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온타리오 주택 모기지 연체 증가세↑

  온타리오와 광역토론토(GTA)에서 모기지 연체율이 뚜렷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경제 불확실성과 금리 인상, 그리고 모기지 갱신 시점 도래가 주요 원인이라고 지적한다.   캐나다모기지주택공사(CMHC)가 에퀴팩스(EFIQAX) 캐나다에 의뢰해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2025년 1분기 온타리오의 모기지 연체율은 0.22%로 집계됐다. 이는 2024년 동기 0.15%, 2023년 동기 0.09%에서 꾸준히 오른 수치다.   토론토 지역만 따로 보면 연체율은 0.23%로, 2024년(0.14%)과 2023년(0.08%) 대비 크게 상승했다. 이 같은 수치는 토론토에선 2013년, 온타리오 전체로는 2016년 이후 최고치다.   저금리 시대 종료와 경제 불안 겹쳐 마리아 솔로비에바 TD은행 이코노미스트는 “팬데믹 기간 중 초저금리로 주택을 구매했던 이들이 최근 고금리로 갱신하면서 부담이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당시 강제적인 소비 축소로 일시적 여유 자금이 있었던 것도 과거에는 연체율을 낮췄던 요인이었다고 덧붙였다.   CMHC의 광역토론토 수석 이코노미스트 조던 나노프스키 역시 “모기지 갱신이 늘면서 이자 부담이 커지고 있으며, 경제 불안으로 인한 고용 시장 악화가 연체를 부추기고 있다”고 밝혔다.   콘도 시장 둔화도 영향 또한, 콘도 시장의 약세로 인해 매도하려는 이들이 자산을 현금화하지 못하는 경우도 늘고 있어, 연체 상태가 길어지는 원인이 된다고 분석했다. “판매가 쉽지 않은 환경에서는 연체 기간이 더 길어질 수밖에 없다”고 그는 말했다.   무역전쟁이 불안 요인 나아가 미국과의 무역 긴장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온다.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관세 조치는 온타리오 내 주요 제조업 기반 지역에 직접적인 타격을 줄 수 있다.   솔로비에바는 “온타리오는 무역전쟁의 타격을 캐나다에서 가장 먼저 받는 지역이 될 수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 실제로 온타리오의 실업률은 2025년 5∙6월 7.9%로 전국 평균(6.9%)을 웃돌고 있다.   아직은 ‘위험 경고’ 수준 물론, 현재 전체 모기지 대비 연체율은 여전히 0.22% 수준으로 낮은 편이다. 캐나다 전체 주택담보대출은 약 700만 건이며, 이 중 연체 건수는 1만 5천 건을 넘는 수준이다.   솔로비에바는 “모기지 부담이 커지고는 있지만, 아직 전반적인 시스템의 위기를 의미하는 수치는 아니다”라며 “특히 주택 가격이 과도하게 오른 일부 지역에서는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온타리오 증가세 모기지 연체율 모기지 갱신 온타리오 전체

2025.08.03. 22:35

썸네일

온타리오 법정, 화상 방청 제한

  온타리오 하급법원이 최근 발표한 새 정책에 따라, 앞으로는 판사의 사전 허가 없이는 일반인이 화상으로 법정 방청을 할 수 없게 된다. 법원 측은 이 같은 결정의 배경으로, 온라인 방청 중 반복적으로 부적절한 콘텐츠나 메시지로 재판을 방해하는 '줌 폭탄(Zoom bombing)' 행위를 들었다.   온타리오주 사법부는 발표문에서 “이러한 방해 행위는 사법제도의 신뢰성과 절차의 정당성을 훼손하는 공격이며, 법원 진행 지연은 물론 참가자와 법관에게도 심각한 영향을 끼친다”고 밝혔다.   캐나다 형사변호사협회 회장을 역임하고 있는 보리스 바이텐스키는 “이번 조치는 그간 일어난 악의적인 방해 사례를 고려하면 필요했던 조치”라고 말했다.   하지만 법률 전문가들은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오타와대학교 테레사 스카사 교수는 “공개 재판의 개념 자체가 팬데믹 이후 변했다”며 “이제는 온라인 접근을 차단하는 것이 오히려 ‘비공개화’로 여겨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녀는 특히 장애인, 장거리 거주자, 차량이 없는 시민 등은 물리적으로 법정을 찾기 어려워 형평성 논란이 있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법원이 겪는 어려움에 공감하지만, 현재 방식이 가장 적절한 해법인지는 의문”이라고 말했다.   허가 기준, 지역마다 달라 일부 재판은 여전히 온라인으로만 진행되며, 이를 방청하고자 하는 경우 법원 홍보 담당자에게 이메일로 요청해야 한다. 하지만 구체적인 승인 기준은 공개되지 않았고, 온타리오 법원 측은 마감 전까지 추가 설명을 내놓지 않았다.   행정 부담도 문제 퀸즈대 법학부의 앨리사 킹 교수는 “이미 인력 부족이 심각한 상황에서 판사가 방청 여부까지 판단해야 한다면 지역 간 정책 적용에 불균형이 생길 수밖에 없다”며 우려를 나타냈다.   한편, 피해자나 증인 등 특정 당사자들은 여전히 별도 신청 절차를 통해 온라인으로 참여가 가능하다. 피해자 지원 단체 측은 “피해자 본인뿐 아니라 대리 신청이나 동행 지원자도 접근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온타리오 제한 온타리오 하급법원 법정 방청 온타리오 법원

