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타리오주 교육부 장관 폴 칼란드라가 더럼교육청 소속 세 고등학교가 졸업무도회(프롬, prom)를 취소한 데 대해 “학교가 복구하지 않으면 내가 직접 개입하겠다”고 경고했다. “프롬은 단순한 파티가 아니다” 더럼교육청 산하 브룩클린·브록·억스브리지 고등학교는 최근 학부모들에게 보낸 공동 서한에서, “학교 주관 프롬은 점점 커지는 법적 책임과 안전 리스크 때문에 취소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칼란드라 장관은 24일(목) 주의회 질의응답 후 “졸업무도회는 단순한 파티가 아니라 성취를 기념하는 의식이며, 안전하게 진행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학생들의 권리, 어른이 막아선 안 돼” 그는 “아이들은 아이답게 즐길 수 있어야 한다”며 “학교가 이를 막는다면 교육부가 나서 학생을 우선시하도록 조치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교육청의 결정은 학생과 교사를 중심에 두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칼란드라 장관은 현재 주의회에 상정된 교육법 개정안이 통과되면, 교육부 장관이 교육청 운영에 직접 개입할 수 있는 권한이 확대될 것이라며 “프롬 문제 역시 해당 권한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학교 측 “프롬을 대신을 연말 행사 마련할 것” 세 학교 측은 “학생들의 안전을 우선시 할 것이며, 기존 졸업무도회를 대체할 연말 행사를 대안으로 마련 중”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많은 학생과 학부모들은 “기념적인 졸업무도회를 없애서는 안 된다”며 반발하고 있다. 이에 대해 더럼교육청은 아직 별도의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온타리오 교육장관 폴칼란드라 더럼교육청 졸업무도회 프롬 프롬취소
2025.10.28. 12:02
온타리오주와 연방정부 간의 ‘하루 10달러 보육제’ 운영 협약이 5개월 뒤 만료를 앞두고 있지만, 연장 협상이 답보 상태에 머물고 있다. 이로 인해 보육 단체와 부모들 사이에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연방선거 전 타주들은 연장 완료 대부분의 주와 준주는 올해 연방선거 전 이미 협약 연장을 마쳤지만, 온타리오주는 현재까지 ‘원칙적 합의서’만 체결한 상태다. 협약이 만료되면 오는 3월 31일 이후 프로그램 운영이 중단될 수 있다. 온타리오 “2억 달러 재정 공백 우려” 폴 칼란드라 온타리오 교육장관은 현행 재정 구조가 유지될 경우 연간 20억 달러 규모의 예산 부족이 발생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연방정부가 협상 테이블에 나와야 한다”며 “이미 여러 차례 서한을 보내고 통화도 했지만, 새 장관이 재무위원회의 공식 협상 권한을 아직 부여받지 못했다”고 밝혔다. 보육료 최대 4배 인상 가능성 현재 온타리오 보육시설의 평균 보육료는 절반 이상 인하되어 하루 22달러 수준으로 제한돼 있다. 그러나 협약이 갱신되지 않으면 내년 4월 1일부터 요금이 최대 하루 100달러까지 오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프로그램에는 보육교사 임금 인상(시간당 4달러)도 포함되어 있어, 중단 시 교사 처우가 악화될 우려도 있다. 학부모·운영자 “불확실성에 불안” 한편, 온타리오 보육연합회의 앤드리아 해넌 대표는 “정책 시행 이후 늘 임시방편식으로 진행돼 예측 가능성이 부족했다”며 “이번에도 갑작스러운 변화가 우려된다”고 말했다. 토론토의 한 싱글맘 재닛 아미토는 “보육료가 오르면 일을 포기해야 할 수도 있다”며 “이제 막 안정된 생활이 다시 흔들릴까 걱정된다”고 호소했다. 전문가 “정치적 우선순위 밀려” 보육정책연합회 캐럴린 펀스 코디네이터는 “양 정부 모두 당장의 정치 일정에 치중해 보육 협약 연장이 후순위로 밀린 상태”라며 “정말 이 프로그램이 사라질 수 있다는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감사보고서 “성과는 있지만 인력난 지속” 최근 연방감사원 보고서에 따르면, 해당 프로그램은 보육비 절감에는 성공했지만 신규 보육공간 창출과 인력 확충 면에서는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온타리오 감사원 역시 내년까지 최소 1만 명의 보육교사가 추가로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온타리오 연방선거 폴칼란드라 교육장관 하루10달러 보육제도 캐나다 보육비
