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2년후에 대학을 진학할 자녀를 둔 부모 입니다. 하지만 아이는 미래 대학 진학 대학 전공 직업에 대한 고민 등 어떠한 것에도 관심도 없는것 같아 저희 부부는 고민이 되고 걱정이 됩니다. 대학 입학은 점점 어려워지고 학비도 비싸지고 커뮤니티 칼리지마저 과목 선택이 어려워진다는데 이 문제를 아이와 어떻게 풀어나가야 할까요?
▶답= 자녀의 미래 삶의 모습이 윤택한 날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은 이 세상 모든 부모님들의 마음입니다. 하지만 교육현장에서 만명이 넘는 많은 학생들을 만나왔고 교육상담을 해 온 경험으로 본다면 부모님의 과잉보호 풍요로운 생활 속에서 자란 학생일수록 자립심 결여와 부모 의존적 습관이 되어 장래에 관한 일까지도 독자적으로 판단하거나 깊이 생각할수 없는 경향이 많습니다.
그러나 이런 학생들에게 적절한 동기부여와 적절한 교육적 방향을 통하여 그 안에 있는 잠재력과 재능을 찾아주고 스스로 판단하고 해결할수 있는 독립성과 자기 사고를 표현할 수 있는 기능을 개발시켜 준다면 아무도 생각하지 못하는 창의력을 발휘하며 주위를 놀라게 해 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문제는 어떤 계기와 어떠한 방법으로 학생 스스로의 능력을 발견하고 개발시켜 주느냐 입니다. 저의 경험으로는 학생과 부모 그리고 교육자가 함께 할 때 학생들이 저마다 꿈꾸고 있는 아직 발견하지 못한 부분까지도 영양분을 줄 수 있어 그 꿈이 자라나게 되기에 학부모님과 교육자들은 자녀들에게 먼저 손을 내밀어야 할 것 입니다
부모님들과 대화가 없는 학생들일수록 속마음을 알기 어려워 부모된 입장에서 답답하다 못해 아이들을 다그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럴수록 아이들 마음의 문은 더 깊이 닫혀지고 미래에 대한 진로를 돕기가 힘들어지곤 합니다.
공부도 중요하지만 먼저 굳게 닫힌 아이의 마음을 열 수 있도록 교육 전문 상담자와의 시간을 함께 갖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할 것입니다. 마음의 문을 연 후 '장래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것인가?' '어떤 직업을 갖길 원하는가?' 등에 대한 대화를 나누고 직업에 관련된 전공학과를 선택한 후 대학 진학에 대한 정보와 선택의 순서로 사랑하는 자녀들에게 다가가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