2025.08.03. 22:31

썸네일

온타리오, 청각장애인 생존 위기…

  캐나다 온타리오주에서 청각장애인을 위한 공공 서비스가 2개월 이상 사실상 중단되며, 위급 상황에서 통역을 받지 못한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 6월, 오타와에 거주하는 청각장애인 제시카 서전트 씨는 심장 이상으로 병원 응급실에 실려 갔지만, 미국수화통역사 도착까지 5시간 반을 기다려야 했다. 요청은 사전에 접수했으나 병원 측이 제공기관에 직접 연락해야 한다는 내부 절차 때문에 통역 배정이 지연됐다.   당시 캐나다 청각서비스협회(CHS)는 통역사, 청각사, 상담사 등 200여 명이 소속된 노조가 파업에 돌입한 상태였다. 이들은 지난 4월 28일부터 10주간 업무를 중단했고, 필수 서비스조차 제대로 제공되지 않았다.   청각장애인 단체들은 이번 사태가 단순한 노사 갈등이 아니라, CHS의 구조적 문제를 드러낸 사례라고 지적한다. 온타리오 청각장애인 문화협회는 CHS가 민간 위탁이나 프리랜서 인력을 활용할 수 있었음에도 이를 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또한 CHS가 “청각장애인과 함께 일하기보다, 그들을 대신해 일하려는 시각”을 유지하고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CHS는 이사회 다수가 청각장애인이라고 밝혔으나, 실제로 공개된 약력상 해당되는 인원은 두 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상적인 병원 방문에서도 통역이 제공되지 않아 가족이 직접 통역을 맡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청각장애 아들을 둔 보호자는 “의료진과 대화하면서 부모 역할까지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 매우 큰 부담”이라고 호소했다.   기술적 접근성 문제도 지적된다. 인터넷 기반 통역 시스템은 고령 이용자나 농촌 지역 주민에게 실질적인 장벽이 되고 있으며, 통역 서비스 품질이 오히려 떨어졌다는 평가도 있다.   CHS 노조는 최근 복지와 임금 인상 등을 포함한 3년 계약에 합의하며 7월 14일부터 업무에 복귀했다. 그러나 청각장애인 단체와 이용자들은 “문제는 단순한 인력 부족이 아닌, 조직 운영의 방향성에 있다”며, 구조적인 개편과 커뮤니티 중심의 서비스 설계를 요구하고 있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청각장애인 온타리오 온타리오 청각장애인 청각장애인 단체들 청각장애인 제시카

2025.07.23. 8:11

썸네일

온타리오 주민 ‘OTB 수당’ 지급 시작

  온타리오 주민이라면 이번 주 자신의 은행 계좌를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매달 지급되는 온타리오 트릴리엄 수당(Ontario Trillium Benefit, OTB)이 지난 7월 10일(목)을 시작으로 예정대로 입금될 예정이다.   OTB는 온타리오 주민들에게 세금 없이 제공되는 복합 지원금으로, 다음 세 가지 항목을 기반으로 한다.   1. 온타리오 에너지 및 재산세 크레딧 2. 북부 온타리오 에너지 크레딧 3. 온타리오 판매세 크레딧   지급일은 원칙적으로 매달 10일이며, 주말이나 공휴일에 겹칠 경우 직전 평일에 입금된다. 7월 지급일은 목요일로, 일정대로 지급이 이뤄질 예정이다.   OTB 수령 자격 및 금액 OTB는 위 세 항목 중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주민에게 지급되며, 항목별 최대 지급액은 다음과 같다.   1. 온타리오 에너지 및 재산세 크레딧 1) 18세~64세: 최대 1,283달러 2) 65세 이상: 최대 1,461달러 3) 보호시설 또는 장기요양시설 거주자: 285달러 4) 대학 기숙사 등 지정 거주지 거주자: 25달러   2. 북부 온타리오 에너지 크레딧 1) 단독 거주자: 최대 185달러 2) 가족: 최대 285달러   3. 온타리오 판매세 크레딧 1) 개인당 최대 371달러 2) 배우자 및 19세 미만 자녀 1인당 추가로 최대 371달러 3) 이 크레딧은 GST/HST 환급금에는 영향을 주지 않음   2025년 OTB 지급일정 올해 남은 OTB 지급일은 다음과 같다.   - 8월 8일 - 9월 10일 - 10월 10일 - 11월 10일 - 12월 10일   만약 지정일로부터 10영업일이 지나도 수당이 입금되지 않을 경우, 캐나다 국세청(CRA)에 문의해야 한다. 한편, 캐나다아동수당(Canada Child Benefit)은 7월 18일, 연금 수당(CPP, OAS)은 7월 29일, 참전용사 장애연금은 7월 30일에 각각 입금될 예정이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온타리오 주민 온타리오 주민들 온타리오 에너지 온타리오 판매세

2025.07.15. 11:26

썸네일

온타리오 런던, 레지오넬라병 집단 발생

  온타리오주 런던(London) 지역에서 레지오넬라병(legionnaires' disease) 집단감염이 발생해 1명이 사망하고 40명 이상이 병을 앓고 있다.   미들섹스-런던 보건국(Middlesex-London Health Unit)은 최근 일주일 사이 보고된 환자 수가 대부분이며, 이들은 모두 런던 남동부 지역 약 6km 반경 내에 거주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까지 총 43건의 감염 사례가 확인됐다.   레지오넬라병은 레지오넬라균(legionella bacteria)에 의해 발생하는 심각한 호흡기 질환으로, 고열과 오한, 폐렴 증상 등을 유발할 수 있다. 해당 균은 물탱크, 냉각탑 등 수계 시설에서 흔히 발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보건 당국은 현재 정확한 감염원을 추적 중이다.   런던에서는 지난해에도 유사한 레지오넬라병 집단감염이 발생해 30명이 감염되고 2명이 사망한 바 있다. 보건국은 지역 내 모든 사업체와 건물 관리자들에게 냉각 장비의 정기적인 점검 및 청소를 강력히 권고하며, 예방이 최선의 조치라고 강조했다.   온타리오 보건국(Public Health Ontario)은 해당 질환이 주로 6월부터 9월 사이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며, 특히 7월에 가장 많은 환자가 보고된다고 밝혔다. 또한 대부분의 레지오넬라병 사례는 자연 환경에서 발생하는 ‘산발적 사례’이며, 대다수는 명확한 집단감염과 연결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보건 당국은 시민들에게 레지오넬라병의 위험성과 예방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관련 증상이 있을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할 것을 당부했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레지오넬라병 온타리오 레지오넬라병 집단감염 온타리오 런던 레지오넬라병 사례

2025.07.15. 11:20

썸네일

“알버타 ∙ 온타리오 MOU 체결”

