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농업부문, 4월 고용 17만7000명 증가…실업률 4.2%
‘트럼프 관세’ 시행에도 호조…전문가 전망치 크게 상회
증가 폭 최근 1년 평균 웃돌아…경제활동참가율 소폭 상승
침체 우려 불구 노동시장 굳건…전문가 “미 경제 회복력 반영”
노동부는 4월 미국의 비농업 일자리가 전월 대비 17만7000명 증가했다고 2일 밝혔다.
최근 12개월 평균 증가 폭(15만2000명)을 웃도는 데다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13만3000명)도 크게 상회했다.
지난 2월 고용 증가 폭은 10만2000명으로 1만5000명 하향 조정됐고, ‘깜짝 증가’를 보였던 3월 증가 폭은 18만5000명으로 4만3000명 하향 조정됐다. 2∼3월 하향 조정 폭은 종전 발표 대비 5만8000명에 달했다.
의료(5만1000명), 운수·창고(2만9000명), 금융 활동(1만4000명), 사회지원(8000명) 부문이 4월 고용 증가를 주도했다.
연방정부 고용은 9000명 감소해 정부효율부(DOGE)가 주도한 공공영역의 인력 구조조정을 반영했다.
또 지난 1월 이후 연방정부 고용 감소 폭은 2만6000명으로 집계됐다.
노동부는 이 같은 수치에 대해 “유급 휴가 중이거나 퇴직수당을 지속해서 받고 있는 직원들도 취업자로 집계된다”라고 설명했다.
시간당 평균임금은 전월 대비 0.2% 올라 3월 상승률(0.3%) 대비 둔화했다. 전년 동기 대비 임금 상승률은 3.8%였다.
임금 상승률은 전월 대비 및 전년 대비 모두 전문가 전망보다 각각 0.1%포인트 낮았다.
임금 상승률 둔화는 임금 상승발 물가 상승 압력 우려가 약화했음을 시사한다.
4월 실업률은 4.2%로 전월 대비 변동이 없었고, 전문가 예상에도 부합했다.
4월 경제활동참가율은 62.6%로 전월 대비 0.1%포인트 상승했다.
이날 발표된 4월 비농업 고용 지표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이 시행된 후 첫 공식 실물경제 통계라는 점에서 월가의 관심이 주목돼왔다.
트럼프 대통령이 발효한 10%의 기본관세는 4월 5일 발효됐고, 9일 발효됐던 국가별 개별 상호관세는 90일간 유예됐지만 중국에 대해서는 총 145%의 관세가 유지되고 있다.
평균 수준을 웃도는 고용 증가와 실업률 유지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노동시장이 4월 들어서도 여전히 탄탄한 상태를 지속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모하메드 엘-에리언 알리안츠그룹 고문은 “많은 이들이 이번 지표를 두고 ‘과거의 일’이라고 일축하겠지만, 이번 수치는 불확실한 시기에 접어들면서도 미국 경제가 회복력이 있음을 시사한다”라고 말했다.
김은별 기자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