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2대 국회의원 재외선거가 지난 1일 마무리된 가운데, 동남부 지역과 미국 전체의 투표율이 크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2일 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애틀랜타 총영사관 관할지역 재외선거 명부 등재자 4134명 중 2063명이 투표, 최종 투표율 49.9%를 기록했다. 투표소별로 애틀랜타 한인회관에서 1496명, 몽고메리에서 215명, 올랜도에서 140명, 랄리에서 212명이 각각 투표했다.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치러지지 않은 제21대 국회의원 선거를 제외하고 2016년 선거에서 투표율 31%를 기록한 것을 감안하면 19%포인트 가까이 높아졌다.
미국 전체로는 재외 유권자 3만3615명 중 55.3%에 해당하는 1만8599명이 투표했다. 지난 제20대 국회의원선거에서 1만3914명이 참여해 36.8%의 투표율을 기록한 것과 비교했을 때 크게 높아졌다.
이에 대해 애틀랜타 총영사관의 김낙현 선거담당 영사는 "올해로 7번째 치러진 재외선거여서 그동안 이루어진 선거 홍보가 쌓여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또 일각에서는 코로나19 팬데믹이 종식된 뒤 유권자의 투표가 용이해졌고, 한국 여야의 첨예한 대립이 재외선거에서도 지지층 결집으로 이어져 투표율을 높인 것으로 분석했다.
동남부 재외투표소에서 수거된 투표지는 3일 항공편으로 한국에 보내져, 4일 한국 도착 후 곧바로 각 지역 선거관리위원회에 전달될 예정이다. 이후 10일 오후 6시(한국시간)까지 보관됐다가 국내 투표지와 함께 개표된다.
한편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이번 재외선거 재외유권자 총 14만8000명 중 약 9만3000명이 전 세계 178개 공관, 220개 투표소에서 투표에 참여, 62.8%의 투표율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역대 총선 투표율 최고치다. 역대 투표율을 보면 2012년 제19대 총선에 처음 도입된 재외선거 투표율 45.7%, 20대 41.4%, 21대 23.8% 등에 그쳤다. 반면 2년 전 대선의 투표율은 71.6%였다.
공관별로 보면 일본 대사관이 5957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LA 총영사관이 3880명을 기록했다. 미국에서는 LA 다음으로 뉴욕, 샌프란시스코 순으로 투표 참여자가 많았으며, 애틀랜타가 전국 4번째로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