  알버타주와 온타리오주가 에너지 기반시설 확충과 주간(州間) 무역 확대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협력 강화에 나섰다.   지난 7일(월), 캘거리에서 다니엘 스미스 알버타 주총리와 더그 포드 온타리오 주총리는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양 주 간 송유관 및 철도 신설 가능성에 대한 타당성 조사를 실시하기로 합의했다. 이와 함께, 양주는 알코올과 자동차 등 특정 품목에 대한 주간 자유무역 확대에도 협력하기로 했다.   스미스 주총리는 “온타리오와 함께 더 큰 목소리를 내기 위해 힘을 합친다”며 “알버타와 온타리오, 그리고 캐나다 전체를 위한 길을 함께 열어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번 타당성 조사는 알버타의 석유 및 가스 자원, 핵심 광물 자원을 온타리오 동부 제임스베이 지역 및 남부 지역까지 운송할 수 있는 새 운송로 확보를 위한 것이다. 기존 파이프라인의 확장 및 정제시설•항만 연결 개선도 검토 대상이다. 특히 온타리오의 광물지대인 ‘링 오브 파이어(Ring of Fire)’ 주변에 새로운 철도 노선을 구축하는 방안도 포함됐다.   프로젝트에는 온타리오산 철강과 부품을 적극 활용하겠다는 방침도 명시돼, 민간 기업의 참여를 유도하고 캐나다 내 공급망 강화를 도모하겠다는 의지도 드러냈다. 포드 주총리는 “재정조달과 투자 위험 완화 방안까지 포함한 보고서가 나올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별도로 체결된 두 번째 양해각서에서는, 온타리오가 알버타산 맥주•와인•증류주의 시장 접근을 확대하고, 알버타는 캐나다산 자동차 구매 확대를 통해 온타리오의 자동차 산업을 지원하겠다는 상호 협력 방침도 포함됐다.   포드 주총리는 “이런 방식이야말로 캐나다를 지키는 길”이라며 “모든 주와 지역을 존중하고 각 지역의 기업과 일자리를 살리는 데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양 주총리는 자유무역과 에너지 인프라 확대 외에도 연방정부 규제 완화와 핵에너지 개발 촉진 등 광범위한 정책 공조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스미스는 “넷제로(Net Zero) 목표, 서부 연안 유조선 금지, 배출량 상한제 같은 잘못된 법들에 대해 분명한 메시지를 보내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환경단체들은 이 같은 행보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나타냈다. 온타리오 환경 보호 단체인 Environmental Defence의 스티븐 르고와 마이크 마르콜롱고는 “기후 변화 대응을 훼손하면서 경제 불안을 핑계로 과거 방식으로 되돌아가려는 시도”라며 “깨끗한 물과 공기, 안전한 기후를 희생시켜서야 경제가 지속가능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알버타 주 야당인 신민주당(NDP)의 나히드 넨시 대표는 무역장벽 완화에 동의하면서도, 노동 기준, 건축법, 운송 규정 등 실질적인 개선 없이 보여주기식 행보에 그칠 수 있다고 비판했다.   이날 협약 체결 전, 두 주총리는 캘거리 Stampede 행사장에서 팬케이크로 아침 식사를 함께 나누며 시민들과 교류했다. 스미스는 포드에게 전통적인 벨트 버클을 선물했고, 포드는 이를 즉석에서 교체하며 유쾌한 분위기를 연출하기도 했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온타리오 알버타 온타리오주가 에너지 온타리오산 철강 온타리오 동부

2025.07.10. 8:21

썸네일

온타리오 교육과정 개편 1년 연기

  온타리오 주정부가 오는 가을부터 시행 예정이던 교육과정 개편을 1년 연기하기로 결정하면서 교육 현장에서 혼란과 반발이 확산되고 있다.   교육부는 최근 발표를 통해 유치원 수학 및 읽기 교육 개편, 금융 리터러시, 흑인 캐나다 역사, 홀로코스트 교육 등 주요 내용을 포함한 개정 교육과정의 적용 시기를 2026년으로 미룬다고 밝혔다.     동시에 토론토교육청(TDSB), 토론토가톨릭교육청(TCDSB) 등 4개 교육청에 대해 재정 운영 문제를 이유로 주정부가 직접 개입하겠다는 방침도 함께 발표됐다.   교육부는 이번 연기를 통해 "더 일관되고 중앙집중적인 교육과정 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라고 설명했으나, 교육계는 이미 진행 중이던 준비 작업이 중단됨에 따라 혼란이 불가피하다고 지적한다. 특히 일부 교육 관계자들은 이번 조치가 포용성과 형평성을 강화하려던 교육 개편 취지를 후퇴시키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실제로 토론토교육청과 가톨릭교육청에서는 개편안을 반영한 신규 계약 체결과 수업 준비가 상당 부분 진행된 상태였다. 이에 따라 일선 교직원들은 행정적 부담과 자원 낭비를 피할 수 없게 됐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포용 교육 전략의 일환으로 진행된 개편안이 정치적 이유로 후퇴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된다. 교육 현장에서는 일부 민감한 교육 내용이 현 정부의 정치적 성향과 충돌하며 조정 또는 삭제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보고 있다.   이번 연기는 지역별 역사•문화 특성을 반영한 유연한 교육보다 표준화에 치우친 일률적 접근으로 흐를 가능성도 내포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지역 공동체의 교육 자율성을 약화시키고 교육의 질을 저해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교육 전문가들은 이번 연기가 교육 정책의 일관성과 신뢰성을 훼손하고, 결과적으로 학생들의 학습권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온타리오 교육과정 교육과정 개편 교육과정 체계 개정 교육과정

2025.07.09. 8:12

썸네일

온타리오 긱워크 새 보호법 시행

  온타리오주에서 우버이츠, 리프트, 인스타카트 등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일하는 긱 노동자들의 권리를 보장하는 새로운 법이 본격적으로 시행됐다.   2025년 7월 1일부터 발효된 ‘디지털 플랫폼 노동자 권리법(Digital Platform Workers' Rights Act)’은 2022년 제정된 ‘워킹 포 워커스 법(Working for Workers Act)’에 추가된 조항으로, 긱 노동자에게 더 큰 투명성과 기본적 보호를 제공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번 법에 따라 플랫폼 기업은 각 업무의 구체적인 내용과 임금 체계에 대해 명확히 고지해야 하며, 해당 근로자가 법적 의미의 ‘정규직’이 아니더라도 최소임금을 보장하고 정기적인 급여 주기로 임금을 지급해야 한다.   또한, 적법한 서면 설명과 사전 고지 없이 플랫폼에서 일방적으로 계정을 정지하거나 퇴출하는 행위가 금지된다. 팁이나 수당을 지급하지 않는 행위 역시 위법으로 간주되며, 이를 위반할 경우 법인은 건당 최소 1만5000달러에서 최대 50만달러에 이르는 벌금을 부과받게 된다.   이번 조치는 코로나19 이후 긱 이코노미 종사자가 급증한 상황에서 더욱 주목된다. 2024년 12월 기준 온타리오주에는 우버와 리프트 운전자만 8만여 명이 활동 중이며, 시장 과포화로 인해 시의회 차원에서 운전자 면허 발급 제한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지난해 일부 라이드셰어 기사와 배달원들은 근무 환경 개선을 요구하며 파업에 나섰다. 당시 이들은 “온타리오주 최저임금에도 못 미치는 소득에 시달리고 있다”고 주장했다. 다만 일부 통계는 실제 임금에서 차량 운영 비용 등을 제외해 계산한 ‘순수입’을 근거로 산출된 것이었다.   이에 대해 우버 캐나다 측은 “정부가 긱 노동자들의 유연성과 독립성을 보호하면서도 맞춤형 혜택과 보호를 제공하는 정책을 지지한다”며 “각 주 정부가 이러한 제도적 개혁을 시행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협력해 왔다”고 밝혔다.   새로운 법이 시행되며 수만 명의 디지털 플랫폼에 종사하는 노동자들이 보다 안정적인 환경에서 일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온타리오 보호법 디지털 플랫폼 리프트 운전자 workers act

2025.07.08. 7:15

썸네일

새 온타리오 사이언스 센터 완공 언제?

