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온타리오주에서 청각장애인을 위한 공공 서비스가 2개월 이상 사실상 중단되며, 위급 상황에서 통역을 받지 못한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 6월, 오타와에 거주하는 청각장애인 제시카 서전트 씨는 심장 이상으로 병원 응급실에 실려 갔지만, 미국수화통역사 도착까지 5시간 반을 기다려야 했다. 요청은 사전에 접수했으나 병원 측이 제공기관에 직접 연락해야 한다는 내부 절차 때문에 통역 배정이 지연됐다.
당시
캐나다 청각서비스협회(CHS)는 통역사, 청각사, 상담사 등 200여 명이 소속된 노조가 파업에 돌입한 상태였다. 이들은 지난 4월 28일부터 10주간 업무를 중단했고, 필수 서비스조차 제대로 제공되지 않았다.
청각장애인 단체들은 이번 사태가 단순한 노사 갈등이 아니라, CHS의 구조적 문제를 드러낸 사례라고 지적한다. 온타리오 청각장애인 문화협회는 CHS가 민간 위탁이나 프리랜서 인력을 활용할 수 있었음에도 이를 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또한 CHS가 “청각장애인과 함께 일하기보다, 그들을 대신해 일하려는 시각”을 유지하고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CHS는 이사회 다수가 청각장애인이라고 밝혔으나, 실제로 공개된 약력상 해당되는 인원은 두 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상적인 병원 방문에서도 통역이 제공되지 않아 가족이 직접 통역을 맡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청각장애 아들을 둔 보호자는 “의료진과 대화하면서 부모 역할까지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 매우 큰 부담”이라고 호소했다.
기술적 접근성 문제도 지적된다. 인터넷 기반 통역 시스템은 고령 이용자나 농촌 지역 주민에게 실질적인 장벽이 되고 있으며, 통역 서비스 품질이 오히려 떨어졌다는 평가도 있다.
CHS 노조는 최근 복지와 임금 인상 등을 포함한 3년 계약에 합의하며 7월 14일부터 업무에 복귀했다. 그러나 청각장애인 단체와 이용자들은 “문제는 단순한 인력 부족이 아닌, 조직 운영의 방향성에 있다”며, 구조적인 개편과 커뮤니티 중심의 서비스 설계를 요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