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에 정착한 탈북자 부부가 '살해-자살'로 숨진 채 발견돼 충격을 주고 있다. 또 같은 날 애틀랜타에서는 한인 여성이 불화 끝에 남편을 총으로 쏘아 살해하고 자살했다.
탈북자 부부는 갖은 박해와 압박을 피해 1년 반 전 미국에 정착했지만 그 결말은 참담함으로 끝났다. 서원경(53)씨와 김영화(47)씨는 18일 밤 뉴욕 로체스터 시 자택에서 시신으로 발견됐다. 부인 김씨는 흉기에 찔린 채, 그리고 남편 서씨는 2층에서 목을 매 숨진 상태에서 아들에 의해 발견됐다.
현지 ABC TV 지역방송국인 채널 13번(WHAM)은 서씨가 다니던 한인 교회 목사의 말을 인용해 1년 반 전 로체스터시에 정착한 서씨 부부가 미국 생활에 적응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고 보도했다. 또 잦은 부부싸움 때문에 경찰이 출동한 적도 있다는 이웃들의 증언을 전했다.
현지 경찰은 남편 서씨가 부인 김씨를 칼로 찔러 살해한 뒤 자살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수사를 진행중이다.
로체스터시 경찰 당국은 20일 정확한 사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신을 부검 중이며 곧 수사결과를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지 ABC TV 앤젤라 홍 기자는 “부부가 1년 반 전에 뉴욕 로체스터에 행복의 꿈을 안고 정착했으나 행복하지 않은 삶 속에서 비극적인 생을 마감했다”고 보도했다. 한인 2세인 홍 기자는 사건을 맡고 취재하던 중 이들이 탈북난민인 것을 발견하고 충격을 받았다고 그의 블로그에서 전했다.
서씨 부부는 20대의 두 아들을 두고 있으며 로체스터 온누리 교회에 출석했다. 두 아들이 중국에서 먼저 탈출한 후 서씨 부부가 뒤따라 탈출에 성공한 후 가족이 결합, 난민지위를 얻어 미국에 정착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서씨가 다니던 교회의 김진규 목사는 “수사가 끝나는 대로 교회가 이들 부부의 장례 절차와 사후 처리를 도울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 목사에 따르면 서씨는 가진 돈도 거의 없었고 심한 문화 충격에 어려움을 겪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서씨 부부의 두 아들은 현재 교회에서 제공한 호텔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