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변 ‘유럽형’ 새 쓰레기 컨테이너 도입 검토 악취·쥐 문제 주범 쓰레기 더미 문제 해결책 설치시 15만개 길거리 주차공간 사라질 전망
앞으로 뉴욕시에서 길거리 주차(스트리트파킹)는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 뉴욕시가 악취와 쥐 문제의 주범으로 지목된 길거리 쓰레기 더미를 관리하기 위해 도로변에 컨테이너 형태의 대형 쓰레기통을 도입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서다.
3일 시 청소국(DSNY)이 컨설팅 회사 매킨지와 함께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뉴욕시는 도로변에 컨테이너 형태의 대형 쓰레기통을 설치해 상업·주거용 건물 쓰레기를 모으는 방법을 고민 중이다. 청소국 쓰레기 수거 차량이 도착하기 전 쓰레기를 컨테이너 안에 보관해 냄새를 방지하고, 쥐도 서식하지 못 하게 한다는 아이디어다. 유럽이나 아시아 국가에서는 이미 대부분 이 방식을 도입하고 있다.
문제는 건물 밀도가 월등히 높은 뉴욕시에서 쓰레기를 소화할 수 있는 컨테이너를 설치하려면 필요한 공간이 상당하다는 점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길에 쌓인 쓰레기 더미의 89%를 컨테이너에 소화하려면 15만개의 스트리트파킹 공간을 없애야 한다. 일부 블록에서는 최대 25% 상당의 주차 공간을 없애야 한다. 이에 따라 안 그래도 어려운 뉴욕시 스트리트파킹은 앞으로 ‘하늘의 별 따기’가 될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다.
뉴욕시민들은 “이미 공공 자전거 프로그램 ‘씨티바이크’의 파킹 공간을 크게 늘리면서 주차공간이 크게 줄었는데, 앞으로 스트리트파킹 자리를 찾기는 더 어려워질 것”이라며 우려하고 있다. 퇴근 시간이면 1시간 가까이 스트리트파킹 공간을 찾아 나서는 경우도 부지기수다.
쓰레기 더미를 넣을 컨테이너 설치 비용, 컨테이너에 모인 쓰레기 수거에 적합한 특수 차량 주문 비용 등 자금 문제도 간과할 수 없는 요소다. 뉴욕타임스(NYT)는 “쓰레기 컨테이너를 설치하려면 향후 10년간 적어도 수억 달러 비용이 들 수 있다”고 추정했다. 현재는 시 청소국 직원이 쓰레기 더미를 일일이 수거해 차량에 옮겨 담는 반면, 컨테이너를 집어 자동으로 쓰레기를 모을 수거차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 비용도 상당하다.
도심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으면서도 위생적으로 쓰레기를 수거할 창의적인 방법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싱가포르나 네덜란드 등에서 도입된 지하 공간·강변 활용 방안이 대표적 예로 꼽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