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데믹 이후 물가가 치솟으면서 모든 제품가격이 오르는 가운데, 자동차 보험료도 예외는 아니었다.
9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올해 보험사들은 자동차 보험료를 평균 6~8% 인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 보험사인 올스테이트의 전국 평균 자동차보험 인상률은 7.1%를 기록했고, 최근 올스테이트 경영진들은 추가 인상이 있을 수도 있다고 전했다.
뱅크레이트닷컴에 따르면 올스테이트를 포함해 프로그레시프·가이코·스테이트팜 등 주요 보험사들이 이미 지난해 말 또는 올해 초에 보험료를 올렸다. S&P글로벌마켓인텔리전스 역시 올해 평균 자동차 보험료 인상률이 7.5% 수준이라고 추산했다.
자동차 보험료가 오르는 이유는 물가 상승과 맞닿아 있다. 지난해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대비 7.0% 급등했고, 올해 1월도 7.0%대 물가상승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보험사와 같은 업체가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려면 1년 전에 비해 7.0% 더 많은 비용을 써야 한다는 뜻이다.
교통사고 후 차량을 수리할 때 쓰이는 부품 가격이 크게 올라 수리비가 많이 들고, 보험사가 부담할 비용이 커진 것이 대표적인 예다. 팬데믹으로 일할 사람이 부족해져 자동차 정비소 수리기간은 길어졌는데, 이 경우 보험사가 고객에게 제공할 렌트카 요금도 급등했다. 오미크론 확산세가 잠잠해지면서 전국 교통량은 많아졌고 사고 건수도 급증하자 보험사들의 부담은 더욱 커진 것으로 파악된다. 의료비 부담도 커졌다. 메디케어메디케이드서비스국(CMS)에 따르면 2020년 의료비는 약 9.7% 올라 교통사고 치료비도 예년보다 더 높아진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일부 소비자 단체들은 보험사들이 지나치게 보험료를 올렸다며 항의하고 있다. 자동차 보험을 감독하는 전국보험위원협회(NAIC)는 2020년 이후 보험사들이 실제로 지출한 내용을 점검하고, 보험료 환불 프로그램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