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구두 수선 접었지만 묘지 봉사는 평생 할 터"

'33년 경력' 로마노 김씨 은퇴
가든그로브 터줏대감으로 유명
"묘비 닦으면 마음 편안해져"

정들었던 구두 수선점을 닫고 은퇴한 로마노 김씨가 은퇴 후 계획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정들었던 구두 수선점을 닫고 은퇴한 로마노 김씨가 은퇴 후 계획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가든그로브에서만 28년 동안 구두 수선공으로 살아온 로마노 김(70)씨가 최근 은퇴했다.
 
김씨는 지난달 30일 가든그로브 불러바드, 시카모어 스트리트 교차로의 점포를 정리했다. 가게 문을 닫던 날, 몇몇 단골손님은 선물을 들고 찾아와 이별을 아쉬워했다고 한다.
 
김씨는 가든그로브로 오기 전, 어바인에서 보낸 5년을 합쳐 총 33년 동안 구두를 닦고 수선하며 생계를 유지했다. 최근 20년 동안은 열쇠 수리공을 겸하며 두 우물을 파기도 했다.
 
김씨는 구두 수선이 한인사회에서 사양길에 접어든 지 오래라고 말했다. “비싼 구두는 예외지만, 어지간하면 구두에 문제가 생겼을 때 고치지 않고 새로 사서 신는 시대가 됐다. 당연히 일감이 줄 수밖에 없다.”
 
김씨는 구두를 관리하며 많은 것을 느꼈다고 한다. “구두를 보면 그 사람의 성격을 알 수 있다. 좋은 구두를 꺾어 신은 흔적을 보면 안타깝다. 이 일을 하는 사람들도 전과 달리, 구두를 건성건성 고치는 사례가 늘었다. 다른 곳에서 엉터리로 고친 구두를 보면 마음이 편치 않았다. 요즘 세태가 그런 것 같다.”
 
타인종 고객도 많았다. “베트남계는 음식을 가져다주기도 하고 인간적이더라. 가게 문 닫을 때 짐을 싸라고 빈 상자를 여러 개 가져다주는 이도 있었다. 중동계는 큰손 고객이다. 1000달러, 2000달러가 넘는 고가의 운동화를 밑바닥까지 깨끗이 닦아달라며 가져오는 이도 만났다.”
 
1980년 미국에 온 김씨는 뉴욕, LA를 거쳐 오렌지카운티에 정착했다. 한동안 정원사로 지내다가 구두 수선을 시작했다.
 
김씨가 유명해진 이유는 구두 수선만이 아니다. 그는 1995년부터 지금까지 30년 동안 묘지 봉사를 하고 있다.
 
천주교 신자인 김씨는 OC와 인근 지역 묘지, 해외 파병 후 전사한 군인들의 묘소를 찾아다니며 비석을 닦고 혹시 문제가 있으면 수소문해 고인의 가족에게 알려주기도 한다. 누가 시켜 하는 일도 아니고 흔히 볼 수 있는 성격의 봉사가 아니다 보니 오해를 사는 경우도 많았다. “미친놈이란 말을 참 많이 들었다. 묘지 세일즈맨으로 오해받은 적도 허다하다.”
 
김씨는 이민 초기 한국의 남동생을 불의의 사고로 잃었다. 당시 김씨는 동생의 장례식에 가지 못했다. “그때 동생이 떠나는 모습을 못 봐서 그런지 묘지 봉사를 하고 나면 마음이 좀 편해진다.”
 
김씨는 동갑내기 부인 티나 김씨와 미드웨이시티에 살고 있다. 김씨는 당분간 은퇴 생활을 즐겨볼 생각이라며 “묘지 봉사는 평생 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글·사진=임상환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