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니어가 되면서 아니, 40대부터도 주위 사람의 이름이 기억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연예인이나 셀럽의 이름을 기억 못하는 것은 이해가 되는데, 한글로 된 지인의 이름이 기억나지 않는 경우다. 예를 들어서 이름이 서동균이라는 지인이 있는데 앞의 두 글자가 '서동'만 기억나는 경우다.아니면 아예 서동만, 서동희, 서동훈 등으로 부를 수 있다.
하지만 이름을 기억하는 데 어려움을 겪거나 누군가의 이름을 잘못 부르는 것은 흔한 일이며 대개 걱정할 일이 아니다. 많은 사람이 어렸을 때 잘못된 이름으로 불렸다. 일상에 바쁜 어머니는 가족 이름을 제대로 말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성인이 되어도 사람들은 같은 실수를 반복한다. 이것이 그들에게 소홀해서 일까.
결론은 그렇지 않다. 한 연구에서 인터뷰에 응한 대학생 중 절반이 자신에게 친숙한 사람이 잘못된 이름을 불렀다는 응답을 했다. 실수를 저지르는 사람은 부모와 조부모만이 아니다. 이 연구에서 38%의 학생들은 친숙한 사람을 잘못된 이름으로 불렀으며, 대부분 가족인 경우가 많았다.
누군가를 잘못된 이름으로 부를 때 일반적으로 가족이나 가까운 친구 등 유사하거나 관련된 사람의 이름을 사용한다. 두뇌는 관련 용어의 네트워크에 정보를 저장하기 때문이다.
가장 강력한 방식으로 카테고리에 묶인 이름을 대체할 가능성이 훨씬 더 높다.실수를 저지르는 사람들은 실수로 잘못 이름을 붙인 사람보다 나이가 더 많으며, 화자가 자주 만나는 사람인 경우가 많다. 여성은 남성보다 이름을 혼동하는 경우가 약간 더 많으며 자신의 이름도 혼동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연구 참가자의 40% 이상이 이름을 혼동한 사람이 피곤하거나 좌절하거나 화가 났다고 보고했다. 여러 일을 동시에 처리하려고 하면 실수를 저지를 확률이 높아진다. 많은 사람이 이름을 기억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연구에 따르면 이름보다 직업을 더 잘 기억한다.
이런 명명 오류는 우리가 저지르는 가장 명백한 기억 실수 중 일부이지만 두뇌는 실제로 항상 한 단어를 다른 단어로 대체한다. 또한 정상적인 노화 과정의 일부로 사람들은 원치 않는 단어를 억누르던 능력을 어느 정도 잃는다. 이로 인해 사람들은 더 많은 말실수를 하게 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름이 기억나지 않는 것이나 엉뚱한 단어를 쓰는 것은 나이와 상관이 있기도 하지만 없기도(?) 하다. 아무리 친했어도 막상 얼굴은 떠오르는데 이름이 기억나지 않는 것은 결국 자연스러운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