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어스 마켓으로 옮겨가는 주택시장 [ASK미국 부동산-곽재혁 퍼스트팀부동산]
▶문= 3, 4월 남가주 주택 시장 상황이 궁금합니다.▶답= 최근 들어 가장 중요한 남가주 주택시장의 이슈는 대부분의 주택시장이 “바이어 마켓”으로 접어들었고 이자율의 변동성이 커지면서 4월 10일 정도를 기준으로 이자율이 다시금 7%대로 진입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2월 중순에서 3월 초까지만 하더라도 이자율이 실수요자 중심으로 6%대에서도 선호지역의 경우 주택 거래가 이루어졌고, 대략의 전체 남가주 마켓을 보았을 때 인벤토리는 증가했지만 지역별로 대략 선호지역은 30%대의 크로징이 가능했고 비선호지역의 경우 15~20% 정도의 비율을 보였습니다.
대통령의 관세 관련 새로운 이슈로 단기간 동안 모기지 이자율에 영향을 미치는 10년 만기 재무부 채권이 일시적으로 하락했지만, 전 세계적으로 미국 채권을 투매하기 시작하면서 오히려 모기지 이자율과 상업용 재융자 시장에는 악영향을 끼치기 시작했습니다.
오히려 모기지가 낮아져도 거래량에 미치는 장의 영향은 제한될 수도 있고, 모기지 이자율을 포함한 융자시장의 전반적인 악재가 이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결국 1년 이내로 경기침체가 본격화된다고 가정하는 전문가들이 대세를 이루고 있고, 현재의 높은 가격대의 주택시장에서 그리고 인플레이션에 대비하는 투자가들의 시점이나 현재 재융자가 필요한 상업용 부동산 소유주들은 낮은 이자율을 선호할 수밖에 없지만, 3월 달까지도 모기지 이자율 5%대 조기 진입 상황을 예측하던 시장의 전망은 불가능한 현실로서 대변되고 있습니다.
앞으로 셀러들 입장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적절한 가격으로 주택을 리스트하는 것이며, 거듭 말씀드리지만 주택의 상태를 최선으로 유지해야 합니다.
바이어의 경우 풀 닥이 가능한 경우는 추후 재융자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좀 더 이자가 저렴한 FHA와 같은 정부 융자나, 페이먼트가 가장 적은 변동 또는 여유가 있는 경우 세제 혜택을 최대한 유지하기 위해서 15년 융자까지 다양한 옵션의 모기지를 고려하셔야 합니다.
추후 거래가 이루어지는 기간이 최소 30~60일까지 지역별로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충분한 대비가 필요합니다.
만일 재정적으로 어려운 경우라면 현재 모기지의 융자 조정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알아보시기를 권합니다. 재융자와는 약간 다르게 기존 모기지에 대해서 재정적 하드쉽에 따라서 시도해 볼 만할 수 있습니다.
금년도 4월의 팬딩 세일이 작년 동월 대비 87,000채로 11% 증가한 것으로 수치상 발표되고 있지만 현재는 매물의 증가 추세가 점점 더 거래량을 압도하고 있습니다.
주택을 매매해야만 하는 상황에 있는 분들의 경우 매매를 통해서 본인의 재정적인 어려움을 해결하고 어느 정도의 목돈을 마련하고 새로운 이전지를 고민해야 합니다.
은퇴를 앞두고 있거나 수년간 경제활동이 필요한 경우, 55세가 가까우시거나 넘으신 경우, 자영업을 유지하셔야 하는 경우 고려해 보셔야 합니다.
▶문의:(213)663-5392
곽재혁 부동산 중개인/미연방세무사 (EA)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