  온타리오 사이언스 센터가 갑작스레 폐쇄된 지 1년이 지났지만, 새 부지인 온타리오 플레이스 조성 사업은 갈수록 늦어지고 있다.   예산은 4억 달러 가까이 늘었고 개관 시점도 당초 2028년에서 2029년으로 미뤄졌다. 정부가 약속한 임시 과학관 부지는 아직도 마련되지 않았으며, 폐쇄의 근거로 제시된 기존 건물 지붕 붕괴 우려는 1년간의 폭설과 폭우 속에서도 현실화되지 않았다.   2024년 6월 21일, 온타리오 정부는 정오 무렵 기자회견을 열고 과학관 본관을 그날 하루 만에 폐쇄한다고 전격 발표했다. 정부는 구조공학 보고서를 근거로 지붕 붕괴 위험이 있다고 설명했지만, 당시 보고서에는 완전 폐쇄 외에도 여러 개보수 방안이 제시돼 있었다. 이로 인해 시민단체와 전문가들은 “기존 건물 철거는 근거있는 결정이 아닌 사전 설계된 결정”이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현재 온타리오 사이언스 센터의 소장 자료와 교육 장비는 이토비코의 정부 소유 창고 건물로 옮겨졌지만, 해당 건물은 10년 이상 방치돼 있었던 장소다. 내부에는 쥐와 너구리 배설물, 석면 등으로 위생 문제가 심각하며, 수도나 전기시설도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져 직원들은 “작업 환경이 매우 열악하고 비위생적”이라며 이곳에서의 업무에 큰 불만을 드러냈다.   이와 함께 과학관의 핵심 부서인 전시 제작팀도 사실상 활동이 멈춘 상태다. 한 직원은 “우리는 단순한 행정직이 아니라 손으로 전시품을 만드는 과학자들인데, 지금은 컴퓨터 앞에서 시간을 보내는 일이 대부분”이라며 회의감을 토로했다.   온타리오 정부는 2026년 1월까지 임시 과학관 개관을 목표로 한다며, 관련 입찰을 시작했지만, 1년이 지난 현재까지 구체적인 장소나 일정은 발표되지 않았다. 인프라 온타리오 측은 기존 건물의 지붕을 포함한 기본 유지•보수는 지속하고 있으며, 겨울철 적설량 및 여름철 강수량에 따른 구조적 대응도 시행했다고 밝혔다.   한편, 과학관 경영진은 온타리오 플레이스 부지 내 새 과학관 조성을 위한 ‘10개년 마스터플랜’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온타리오 사이언스 온타리오 사이언스 온타리오 정부 온타리오 플레이스

2025.07.02. 6:51

썸네일

7월부터 바뀌는 온타리오 주요 제도

  오는 7월부터 온타리오주에서 우리 생활에 밀접하게 영향을 줄 수 있는 새로운 법과 제도들이 시행된다.     이번에 시행되는 주요 정책은 세입자를 ‘위장 수리퇴거(renoviction)’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토론토 시 조례, 배달•차량 공유 등 디지털 플랫폼 노동자 보호법, 그리고 장애인을 위한 연방 재정 지원책 등이다. 다음은 2025년 7월부터 시행되는 주요 변화들이다.   1. ‘위장 수리퇴거’ 막는 신규 조례 7월 31일부터 시행 토론토시는 2023년 11월, 악의적인 ‘수리 명목 퇴거(renoviction)’를 방지하기 위해 신규 임대 수리 허가제 조례를 통과시켰다. 해당 조례는 임대인이 대규모 수리를 이유로 세입자를 퇴거시킨 뒤, 실제 수리를 하지 않거나 퇴거 세입자의 재입주 권리를 무시하고 불법적으로 임대료를 인상하는 행태를 막기 위한 것이다.   조례에 따라, 임대인이 세입자를 퇴거시키기 위해 온타리오주 N13 절차를 밟을 경우, 정식 수리 허가(라이선스)를 발급받아야 하며, 세입자에 대한 사전 통보, 임시 거주 대책 또는 금전 보상, 수리 후 재입주 권리 보장 등을 의무적으로 따라야 한다.   허가 신청 전에는 건축 허가를 받은 상태여야 하며, 온타리오건축사협회(OAA)나 온타리오전문엔지니어협회(PEO) 소속 전문가로부터 ‘실제 수리를 위해 공실이 필요한 상황’임을 확인받아야 한다.   재입주를 원하는 세입자에 대해 임대인은 기존과 유사한 임대료의 임시 주거지를 제공하거나, 세입자가 자체적으로 임시 거주지를 구한 경우 월 임대료 차액을 보상해야 한다. 재입주를 원치 않는 경우에는 3개월치 임대료에 해당하는 보상금을 사전에 지급해야 한다.   조례를 위반하면 하루 최대 1만 달러, 무단 퇴거 시 최대 10만 달러의 벌금이 부과될 수 있다. 조례는 7월 31일부터 시행된다.   2. 배달•차량공유 노동자 보호법 7월 1일 시행 우버(Uber), 도어대시(DoorDash) 등 디지털 플랫폼 기반 서비스에서 일하는 노동자를 보호하기 위한 ‘디지털 플랫폼 노동자 권리법(Digital Platform Workers' Rights Act)’이 오는 7월 1일부터 시행된다.   이 법은 노동자가 정규직인지 여부와 관계없이, 디지털 플랫폼 사업자가 고용한 모든 노동자에게 적용된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작업 단위별 최소 임금 지급(온타리오주 고용기준법 기준) 2. 임금 계산 방식 및 지급 주기 사전 공지 3. 팁 공제 금지 4. 공공안전이나 법적 사유를 제외한 플랫폼 퇴출 시 사전 서면 통보 의무화   3. 캐나다 장애인 지원금(CDB), 7월 첫 지급 2025년 7월부터 연방정부의 ‘캐나다 장애인 지원금(Canada Disability Benefit)’이 첫 지급을 시작한다. 이 제도는 18세부터 64세 사이의 저소득 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며, 첫 지급 대상은 6월 내 신청 및 승인을 완료한 사람이다.   1년 최대 수령액은 2,400달러, 즉 월 200달러 수준이며, 개인 및 배우자의 소득에 따라 지급액이 달라진다. 신청은 6월 20일부터 가능하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온타리오 제도 위장 수리퇴거 퇴거 세입자 디지털 플랫폼

