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복지예산 삭감되면 노숙자 문제 더 심각해질 것"

New York

2025.07.06 18:09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기사 공유
뉴요커 35만명 거주 불안정 상태
메디케이드·푸드스탬프 삭감 '위기'
최근 수년 간 뉴욕시의 노숙자 수가 1930년대 대공황 이후 최고치를 기록한 가운데, 연방정부의 복지 예산 삭감이 노숙 위기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노숙자 옹호 단체인 노숙자연합(Coalition for the Homeless)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4월 기준 10만8400여명이 뉴욕시 노숙자 셸터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또 20만 명 넘는 뉴요커들은 친구나 친척 등 타인의 집에 일시적으로 얹혀사는(double-up) 상황이었다.  
 
여기에 더해, 지역매제 고다미스트가 시 노숙자서비스국(DSS) 데이터를 인용해 보도한 데 따르면, 올해 거리에서 잠을 잔 노숙자가 약 4,504명에 달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지난해보다 364명 증가한 수치다.
 
종합해보면, 올해 약 35만명의 뉴요커들이 거주 불안정한 상태인 것으로 추정된다.  
 
문제는 뉴욕시의 노숙자 문제가 현재보다 더 심각해질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4일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One Big Beautiful Bill Act)'에는 향후 10년간 메디케이드 예산 약 1조 달러와 푸드스탬프(SNAP) 예산을 수천억 달러 삭감하겠다는 계획이 포함됐다.    
 
이에 대해 노숙자 옹호 단체와 뉴욕시정부 관계자들은 “연방정부의 복지 예산 삭감은 더 많은 이들을 빈곤과 거리로 내몰 수 있다”며 강하게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날이 갈수록 노숙자가 늘어나는 이유가 무엇일까. 노숙자연합은 “노숙자의 상당수는 단순한 실직이나 질병 때문이 아니라, 주거비를 감당할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 거리로 내몰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셸터에 거주하는 독신 성인 10명 중 4명은 가정 내 갈등, 과밀, 혹은 거주 환경 악화로 인해 갈 곳을 잃었다. 자녀가 있는 가정의 경우, 가정폭력이나 강제 퇴거가 주요 원인으로 꼽혔다.
 
연합은 “궁극적인 해결책은 저렴한 주택의 대규모 공급”이라며, “2024년 기준 극저소득층이 감당할 수 있는 수준(월세 1100달러 이하)의 주택 공실률은 0.39%에 불과했다”고 밝혔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