뜨거운 대선, LA총영사관 지역 투표율 역대 2위
[재외선거 종료]
18대 대선 이후 가장 높아
전체 재외 투표 80% 육박
재외선거법 개정 요구 커

제21대 대통령선거의 국외부재자 투표가 25일 마감됐다. 투표가 끝난 뒤 정광식(왼쪽 두 번째) 재외선거관 등 선거관리 위원들이 투표 용지를 분류하고 있다. 김상진 기자
재외유권자 투표가 지난 25일 종료된 가운데 한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위원장 노태악)에 따르면 미국을 포함한 재외투표율은 79.5%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 세계 118국 223개 재외투표소에서 진행된 재외투표는 사전등록 유권자 총 25만8254명(추정 재외유권자 197만4375명) 중 20만5268명이 투표에 참여했다. 중앙선관위는 이번 투표율은 지난 2012년 재외투표가 도입된 뒤 치러진 대선과 총선 중 가장 높다고 전했다.
LA총영사관 관할지역 투표율 역시 73.8%를 기록, 지난 2012년 18대 대선 이후 최고 투표율을 보였다. 26일 LA재외선거관리위원회(위원장 정광식)에 따르면 지난 20~25일 치러진 LA총영사관 관할 지역의 사전등록 유권자 1만341명 중 7630명이 참여했다.
LA총영사관 관할지역 재외투표율은 20대 대선 70.6%(7252명), 19대 70.3%(9584명), 18대 79.6%(8156명)를 기록한 바 있다. 등록 유권자는 지난 20대 대선(1만792명)과 비슷했지만 투표율은 높은 결과를 보여줬다. 이번 LA총영사관 관할지역 4개 투표소 가운데는 LA총영사관 투표소가 3850명(20대 대선 3845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오렌지카운티 2529명(2467명), 샌디에이고 카운티 839명(709명), 애리조나 마리코파 카운티 412명(231명) 순이다.
관계자들은 비상계엄과 탄핵 사태로 인한 혼란상이 재외선거 투표율 상승으로 이어진 것 같다고 분석했다. 이같은 재외선거 투표율이 상승함에 따라 한국 내 투표율에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하지만 중앙선관위의 ▶재외유권자 등록 및 선거 안내 부족 ▶재외선거운동 제약 및 금지 ▶재외투표소 내 본인확인 오류 ▶우편투표 거부 등 유권자 편의증진 외면은 지탄을 받았다.
LA총영사관 재외투표소를 찾았다가 발길을 돌린 조희철(70)씨는 “이번 대선 재외선거 날짜를 시작 전날에야 우연히 알게 됐다”면서 “(촉박한 선거였으면) 유권자 사전등록 홍보를 적극적으로 하지 않은 이유를 모르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재외유권자 사전등록을 마쳤지만 본인 확인 오류 등으로 참정권을 행사하지 못한 사례도 다수 발생했다. 해당 사례는 국외부재자로 등록했지만 재외선거인으로 분류되거나, 재외선거인의 본인 확인 서류 불가 등이 이유였다.
이재권(50대)씨는 “국외부재자 등록까지 했는데 투표소에서 재외선거인이라며 합법 체류신분 입증을 요구받았다”면서 “서류미비자에게 비자나 영주권을 요구하면 어떻게 하나. 미국에서 차별 받는데 우리나라에서도 외면하는 것 같아 속상하다”고 말했다.
재외선거 우편투표 도입 요구 목소리도 컸다. 라스베이거스에서 250마일을 운전해 LA투표소를 찾은 조광세(80)씨는 “라스베이거스 등록유권자는 150명이라 투표소를 설치할 수 없다고 했다”면서 “우편투표가 부정의 우려가 있다고는 하지만 미국에서도 우편투표를 실시한다. 재외선거도 우편투표를 도입하면 더 많은 유권자가 참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양대 정당인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선거대책위원회에 참여하고 있는 인사들도 재외선거법 개정에 목소리를 내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재외국민위원회 LA특보 김철웅씨는 “참정권을 보장하려면 해외 선거운동을 자유롭게 허용하고, 우편투표 등을 도입해 참여 확대를 이끌어야 한다”고 말했다.
국민의힘 조직총괄부 미주지역 상임고문 임태랑씨도 “미주 지역에서 5만6000여명이나 투표에 참여했다. 유권자들이 더 큰 관심을 갖고 투표도 편하게 할 수 있도록 선거법을 개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재외투표지는 외교행낭을 통해 한국으로 이송된다. 인천공항에서 등기우편으로 관할 구·시·군 선관위로 보낸 뒤, 6월 3일 한국 투표 마감 후 함께 개표된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