2025.06.26. 7:27

썸네일

온타리오 임대료 계속 하락세 ↓

  온타리오주의 생활비는 여전히 높은 수준이지만, 최근 렌트 비용만큼은 예외적인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Guelph, Barrie, Mississauga는 물론, 캐나다에서 가장 비싼 도시 중 하나였던 토론토마저 임대료가 눈에 띄게 내려가고 있다.   임대료 하락의 주요 원인은 부동산 및 임대 시장 전반에 걸친 수요 감소와 공급 증가다. 특히 콘도 단위의 공실이 많아지며 가격 하락을 주도하고 있다.   부동산 데이터 전문기업 Rentals.ca와 Urbanation이 발표한 5월 보고서에 따르면, 온타리오 전역에서 3베드룸을 제외한 전 면적대의 임대료가 전년 대비 하락했다.   토론토, 전국 5위로 밀려 과거 전국에서 두 번째로 비쌌던 토론토는 현재 1베드룸 평균 $2,302로 전년 대비 7.1% 감소, 2베드룸은 $2,933으로 무려 10.7% 하락했다.   이로 인해 토론토는 전국 임대료 순위 5위로 떨어졌으며, 현재는 North Vancouver, Vancouver, Burnaby, Coquitlam 등 브리티시컬럼비아(B.C.) 지역 도시들에 밀린 상황이다.   외곽 지역 임대료 도심 외 지역으로 이동할 경우 임대료 부담은 더 줄어든다. 예를 들어 Welland에서는 1베드룸이 월 $1,555, Sarnia에서는 2베드룸이 $1,836에 불과하다.   이외에도 London, Niagara Falls, Oshawa, Brantford 등에서도 $1,700~1,800대로 비교적 저렴한 임대료를 찾아볼 수 있다.   온타리오, 임대료 하락세 주도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온타리오주는 여전히 캐나다에서 가장 비싼 25개 시장 중 15개를 차지하고 있으면서도, 동시에 가장 저렴한 지역 9곳도 포함되어 있다.   특히 임대료 하락폭이 가장 큰 15개 시장 중 8곳이 온타리오주에 위치하고 있어, 전국적인 하락세를 선도하는 중이다.   이번 보고서는 목적형 임대용 아파트 및 콘도를 기준으로 작성됐으며, 단독주택 내 렌트 유닛은 포함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임대 시장의 전반적 흐름을 잘 보여주는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온타리오 임대료 임대료 하락폭 온타리오 임대료 전국 임대료

2025.06.20. 7:31

썸네일

6월 온타리오 베네핏 지급

  온타리오 주민들은 이번 주 은행 계좌를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6월 10일 화요일, 매달 지급되는 온타리오 트릴리엄 베네핏(OTB)이 입금될 예정이기 때문이다.   OTB는 온타리오 에너지 및 재산세 공제, 북부 온타리오 에너지 공제, 온타리오 판매세 공제 등 세 가지 지원금을 합친 비과세 복지금으로, 이 중 하나 이상에 해당하면 수급 대상이 된다.   OTB 자격 및 지급 금액 1. 온타리오 에너지 및 재산세 공제 18~64세: 최대 $1,283 65세 이상: 최대 $1,461 보호시설/장기요양시설 거주자: 최대 $285 2023년 중 대학•전문대•사립학교 기숙사 거주자: $25   2. 북부 온타리오 에너지 공제 단독세대: 최대 $185 가족세대: 최대 $285 북부지역 거주 저소득층 지원 목적   3. 온타리오 판매세 공제 1인당 최대 $371 배우자•19세 미만 자녀 1명당 추가 $371 GST/HST 세금 환급금에는 영향 없음   2025년 지급 일정 OTB는 보통 매달 10일에 지급되며, 주말이나 공휴일이면 가장 가까운 평일에 입금된다. 2025년 지급일은 다음과 같다.   6월 10일 7월 10일 8월 8일 9월 10일 10월 10일 11월 10일 12월 10일   만약 입금일로부터 10일 이상 지나도 지급받지 못했다면, 캐나다 국세청(CRA)에 문의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온타리오 주민들은 캐나다 아동수당(CCB)을 6월 20일, 연금수령자 대상 CPP•OAS는 6월 26일, 보훈 장애연금은 6월 27일에 수령할 수 있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온타리오 베네핏 온타리오 베네핏 온타리오 에너지 온타리오 판매세

2025.06.11. 6:29

썸네일

온타리오, 학교 내 경찰 배치 확대

  온타리오 주정부가 교육부 장관에게 교육청 감사를 확대하고, 더 많은 학교에 경찰 배치를 의무화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새로운 법안을 추진한다. 이는 일부 교육청과 교사노조가 “예산 부족이라는 진짜 문제를 감추려는 시도”라고 반발하고 있는 가운데 나온 조치다.   지난 달 29일(목), 폴 칼란드라 온타리오 교육부 장관은 새로운 법안을 상정하며, "일부 교육청은 교육에 집중하지만, 일부는 커리큘럼을 만들거나 국제 정세를 논의하려 한다"며 "교육청은 주정부가 제공하는 자원을 아이들 교육에 집중해야 한다"고 밝혔다.   칼란드라 장관은 지난 4월, 한 교육청의 재정 ‘부실 운영’을 이유로 감독관을 파견했고, 이후 세 곳의 교육청에 대해 재정 조사를 착수했다. 일부 교육청에서 수천 달러를 들여 해외 출장을 다녀온 사례가 알려지며 도마 위에 올랐지만, 현행 법으로는 직접 개입이 어려웠다고 설명했다.   이번 법안은 교육청에 대한 조사의 범위를 재정 문제 외에도 '공익' 사안까지 확대하고, 교육부 직원이 직접 감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한다.   또한, 교육부 장관은 교육감 및 이사진의 비용을 공개하도록 요구할 수 있으며, 학교 이름 변경 시 승인권을 갖게 된다. 칼란드라 장관은 "학교 이름 논쟁에 시간과 돈을 낭비할 여유가 없다"며, 교육청이 재정 부족을 호소하면서도 불필요한 논의에 집중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한편, 지역 경찰이 운영하는 '학교 경찰관 제도'가 존재할 경우 교육청은 이를 의무적으로 도입해야 한다. 토론토 등 일부 교육청은 과거 학생들과 지역사회 반발로 해당 제도를 폐지했지만, 정부는 안전과 상호 존중을 이유로 이를 전면 확대하려 한다.   하지만 온타리오 인권위원회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경찰 배치가 흑인, 원주민, 기타 소수 인종 학생에게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했다. 교육 관련 단체 및 시민단체들은 이번 조치에 대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경찰 없는 학교’를 주장하는 단체는 “이는 명백한 권한 남용이며, 법적 소송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온타리오 공립교육청협회는 “문제 있는 교육청을 감독할 절차는 필요하지만, 현재 교육 시스템의 근본 문제는 장기적인 예산 부족”이라며, “정책 논의에서 자금 부족 문제가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올해 교육 예산은 전년 대비 3.3% 늘어난 307억 달러지만, 인플레이션을 감안하면 실질적 감축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초등교사연맹은 이번 법안이 “책임이라는 말을 앞세운 권력 장악 시도”라며 “정권의 교육 실패를 덮으려는 수단”이라고 비판했다.   정부는 또한 아동복지기관에 대해서도 향후 규정을 통해 특정 재정 결정에 대한 감시를 강화할 방침이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온타리오 학교 온타리오 교육부 학교 경찰관 온타리오 주정부

