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바루기] ‘조급해하다’는 왜 붙이나?
“기다리면 기회는 온다. 조급해하지 마라!” 경기가 안 풀릴 때 감독이 건네는 이 한마디가 선수들에겐 초심으로 돌아가 다시 뛸 수 있는 힘을 준다. 일상에서도 종종 듣는 이 조언 속의 ‘조급해하다’는 붙이는 게 맞을까? “조급해 하지 마라”와 같이 띄어 쓰면 안 된다.‘조급해’ 뒤의 ‘하다’는 보조용언이다. 본용언의 뜻을 보충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의 ‘하다’는 앞말이 의미하는 대상에 대한 느낌을 가짐을 나타낸다. 보조용언도 하나의 단어이므로 본용언과 띄어 쓰는 게 원칙이다. 경우에 따라 붙이는 것을 허용하나 띄어서 틀릴 일은 별로 없다. 예외가 있다.
‘조급해하다’처럼 ‘-아/-어하다’ 꼴은 앞말에 붙여야 한다. 형용사(조급하다)에서 동사(조급해하다)로 품사가 바뀌어 하나의 단어로 취급한다. ‘궁금해하다’ ‘예뻐하다’도 마찬가지다.
다만 ‘-아/-어하다’가 구(句)에 결합할 때는 띄어 쓴다. ‘마음에 들어 하다’ ‘내키지 않아 하다’와 같은 경우 ‘하다’를 뒷말에 붙이면 구 전체에 ‘-아/-어하다’가 결합한 것이란 점을 제대로 나타낼 수 없기 때문이다.
보조용언을 앞말에 붙여 쓰는 것만 허용하는 경우론 ‘-아/-어지다’도 있다. “서로 친해지다”에서 ‘지다’는 형용사 뒤에 사용해 앞말이 뜻하는 상태로 됨을 나타내는 보조용언이다. “꿈이 이루어지다”에서 ‘지다’도 보조용언으로, 동사 뒤에 사용해 앞말이 의미하는 대로 하게 됨을 나타낸다. ‘친해 지다’ ‘이루어 지다’처럼 띄어 쓰지 않는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