샌디에이고 주립대(SDSU) 오주연 교수는 내년 가을학기부터 SDSU 무용과 학생들에게 ‘K팝 댄스’ 이론과 실기를 가르친다. 여름에는 캘리포니아 주립대의 서머 아트 프로그램(CSU Summer Arts)에서도 수업이 개설된다.
두 주립대의 이 같은 결정에 대해 오 교수는 “K팝 댄스가 무용의 한 장르로서 학계의 인정을 받은 것 같아 감개가 무량하다”고 소감을 밝히고 “내년 여름학기의 경우는 1월부터 수강신청이 열리는데 관심 있는 학생들의 많은 참여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현대 무용을 전공한 무용 이론가인 오 교수는 그간 K팝 음악에 이어 K팝 댄스의 독자적 장르화를 천명하고 이에 대한 학술적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해 왔다.
“K 팝 댄스는 세계 곳곳의 다양한 춤의 영향을 받아 태동했지만, 하나의 독자적 분야로 그 입지를 충분히 다져왔다. 이제는 명실공히 현대무용(Contemporary Dance)의 한 장르로 분류될 수 있는 수준에 이르렀다”며 “더 늦기 전에 ‘K팝 댄스’를 체계적으로 분류, 정리하고 이론적으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 학자로서의 책임감”이라고 말했다.
CSU의 K팝 댄스 수강신청 홍보자료. [CSU 제공]
오 교수는 지난 7월 출간한 자신의 책 ‘K-pop Dance: Fandoming Yourself on Social Media(K팝 댄스: 소셜 미디어에서 자신을 팬덤화하는 법)’에서 K팝 댄스의 학문적 접근을 본격적으로 개진한 바 있다.
이 책에는 미국과 한국에서 활동한 40여 명의 K팝 댄서에 대한 인터뷰를 근간으로 1980년대부터 2020년까지 K팝이 진화해 온 과정을 기록했다. 또한 소셜 미디어에 특화될 수 있도록 다채로운 표정과 현란한 상체 움직임에 집중하는 ‘제스처형 포인트 안무’ 등 무용 이론적 관점에서 K팝 댄스의 특징을 논하는 한편, 방탄소년단과 블랙핑크 그룹 등을 전문 무용수 사례로 분석하기도 했다.
K팝 댄스에 대한 전 세계적 관심을 반영하듯 이 책은 출간과 함께 아마존 사이트의 대중 춤/커뮤니케이션 도서 분야 신간 1위에 오르며 관련 업계와 학계의 이목을 집중시키기도 했다. 특히 K팝 댄스의 역사 기록과 이론적인 분석에 대해 호평을 받았다.
이 같은 성과와 더불어 오 교수는 무용이론으로는 한국인 최초의 미국 대학 종신 교수에 임용되며 해당 분야에서 독보적인 입지를 굳히고 있다.
오 교수는 “K팝 댄스를 학문적, 예술적인 관점에서 연구하는 것은 이 장르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 나아가 그것을 영위하는 이들에게 더 큰 즐거움과 이익을 줄 수 있는 정책과 프로그램을 펼치는 이론적 근간이 될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제 막 시작된 K팝 댄스에 관한 연구는 무용 학계의 블루오션인 셈”이라고 자신 있게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