가 됐다. 우리 주변의 환경을 유지하고 개선하는 것에서부터 기술 개발에 대한 인류의 끝없는 도약에 이르기까지, STEM은 사회를 앞으로 나아가게 하는 실질적인 분야 중 하나다. 게다가 STEM 분야의 직업 전망은 계속 좋아지고 있다.     그렇다면 STEM 교육의 혜택은 무엇일까?     단순히 4가지 과목의 지식을 얻는 것을 넘어서, STEM 교육을 추구하는 학생들은 여러 혜택을 받는다. 미래의 직업세계에서 돋보일 수 있는 전문적인 스킬을 배우고, 문제 해결 능력과 비판적 사고력, 협동심과 팀워크를 배우게 된다. 또한 위기관리 능력, 실험 정신, 실패하거나 난관에 부딪혔을 때 이를 딛고 일어서는 회복력, 창의력, 지식을 실생활에 적용하는 능력 등을 터득할 수 있다. 게다가 STEM을 통해 새로운 테크놀러지를 수용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은 더 말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이처럼 현대 사회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는 STEM을 전공하려면 어떻게 해야 지원자로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까?     대학의 STEM 프로그램은 입시경쟁이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치열하다. 따라서 일찌감치 탄탄한 전략을 세우고 입시를 준비해야 한다.     첫째, 고등학교에서 가능한 가장 난이도 높은 트랙으로 수학과 과학수업을 듣는 것이다. 캘큘러스, 화학, 생물, 물리 등을 AP 등 최고 수준으로 수강하고 최고 성적을 받는 것은 기본이다. 수학, 과학이 아닌 다른 과목에서도 탑 성적을 받아서 최대한 높은 GPA를 유지해야 한다.     또한 과외 활동으로 로보틱스나 수학, 물리, 레고, 코딩 등 STEM과 관련된 액티비티를 하는 것이 좋다. 내가 다니는 고등학교에서 STEM 관련 클럽에 참여하거나, 이런 클럽이 없다면 창설해서 열정적으로 활동하라. 리더십 스킬과 주도 정신, 기존의 틀을 깨고 남다르게 사고할 수 있는 능력을 증명한다면 금상첨화다. 수학이나 코딩, 과학 경시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거나, STEM 과목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것도 도움이 될 것이다.     원서에서 내가 왜 STEM에 흥미를 느끼는지, 왜 이 분야가 적성에 잘 맞는지,  해당 분야를 얼마나 잘 이해하고 있는지 증명하라. STEM을 통해 내가 재학중인 고등학교와 커뮤니티에 얼마나 기여했고 앞으로 기여할 수 있는지 보여줄 수 있다면 더 좋을 것이다.     다음은 STEM 학위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지 알아보자.     STEM의 가장 좋은 점은, 각각의 학문 안에서도 다양한 전공과 학위를 폭 넓게 제공하는 분야라는 점이다. 대학에 따라 학위 프로그램에 조금씩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학위를 제공한다.     과학 분야에는 생물학, 헬스 사이언스, 물리학, 천문학, 화학, 환경 과학 등이 있다. 테크놀러지 분야에는 인포메이션 테크놀러지, 사이버 시큐리티,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 개발, 컴퓨터 프로그래밍 등이 있다. 엔지니어링에는 화학 공학, 기계 공학, 토목 공학, 산업 공학, 전기 공학 등이 있다. 수학 분야에는 수학, 응용수학, 컴퓨터 수학 등이 있다.   STEM 학위를 취득한 후 종사할 수 있는 직업은 어떤 것이 있을까?     보통 학사 학위를 딴 후 가질 수 있는 직업에는 소프트웨어 개발자, 웹 개발자, 컴퓨터 시스템 분석가, 컴퓨터 프로그래머, 데이터 애널리스트, 메디컬 서비스 매니저, 계리사, 전문분야가 다양한 엔지니어 등이 있다.     STEM 분야는 전통적인 분야에서 탈피해 자율주행 자동차 정비사, e-스포츠 경기장 설계사, 기술통합 전문가 등 머지않은 미래에 새롭고 다양한 직업을 창출할 것이라는 기대를 모으고 있다.     ▶문의:(855)466-2783   www.theadmissionmasters.com 빈센트 김 카운슬러 / 어드미션 매스터즈난이도 stem stem 분야 수학 과학 stem 학위

2023.07.02. 18:00

STEM OPT<졸업 후 현장실습> 전공 추가 외국 인재 적극 유치

조 바이든 행정부가 STEM OPT(졸업 후 현장실습) 프로그램에 22개 전공을 추가하는 등 외국 출신 인재 유치를 위한 정책 변경에 나섰다.     국토안보부(DHS)는 21일 22개의 전공을 STEM OPT 프로그램에 추가하는 등 STEM 전공 인재를 유치하기 위한 추가 조치를 취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실리콘밸리 등 첨단 분야 기업들이 요구해온 것으로 미국기업이 첨단 분야 학위 취득자들을 유치하는 데 도움이 될 전망이다.     알레한드로 마요르카스 DHS 장관은 “STEM 교육 및 훈련 기회 확대를 통해 미국 경제가 처한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가져올 수 있다”고 이번 정책에 대해 설명했다.     OPT는 학교를 마친 후 유학생(F-1) 신분으로 합법적으로 일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STEM은 과학·기술·공학·수학 분야를 의미한다. 일반 OPT는 기간이 1년인데 비해 정부에서 승인된 STEM 전공 유학생은 24개월 연장이 가능해서 최대 3년까지 OPT 신분으로 일할 수 있다.     이번에 추가된 22개 전공은 바이오 에너지·클라우드 컴퓨팅·인간중심 기술설계·데이터분석 등 첨단 분야 외에도 기후과학·환경과학 등 환경 관련 전공과 산업 및 조직 심리학·사회조사방법 등을 포함해 그 폭이 넓다. 또, 이번 변경사항은 즉시 적용된다.     이번 정책 변경에 대해 미국상공회의소 측은 “기업의 인력 수요를 충족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환영했다.     하지만 이 조처가 최근의 유학생 수 감소를 해결하기에는 제한적이라면서, 이민비자 확대 등 보다 근본적인 이민개혁 법제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다. 이는 많은 유학생들이 학비나 교육의 질 외에도 졸업 후 취업비자나 영주권 획득이 용이한지 여부에 따라 유학 국가를 선택하기 때문이다.           장은주 기자현장실습 stem stem 전공 전공 추가 stem 교육

2022.01.21. 20:41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