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재정계획] 펀드투자, 돈이 보인다

Los Angeles

2012.03.20 20:34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기사 공유
제임스 최/아피스 파이낸셜 대표
전문가의 도움 없이 스스로 펀드에 투자하겠다고 하면 처음에는 손실 위험이 큰 상품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익보다는 안정성에 맞춰 주식과 채권에 함께 투자하는 혼합형펀드나 초기에는 주식에 투자해서 목표수익을 달성한 후 나중에는 안전한 채권으로 전환해 수익을 보존하는 전략이 좋다.

펀드에 전문지식이 없는 직장인의 경우 401k를 통해 펀드에 투자한다면 주식과 채권에 혼합형펀드로 구성된 라이프스타일펀드나 라이프사이클펀드 같은 패밀리펀드에 투자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또 주식보다는 채권에 자산의 60% 이상을 투자하는 인컴형펀드들은 주가 상승기에는 수익률이 비교적 낮은 반면 경기 변동기나 주가 하락기에는 안정적으로 운용되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무조건 안정성만 추구하면 자산을 불려나가기 어렵고 인플레이션이 계속되는 상황에서는 오히려 손해를 볼 수 있으므로 투자성이 높은 상품과 안전한 상품을 적절하게 나누어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펀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기 위한 5가지 필수 고려 사항들이다.

1. 투자목적과 투자기간을 정하라

투자를 시작하기 전 가장 우선 고려해야 할 것은 펀드를 투자하는 목적이 무엇인지 분명히 해야 한다는 것이다. 목돈마련 은퇴자금 자녀결혼 비용 등 투자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세워야 실수를 줄이고 가장 알맞은 펀드를 고를 수 있다.

목적이 정해진다면 이후 투자기간을 정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 이때 기간은 적어도 3년 이상을 고려한 상태에서 투자에 임해야 한다. 이는 투자를 하다 손실발생시 만회할 수 있는 시간이 어느 정도 필요하기 때문이다.

2. 투자성향을 파악하라

아무리 훌륭한 재테크 비법이라 해도 자신의 투자성향과 맞지 않으면 심리적으로 도중에 움츠러들거나 불안해하며 수익이 날 때까지 진득하게 기다리지 못하게 된다. 이는 곧바로 투자수익률에 직결되기 때문에 신중히 자신의 투자성향을 고려해 투자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55세를 전후해 자산운용차원에서 안전성과 수익성을 고려한다.

3. 러셀투자기법을 사용하라

투자목적과 기간을 결정한 후에는 자산을 적절히 배분해 투자수익률을 극대화한다. 펀드에 한정하여 배분을 하면 원금보존추구형이나 채권형 펀드에 30% 주식형 펀드에 60% 투자예비자금으로 10%를 배분하고 주식형 펀드는 국내펀드 50% 해외 펀드 50%로 배분한 후 러셀투자법에 따라 핵심펀드에 80%를 투자하고 나머지 20%는 원자재 소비재 헬스 등 대안상품에 투자한다.

4. 나에게 꼭 맞는 펀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라

투자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여러 유형의 펀드에 분산투자할 때는 주식형 펀드의 경우 국내 성장형 펀드를 기본으로 하되 가치형 펀드 배당형 펀드로 보완하고 해외 펀드는 글로벌펀드를 기본으로 지역펀드와 국가펀드 섹터펀드 순으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다만 너무 많이 유형을 나눠 펀드를 운용하게 되면 안정적이나 상승장에서는 상대적인 수익의 감소를 볼 수도 있으므로 자금의 규모에 따라 분산투자를 한다.

5. 자산을 재조정하라

한번 구성한 포트폴리오를 영원히 지켜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시장 상황에 맞게 포트폴리오를 조정해야 자산도 지키고 더 많은 수익을 얻을 수 있다.

펀드는 장기 상품인 만큼 6개월에 한 번씩 투자 비중을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문의: (213)272-1780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