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유통업체 아마존의 성장이 조지아주 애틀랜타에 본사를 둔 최대 물류회사 UPS에 위협이 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애틀랜타 저널(AJC)는 13일 '아마존은 UPS의 고객인 동시에 가장 큰 위협'이라는 기사에서 "아마존이 UPS를 제치고 국내 최대 패키지 운송회사가 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아마존은 그간 UPS 배송 서비스를 사용하고 의존해온 고객이었다. 그러나 지난 2013년 크리스마스 연휴 당시 UPS서비스로 인해 아마존 배송이 지연되자 아마존은 큰 손해를 보게 됐고, 이후 아마존은 신속하게 자체 물류 네트워크를 쌓기 시작했다.
이후 아마존은 창고, 비행기, 트럭을 확보하면서 물류분야에서 꾸준히 성장해 왔고 '무료 배송'이라는 개념을 대중화시키면서 UPS와는 차별화를 내세웠다. 아마존은 배송비를 수익화의 대상으로 보고 있지 않고, UPS보다 낮은 배송비에 따른 비용을 기꺼이 감당할 것으로 보인다.
물류서비스 회사 트랜스포트 인사이트 최고전략책임자 존 하버는 "아마존은 대규모 클라우드 컴퓨팅 사업에서 얻은 수익으로 배송 비용을 보조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AJC에 따르면 지난해 UPS가 약 55억 개의 미국 내 패키지를 전달했고, 아마존은 50억 개 이상의 패키지를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추세로 볼 때 올해 아마존이 물류업계의 거물인 UPS를 능가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물류 컨설팅 회사인 MWPVL 인터네셔널의 마크 울프렛 사장은 "아마존이 2022년 미국 내 물류량에서 UPS를 능가할 것"이라며 "또, 5년 후에 아마존은 UPS나 우편 서비스에 의존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아마존은 물류 네트워크를 구축하게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아마존 자체의 인프라는 계속 성장하고 있다. 조지아에만 30개 이상의 분류 센터, 9개의 딜리버리 스테이션, 기술 허브 센터, 12개의 홀 푸드 마켓 지점이 배치돼 있다. 특히 리비안 전기 배달 트럭 10만 대를 주문했고, 애틀랜타에서 패키지 배달 로봇 테스트, 비행 네트워크 확장 등 혁신에도 서두르고 있다.
반면 UPS는 사업확장보다는 전문성을 살리는 사업쪽으로 방향을 우회하고 있다. 자체 창고나 배송 부서가 없는 중소기업을 위한 물류, 기업 간 배송, 기타 온도에 민감한 의료 배송 전문 분야로 방향을 틀고 있다.
샤림 사리더 레이트쉽먼트닷컴 CEO는 "페덱스(FEDEX)와 UPS가 실패하고 사라질 거라고 보지 않는다"라면서도 "그럼에도 그들은 향후 10년 동안 혁신하는 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