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제이 권의 에스크로 기간] 운수 좋은 날

Los Angeles

2010.05.24 18:02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기사 공유
제이 권/프리마 에스크로 대표
어릴 적 읽은 책 중에 현진건 작가의 '운수 좋은 날'은 소녀 시절 필자에게 사회의 쓴 맛을 엿보게 하는 좀 색다른 책이었다. 억세게도 일이 꼬이는 것을 인력거꾼 김첨지의 하루를 통해 역설적으로 표현한 여느 책과는 확실히 다른 책이었다.

왜 사람들은 '재수가 없다' '운이 좋다'는 것에 집착을 하고 필자 역시 본인의 잣대로 '일이 잘 풀린다' 혹은 그렇지 않다는 것에 감정의 기복이 심해지는 걸까?

풋내기 에스크로 오피서 시절부터 굳세게 의리(?)를 지켜 주시는 고객들 중에는 '일을 깔끔하게 잘 해 줘서' '내 일처럼 해주는 든든함이 좋으니까' 하는 것이 끈끈하게 이어주기도 한다. 하지만 '별로 안좋은 일이 없었기 때문에' 가 진짜 이유인 경우가 압도적이다. 시간이 너무 늦으면 마음이 조급해져서 더 막히는 것 같고 일이 잘 안되는 에이전트와는 너무 터프하게 거래를 시도하지 않았는지 생각해 볼 일이다.

1월 말 타운의 한 식당 에스크로는 모든 것을 '운대가 맞아야 한다'는 지론을 가진 셀러의 고집으로 산전수전을 겪어야 했다. 오픈하는 날부터 '손이 없는 날'로 약속을 해야했고 클로징 날짜도 원하는 날짜로 반드시 맞춰야 해 은행 융자 스케줄과 재료의 배달 무엇보다 ABC 라이센스 이전 날짜를 맞춘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었다.

잘 참아준 바이어 덕분에 무사히 넘어가기는 했으나 살얼음 판이었다고나 할까. 절대 비밀이었던 매상 체크 기간에도 셀러를 거슬리는 이의를 제기할 수 없었던 바이어는 에이전트에게 불만을 토로하고 클로징 이전에 사업체에 발도 들이지 못하게 해 견적도 받지 못한 채 감정이 쌓일 대로 쌓여갔다. 결국 바이어가 융자는 받았으나 ABC 라이센스 이전을 원하는 날짜에 맞추기 위해 마지막 클로징 서류에 사인을 늦춰 사단이 나고야 말았다.

"이상하게 하는 것마다 줄창 깨진단 말이야" 아니면 "신기하게 막힘없이 잘 된다니까" 하는 에이전트나 고객을 만날 때마다 좋은 면이건 나쁜 면이건 겁나기는 마찬가지다. 언제 그 신드롬이 깨어질런지 모르는 일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특히 원인을 엉뚱한 곳에서 찾거나 해석을 달리하는 일이 많아서 억울하기도 하다. 그렇다고 따지는 것은 감정을 더욱 상하게 만들 수 있으므로 '좋은 것이 좋다'는 식으로 넘어가기도 하지 않은가.

부동산 에이전트나 은행의 융자 오피서나 에스크로 오피서 누구도 매매가 잘 안되기를 바라는 이는 없다. 일부러 골탕을 먹이려는 이도 없고 물론 재수 없기를 바라는 일도 절대 없다. 만약 한 번 뜻하지 않는 일이 일어난다면 다시 기회를 가져봄으로 더 좋은 결과를 가질 수도 있고 더불어 '동고 동락'의 결속을 다질 수도 있지 않을까. 어쩌면 모두가 많은 기회를 스스로 저버리고 사는 지도 모르겠다.

▷문의:(213)365-8081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