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자욱’이라는 표현은 노랫말에 자주 나온다. 사랑의 발자욱, 너와 나의 발자욱, 하얀 발자욱, 슬픈 발자욱 등 곡명으로도 많이 쓰인다.
“흰 눈 위에 곧은 발자욱” “눈이 녹으면 남은 발자욱 자리마다 꽃이 피리니” 등 시어로도 애용되는 ‘발자욱’은 표준말이 아니다.
발로 밟은 자리에 남은 모양을 이르는 말은 현재 ‘발자국’만 표준어로 인정한다. ‘자욱’도 마찬가지다. ‘자국’만 표준말로 삼고 있다.
‘발자욱’과 같이 문학작품에서 주로 쓰이는 표현들이 일상에서 세를 확장하며 2011년 별도 표준어로 추가된 바 있다. ‘내음’이 대표적이다. 코로 맡을 수 있는 나쁘지 않거나 향기로운 기운이란 의미로 국어사전에 올랐다. 좋건 나쁘건 코로 맡을 수 있는 온갖 기운을 말하는 ‘냄새’와는 뜻 차이가 있다.
나래와 뜨락도 별도 표준어가 됐다. ‘나래’는 ‘날개’보다 부드러운 느낌을 주며, 문학적 표현에 주로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