2025.10.24. 13:01
최근 여러 보고서에 따르면, 온타리오 정부가 정한 최저임금과 실제 생활이 가능한 ‘생계임금(living wage)’ 사이의 격차가 여전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캐나다 부동산업체 주카사(Zoocasa)가 발표한 최신 자료에 따르면, 토론토 주민이 소득의 30%를 주거비에 사용한다고 가정할 때, 현재 임대료 수준에서 필요한 시급은 44.13달러, 연봉으로는 약 8만6천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온타리오주 새 최저임금인 17.60달러의 두 배가 넘는 금액이다. 임금 인상에도 ‘월세 부담’ 여전 온타리오를 포함한 5개 주는 2025년 10월 임금을 인상했지만, 월 임대료의 상승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 주카사는 “2023년의 최고치를 지나 다소 안정세를 보이지만, 여전히 1인 세입자가 평균적인 가격의 원 베드룸을 감당하기엔 무리”라고 밝혔다. 현재 토론토의 원 베드룸 평균 임대료는 월 2,295달러 수준으로 집계됐다. 광역 지역도 상황 비슷 도심 외곽으로 벗어나도 사정은 크게 다르지 않다. 옥빌 지역의 생계임금을 시급으로 환산하면 시급 42.81달러(연 8만3천 달러), 미시사가는 41.12달러(연 8만 달러), 서드베리 역시 40.94달러(연 7만9천 달러)로, 모두 최저임금의 두 배 이상이다. 캐나다에서 가장 높은 수준은 밴쿠버와 노스밴쿠버로, 각각 시급 48.10~49.42달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내 집 마련’은 더 먼 이야기 주택을 구매하려는 경우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최근 분석에 따르면, 평균적인 모기지를 감당하기 위해선 연 소득이 20만 달러 이상이어야 한다. 부동산 가격이 하락세임에도 불구하고, 소규모 임대인들이 손해를 감수하거나 수익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단순한 가격 인하 요구만으로는 해법을 찾기 어렵다. 전문가들은 “임대료 부담을 완화하지 못한 채 임대인들이 시장에서 떠나면, 대형 부동산들과 기업 중심의 임대구조로 재편돼 결국 주거 불평등이 더욱 심화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온타리오 임대료 토론토 옥빌 미시사가 생계임금 최저임금
2025.10.21. 22:38
온타리오주 미시사가에 거주하는 수지시 푸탄비틸은 차량 도난 후에도 6천 달러 이상의 대출금을 갚아야 하는 처지에 놓였다. 그는 차량 구입 시 추가로 보험료를 납부했지만, 보험이 모든 비용을 보상하지 못했다. 도난 후에도 남은 대출금 6천 달러 그는 올해 3월 약 5만3,842달러를 들여 2023년형 아우디 A4를 구매했다. 차량에는 정비 패키지(1,299달러), 6년 연장 보증(3,299달러), GAP(보장 자산 보호) 보험(2,996달러)이 포함돼 있었다. 그러나 구매 3개월 만인 6월, 차량이 자택 앞에서 도난당했다. 보험사는 차량 가액 3만9,152달러를 보상했고, GAP 보험에서 추가로 6,378달러가 지급됐지만 여전히 6,900달러가 미납으로 남았다. GAP 보험이 정비 및 보증 프로그램 비용을 보상하지 않기 때문이다. “미사용 서비스 환불돼야” 푸탄비틸은 차량을 거의 사용하지 못했음에도 보증 연장과 정비 프로그램 비용을 환불받지 못했다고 밝혔다. 딜러 측은 정비 패키지 600달러, 보증사 측은 256달러 환불을 제안했으나, 이를 모두 수락하더라도 약 6천 달러의 부채가 남는다. 전문가 “GAP 보험, 과대 광고된 상품” 자동차 소비자 단체 카헬프캐나다(Car Help Canada)의 샤리 프리맥 대표는 “딜러들이 고가의 추가 상품을 권유하지만, 대부분 실제 차량 가치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그는 “GAP 보험은 차량의 잔여 대출보다 시장가가 낮을 경우 차액을 보상하는 제도이지만, 보증 연장비나 정비 패키지는 포함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또한 “GAP 보험은 장기 할부 계약에서만 필요성이 생긴다”며 “4~5년 이내의 합리적 대출 기간을 선택한다면 불필요한 보험료를 낼 이유가 없다”고 조언했다. 푸탄비틸은 “차량도 없어지고 이제는 빚만 남았다”며 당분간 새 차를 구입할 계획이 없다고 전했다. 이번 사례는 캐나다 내 GAP 보험의 보상 한계와 차량 금융 구조의 불합리함을 드러내고 있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온타리오 미시사가 아우디 대출금 GAP보험 할부계약
2025.10.20. 10:31