2025.06.04. 12:36

썸네일

온타리오주 의원들 급여 4만 달러 인상↑

  온타리오주 의원(MPP)들의 급여가 약 4만 1,000달러 인상되고, 30년 가까이 중단됐던 연금 제도도 다시 도입된다.   이번 조치는 2009년 이후 동결되어왔던 MPP 급여를 인상하는 새로운 법안이 주의회에서 만장일치로 통과되면서 이뤄졌다. 이에 따라 기본 연봉은 116,500달러에서 157,350달러로 약 35% 인상된다. 이는 연방 하원의원 연봉(209,800달러)의 75% 수준에 맞춰진 것이다. 이번 인상은 2022년 온타리오 총선일 기준으로 소급 적용된다.   더그 포드 주총리의 연봉은 208,974달러에서 282,129달러로 오르며, 장관은 165,851달러에서 223,909달러, 공식 야당 대표는 180,866달러에서 244,207달러로 인상된다. 이번 임금 인상으로 인해 2025~2026년 회계연도에는 약 600만 달러의 인건비가 추가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온타리오 공공 부문 전체 급여 지출의 약 0.06%에 해당하는 수치다.   뿐만 아니라, 1995년 보수당 마이크 해리스 정부 시절 폐지됐던 의원 연금제도도 부활한다. 의원들은 이제 온타리오 공공서비스연금(OPSE)에 일반 공무원들과 동일한 조건으로 가입하게 된다. 다만 의원직의 특수성을 고려해, 최소 6년 이상 재직하면 만 65세부터 전액, 55세부터는 감액된 연금을 받을 수 있는 '보충 혜택'도 포함된다.   현재 재직 중인 MPP들은 그간의 경력을 연금 산정에 반영받을 수 있지만, 이번 회기 종료 시까지 의원직을 유지해야 자격이 부여된다. 기존에는 의원 연봉의 10%에 해당하는 금액을 정부가 은퇴 계좌에 납입하는 형태의 대체 복지 프로그램이 제공됐지만, 이는 폐지되고 연금으로 전환된다. 연금제도로 인한 정부 부담은 2026~2027년에 680만 달러로 추산된다.   이번 법안은 포드 총리가 재선 직후 기자회견에서 언급했던 “의원들이 15년 넘게 임금 인상 없이 일하고 있다”는 입장을 반영한 조치다. 그는 “정치인을 두둔하고 싶진 않지만, 이들은 정말 열심히 일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캐나다납세자연맹은 이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니콜라스 가뇽 대변인은 성명을 통해 “온타리오가 4,610억 달러의 재정 적자에 직면해 있는 상황에서 의원들이 스스로 임금을 인상하고 연금을 부활시켰다”며 “시민들이 긴축을 감수하고 있는 가운데, 정치인들만 자기 배를 채우고 있다”고 비판했다.   한편 이번 인상에도 불구하고 MPP들의 연봉은 여전히 토론토 시의원(170,558달러)보다 낮은 수준이며, 포드 총리는 이제 토론토 시장인 올리비아 차우(225,304달러)보다 더 많은 연봉을 받게 된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연금 온타리오 온타리오 공공서비스 임금 인상 이번 인상

2025.06.03. 8:29

썸네일

온타리오, 건설현장 AED 설치 의무화

  온타리오 주정부가 일정 규모 이상의 건설 현장에 자동심장충격기(A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설치를 의무화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이 내용은 더그 포드 주총리 정부가 준비 중인 새로운 종합 노동 법안에 포함될 예정이며, 법안이 통과되면 향후 주 내 수많은 건설 현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데이비드 피치니 노동부 장관은 이번 조치가 건설 산업 종사자들의 건강과 생명을 보호하기 위한 실질적인 안전 강화 방안이라며, “현장 근로자들이 위급한 상황에 처했을 때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돕기 위해 마련된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이 제안은 이전 노동 법안과 관련한 산업계와의 협의 과정에서 나온 의견을 바탕으로 구성됐다”며 현장 목소리를 반영한 정책임을 강조했다.   이번 규정은 20명 이상의 근로자가 일하는 건설 프로젝트에 AED 설치를 의무화하는 내용을 핵심으로 한다. 해당 규정은 산업안전보건법(OHSA)의 개정 형태로 도입될 예정이며, 준수 여부에 따라 향후 건설사들의 현장 운영에도 실질적 변화가 예상된다.   AED는 심장마비와 같은 응급상황에서 생명을 구할 수 있는 필수 장비로, 현장에서 의료진이 도착하기 전 신속한 처치가 가능한 것이 큰 장점이다. 건설 현장은 높은 신체 활동량과 예측할 수 없는 사고 위험이 상존하는 만큼, AED는 사고 발생 시 생존율을 크게 높일 수 있는 도구로 평가받는다.   온타리오 정부는 이러한 장비 도입에 따른 기업의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산업재해보험공단(WSIB)을 통해 장비 비용을 전액 환급해주는 지원 프로그램도 함께 운영할 계획이다. AED 한 대당 평균 비용은 약 2,300달러로, 설치에 필요한 경제적 장벽을 낮춤으로써 규정의 실효성을 확보하겠다는 취지다.   주택건설업계를 대표하는 단체인 온타리오 주 주택건설협회(RESCON)의 앤드류 패리저 부대표는 이번 조치에 대해 “현장 근로자들의 안전을 실질적으로 보장할 수 있는 정책”이라며, “업계 전체가 환영할 만한 조치”라고 평가했다.   온타리오 정부는 그간 여섯 차례에 걸쳐 노동 관련 종합 법안을 도입한 바 있으며, 이번이 일곱 번째가 될 예정이다. 피치니 장관은 향후에도 산업 현장의 다양한 목소리를 반영해 안전하고 건강한 노동 환경 조성을 위한 노력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AED 설치 의무화 규정이 포함된 종합 법안은 향후 주의회에서 심의를 거쳐 통과 여부가 결정될 예정이다. 건설 현장의 구조적 안전을 강화하고 위급 상황에서의 대응 능력을 끌어올리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지 주목된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온타리오 건설현장 온타리오 주정부 노동부 장관 건설 산업

