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지 '애국 지사 묘소 방치' 기사 계기 역사와 차세대 잇는 다리 역할 자임 3인 1조 형태로 관리할 묘비 지정 “한인 사회, 기관들 적극 참여 당부”
클라라 원 이사장이 21일 로즈데일 묘지를 찾아 '한씨 가족'의 묘비를 살펴보고 있다. '한씨 가족' 묘에는 애국지사 한시대 선생과 그의 부인 박영숙 여사가 함께 잠들어 있다. 김상진 기자
시간이 흐를수록 잊히고 있는 미주 지역 독립 유공자들의 묘소엔 이야기가 스며 있다.
대한인국민회기념재단 클라라 원 이사장은 21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묘소에 묻혀 있는 독립운동가들의 삶을 들려줬더니 눈물을 흘리는 학생들도 있더라”며 “하루에 10시간씩 일하며 한 달에 26불 남짓한 돈을 벌어 조국에 독립운동 자금을 보냈던 선조들의 이야기는 그래서 계속 후세로 이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원 이사장은 이를 위해 ‘다리’ 역할을 하기로 마음먹었다. 대한인국민회기념재단이 화랑청소년재단(총재 박윤숙)과 손을 잡고 미주 지역 독립 유공자 묘소 관리 및 실태 조사를 진행하기로 한 이유다.
원 이사장은 “약 3년 전부터 차세대에게 뿌리 교육을 통해 역사 의식을 심어줄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왔다”며 “지난 삼일절에 독립유공자들의 묘소가 방치되고 있다는 중앙일보 기사를 계기로 이번 프로젝트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게 됐다”고 말했다.
첫 작업은 오는 24일 오전 9시 30분 LA 한인타운 인근 로즈데일 묘지(1831 W Washington Blvd)에서 진행된다. 이 묘지에는 현재 31명의 독립유공자가 안장돼 있다. 〈본지 3월 3일자 A-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