2025.05.28. 7:18

썸네일

온타리오, 교사 2,600명 추가 양성

  온타리오 주정부가 점점 심각해지는 교사 부족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2027년까지 교육대(교사 양성과정) 정원을 2,600명 확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지난 15일 발표된 예산안을 통해 공개된 것으로, 2년간 총 5,580만 달러가 투입될 예정이다.   노란 퀸 고등교육부 장관은 해당 예산이 오는 2024년 9월부터 각 대학교 교육학과에 지원될 예정이며, 이민 및 난민 수 증가로 인해 초중등학교 학생 수가 급증하는 상황을 감안해 결정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북부 및 농촌 지역, 기술 교육 분야, 그리고 프랑스어 교사 양성에 중점을 둘 예정이며, 16개월간 여름방학 없이 운영되는 압축 교육 프로그램을 가진 퀸즈대학, 웨스턴대학, 온타리오테크대학 등에 우선 지원될 계획이다.   교사 양성과정 2년 → 1년 단축?…별도 검토 중 현재 온타리오의 교사 양성과정은 대부분 2년이지만, 주정부는 이를 1년으로 단축하는 방안도 별도로 검토 중이다. 퀸 장관은 “교육과정 변경과 같은 복잡한 요소가 있어 이번 정원 확대와는 별개로 진행된다”고 말했다.   참고로, 온타리오는 과거 교사 공급 과잉이 문제였던 10년 전, 교대 과정을 1년에서 2년으로 늘린 바 있다. 그러나 현재 교육부는 2027년부터 교사 부족이 심각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교사단체 “정원 확대 환영…하지만 정착•복지 문제 더 시급” 온타리오 주요 교사 노조들은 정원 확대 조치를 "시작으로서는 긍정적"이라 평가하면서도,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선 정착 지원 및 열악한 근무환경 개선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르네 얀센 드 왈 온타리오 가톨릭교사협회 회장은 “많은 예비 교사들이 교대를 마치고도 교직을 포기하고 있다”며, 단순히 공급을 늘리는 것보다 정착을 돕는 정책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온타리오 교사연맹(OTF)은 현재 약 4만 8,000명의 자격을 갖춘 교사들이 교육현장을 떠나 다른 길을 걷고 있다고 추산한다.   카렌 리틀우드 온타리오 중등학교교사연맹 회장 역시 “무너지는 학교 건물, 과밀 학급, 교실 내 폭력 등으로 근무 여건이 악화되어 교사들이 떠나고 있다”며 정부가 처우 개선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온타리오 교사 교사 양성과정 온타리오 주정부 현재 온타리오

2025.05.28. 7:16

썸네일

온타리오, 토론토 자전거도로 철거해야…

  온타리오 주정부가 토론토 중심가의 주요 자전거도로 19km를 철거하려는 계획에 제동을 건 법원의 임시 중지 명령에 대해 항소를 추진하고 있다.   주정부는 지난달 온타리오 고등법원 폴 스카바스 판사가 내린 중지 명령에 불복해 항소 의사를 밝혔으며, 자전거도로 철거를 반대하는 시민단체 '사이클 토론토(Cycle Toronto)' 측 법률 대리인에게 항소 통지서를 전달했다.   스카바스 판사는 자전거 이용자의 안전을 보호하는 공익성과, 자전거도로 철거가 교통 혼잡을 줄일 것이라는 주정부 측 주장에 대한 근거 부족을 이유로 철거 중단을 명령한 바 있다.   온타리오 교통부 대변인은 이번 항소와 관련해 “가장 혼잡한 도로들에서 발생하는 교통정체를 해소해야 한다”고 입장을 밝혔지만, 사이클 토론토 측은 이를 “악의적인 정치적 행동”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이 단체는 성명을 통해 “자전거도로를 없앤다고 교통 혼잡이 해결되지 않는다. 이는 기존 자전거 이용자들의 생명을 위협하는 결정이며, 심지어 주정부의 자체 전문가들도 이에 동의하고 있다”며 “오늘의 항소는 정부가 사실보다 정치적 계산을 우선시한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이번 논란은 단순히 자전거도로를 둘러싼 갈등을 넘어, 사법부 독립성 논란으로도 번지고 있다. 더그 포드 온타리오 주총리는 최근 기자회견에서 법원의 중지 명령을 “좌절스러운 판결”이라며 공개적으로 비판했고, 미국처럼 판사를 선출제로 바꾸는 방안까지 언급해 파장을 일으켰다.   이 발언은 법원의 독립성을 훼손하려는 시도로 해석돼 다수의 비판을 받았으며, 결국 온타리오 법무장관이 공식적으로 이를 철회하며 진화에 나섰다.   사건의 최종 판결이 내려지기 전까지는 토론토 시내 블루어 스트리트, 영 스트리트, 유니버시티 애비뉴의 자전거도로는 유지될 예정이다. 항소가 실제로 받아들여질지, 아니면 사법부의 독립성과 공공의 안전이 우선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자전거도로 온타리오 자전거도로 철거 온타리오 주정부 주요 자전거도로

2025.05.12. 6:33

썸네일

2025 온타리오 공무원 채용

  치열한 경쟁 속에서 살아남아야 하는 토론토 직장인들에게, 안정성과 고소득을 모두 갖춘 공공 부문 일자리는 매력적인 선택지다. 현재 온타리오 주정부에서 다양한 고소득 직무에 대한 채용을 진행 중이다   경력 많은 전문가는 물론, 몇 년간의 실무 경험만 있는 이들에게도 적합한 직무가 주정부 채용 홈페이지에 다수 올라와 있다.   회계, 디지털 서비스, 정책 분석 등 다양한 부문의 고소득 공공 일자리가 현재 지원자를 모집 중이며, 연봉은 7만 달러 이상이다.   1. 회계•보고 자문관 (Accounting and Reporting Advisor) 교육부 및 기업관리서비스 부서에서 채용 중인 이 직무는 연봉 76,231달러에서 최대 109,842달러까지 책정된다.   주요 업무는 재무 정책, 도구 및 절차의 조정과 감독이며, 부서의 재무보고 효율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정부 회계, 재무관리, 복잡한 데이터 처리에 대한 지식이 요구되며, 지원 마감일은 5월 7일이다.   2. 프로그램 분석가 (Program Analyst) 킹스턴 또는 토론토 근무 가능하며, 담당 포트폴리오의 성과를 모니터링하고 서비스 목표 달성 여부 및 위험요소를 분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정책 개발 및 프로그램 평가에 대한 경험이 필수이며, 연봉은 76,231달러에서 109,842달러 사이로 지원 마감은 5월 7일이다.   3. 비즈니스 관리자 (Business Administrator) 법무부 교정국에서 채용 중이며, 펜에탱귀쉔(Penetanguishene) 근무하게 된다. 연봉은 75,143달러에서 최대 105,055달러이다.   재정 성과 평가, 예산 관리, 인사 및 행정 전반에 대한 자문 역할이 주요 업무이며 재무 추적 시스템, 스프레드시트 및 분석 도구 사용 능력과 채용•직원 교육 등 인사 경험이 요구된다. 지원 마감은 5월 5일이다.   4. 수석 계획 담당자 (Senior Planner) 지자체 및 주택부 소속으로, 복합적인 토지이용 계획 프로젝트를 주도하고 관련 정책 및 입법 제안, 내각 보고서 등을 작성한다.   환경계획을 포함한 토지이용 시스템 전반에 대한 경험이 요구되며, 연봉은 82,217달러에서 최대 121,155달러. 지원 마감일은 5월 6일이다.   5.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전문가 (Digital Communications Specialist) 노동•이민•훈련•기술개발부에서 토론토에서 근무할 사람들을 채용 중이며, 주급은 1,600.57달러에서 1,958.46달러에 달한다.   비노조 근로자를 지원하는 노동자 자문국(OWA) 소속으로 디지털 콘텐츠 개발 및 시스템 기획 등을 담당한다. 디지털 서비스, 사례관리 시스템, 웹사이트 운영에 대한 전문 지식이 요구되며, 지원 마감일은 5월 2일이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온타리오 공무원 주정부 채용 지원 마감일 현재 온타리오

2025.05.05. 12:33

썸네일

온타리오, 교대 1년제 단축 검토

  온타리오 주정부가 교원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 2년제인 교사양성과정(teachers' college)을 다시 1년제로 단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는 캐나다프레스(CP)가 정보공개 요청을 통해 입수한 온타리오 교육부 문서를 통해 드러났다.   해당 문서에는 "초기 교사 교육(ITE) 과정의 수업량이 교사의 능력 향상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증거는 거의 없다"고 적시돼 있다. 대신 긴 기간의 현장 실습이 교사의 준비도와 직업 지속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점은 강조됐다.   현재 온타리오 교사양성과정은 4학기(2년) 체제로 운영되고 있지만, 이는 지난 2015년 자유당 정부 시절 교대 지원자 수가 넘쳐나던 당시 교사 공급을 조절하기 위해 도입된 것이다. 실제 2011년 7,600명이던 입학자는 2021년 4,500명으로 줄었으며, 현재 신규 교사들의 취업률은 높아졌지만, 반대로 전반적인 교사 부족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온타리오 교장협회와 초등교원연맹(ETFO) 등은 1년제로의 단축을 주장하고 있다. 카렌 브라운 ETFO 회장은 “2년제로 배울 내용이 크게 늘어난 것도 아니고, 오히려 긴 기간과 비용이 장벽이 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온타리오 교사연맹(OTF)은 프로그램 기간보다는 졸업생의 성과와 실습 기회가 중요하다는 입장을 밝혔으며, 3학기 체제에 100일 이상의 실습을 포함한 12개월 집중 과정이 적절하다고 제안했다.   한편, 교육부는 교사 부족의 원인으로 학생 수 증가(약 18만 명), 2030년까지 약 7,800명의 퇴직 예정자, 현재 교육제도의 구조적 변화 부족 등을 들었다. 특히 불어•기술•원주민 관련 과목, 북부 지역에서 교사 수급난이 심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온타리오 주는 예외적으로 교대생에게 대체교사로 수업을 맡게 하는 조치도 취했으나, 교원노조들은 "훈련을 마치기 전 교실에 세우는 임시방편은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니다"라며 반발하고 있다.   반면 대학 측은 프로그램 축소에 반대한다. 스티브 오르시니 온타리오대학협의회 회장은 “교사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 교육을 지금보다 더 줄여선 안 된다"고 밝혔다. 이번 사안으로 교사 수급을 둘러싼 정부와 교육계, 교원노조 간의 시각 차와 해결책에 대한 논쟁이 본격화 될 것으로 보인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온타리오 교대 온타리오 교사연맹 온타리오 교육부 온타리오 주정부

2025.05.02. 13:09

썸네일

온타리오, 사법 개편 추진

  지난 4월 28일, 온타리오 주 정부가 이번 주 새로운 입법을 추진해 판사 임명 절차를 신속화하고, 온타리오 하급법원(Ontario Court of Justice)에 판사 17명을 추가 배치하며, 사이버 범죄 및 암호화폐 전담 기소팀을 신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입법안은 법무장관이 제시하는 기준을 고려해 판사 추천 절차를 보다 간소화하는 ‘풀 기반 추천제(pool-based recommendation process)’ 도입이 핵심이다. 이에 따라 판사 임명 과정이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더그 다우니 법무장관은 “점점 더 복잡해지는 사건과 누적된 형사 사건 처리 지연에 대응하기 위해 추가 인력이 필요하다”며, “이번 변화는 범죄 피해자들이 겪는 고통과 불안을 덜어주는 동시에, 보다 신속한 사법 처리를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이번 조치를 통해 반복적이고 폭력적인 범죄자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고, 사법 시스템에 대한 신뢰를 높이겠다는 방침이다.   앞서 더그 포드 온타리오 주총리는 2024년 초, 보수당 정부가 ‘강경한 성향’의 판사를 임명하겠다는 의지를 밝히며 “선거로 선택된 정당이 자신들과 뜻이 맞는 인사를 임명하는 것은 민주주의의 일부”라고 발언해 논란을 낳았다.   판사 임명 위원회는 판사 3명, 변호사 3명, 일반 시민 7명으로 구성되며, 지원자 면접을 거쳐 순위가 매겨진 추천 명단을 법무장관에게 제출하면 장관이 그중 한 명을 선택하게 되어 있다.   하지만 마이클 스프랫 오타와의 형사변호사는 “사법 임명은 굳이 새로운 법 없이도 충분히 빨라질 수 있다”며 “정부의 무관심이 문제였을 뿐”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제도가 망가진 것도 아닌데 고치겠다고 나서는 것은 오히려 친구들을 법원에 앉히려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든다”고 말했다.   스프랫은 또 “사법부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쌓는 데 수십 년이 걸리지만, 법무장관 한 명에 의해 무너지는 데는 몇 년도 걸리지 않는다”며 신중한 접근을 촉구했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온타리오 사법 온타리오 사법 온타리오 하급법원 사법 임명

2025.05.01. 13:09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