캐나다와 미국 국경 통과 차량을 관리하는 캐나다국경서비스청(CBSA)의 전산 시스템이 지난달 28일부터 이틀간 중단되면서, 일부 트럭 운전자가 38시간 넘게 대기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보안 정보 확인 불가…인력 수동 처리 전산 장애로 인해 국경 요원들은 트럭 운전자의 보안 플래그나 위험 경고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없었다. 캐나다국경세관이민노동조합(CIU)의 마크 웨버 위원장은 “시스템이 멈추면 잠재적 보안 위협 정보를 확인하지 못한 채 차량이 통과하게 된다”며 우려를 표했다. 구형 시스템 한계 드러나 웨버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CBSA의 노후화된 IT 인프라 개선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현 시스템은 1990년대에 구축된 것으로, 장애가 잦고 복구에도 시간이 걸린다”며 “이번은 그중에서도 가장 심각한 사례 중 하나”라고 말했다. 경제적 피해도 상당 온타리오주 테컴시에서 물류업체를 운영하는 스티브 온데이코는 “트럭이 미국 디트로이트 측 다리에서 5시간 넘게 대기했다”며 “운행 제한 시간이 초과돼 다른 운전자를 긴급 투입해야 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식품과 자동차 부품 운송 일정이 최소 이틀 이상 지연됐다”며 “운영비 부담이 크게 늘었다”고 덧붙였다. CBSA는 이번 장애가 “정기 점검 중 예기치 못한 기술적 문제로 발생한 것이며, 사이버 공격과는 무관하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최근 캐·미 무역 불확실성과 CUSMA(북미자유무역협정 개정판) 재협상 국면 속에서 국경 관리 시스템의 안정성이 한층 중요해지고 있다고 경고했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 캐나다 국경 전산시스템 전산장애 온타리오 IT인프라
2025.10.20. 10:29
온타리오주 벌링턴의 한 여성이 부모가 세상을 떠난 지 1년도 되지 않아 66만 달러가 넘는 세금 고지서를 받으며, 부모의 은퇴자금을 대부분 세금으로 납부한 사실이 알려졌다. RRSP 상속, 세금 폭탄으로 이어져 애슐리 갈리아의 부모는 각각 62세와 63세에 잇따라 사망했다. 두 사람의 RRSP(등록은퇴저축계좌)가 합쳐지며 약 71만 달러 규모의 자산이 발생했지만, 이 금액이 소득으로 간주돼 약 50%의 세율이 적용됐다. 또한 정부는 별장에 대해 양도소득세(capital gains tax)를 부과해 총 세금이 66만9천 달러에 달했다. 이로 인해 가족은 별장을 지키기 위해 RRSP 자금의 대부분을 세금을 납부하는데 사용해야 했다. 전문가 “조기 자산 이전 전략 필요” 세무 전문가 에블린 잭스는 사망 시점의 과세를 줄이기 위해 55세 이후부터 세금 효율적인 자산 관리 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RRSP 일부를 비과세 계좌(TFSA)로 이전하면 사망 후 과세 부담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상속세 제도 개선 목소리 갈리아는 이번 사례가 RRSP 상속의 한계를 보여준다며 제도 개선을 촉구했다. 그는 “젊은 나이에 사망할 경우 RRSP가 상속보다 세금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자산가뿐 아니라 중산층 가정도 사망 전 재정 계획을 세워야 불필요한 세금 손실을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 양도소득세 캐나다 온타리오 벌링턴 은퇴자금 세금
2025.10.18. 22:14
온타리오 브루스카운티 출신 모이라 로버트슨(25)은 23세가 돼서야 자폐 진단을 받았다. 진단까지 5년이 걸렸고, 그 사이 필요한 교육•의료 지원은 모두 놓쳤다. 그는 자폐 진단이 가능한 전문가가 지역에 없어 수차례 대도시로 원정을 가야 했다. 결국 가족은 사비로 심리학자를 찾아 진단을 받았다. 끝없는 대기, 놓치는 시기 캐나다 소아과학회 조사에 따르면 자폐 진단 대기 기간은 평균 7개월, 최대 2년이다. 성인의 경우 2년 반 이상이 걸린다. 진단 지연은 교육 지원, 정신건강 관리, 세금 공제 등 각종 제도 이용에도 큰 장벽이 된다. 여성•소수자는 더 늦어진다 밴쿠버의 시유 천은 17세에 진단을 받았다. 연구 결과, 여성과 비백인 아동들은 일반적인 성인 남성보다 1~2년 늦게 진단받는 경향이 있다. 진단 기준이 오랫동안 남성 중심으로 설계된 탓이다. 천은 “언어 장벽과 문화적 편견이 여성과 소수자 진단 지연을 악화시킨다”고 지적했다. 연방 전략, 실행이 관건 캐나다 정부는 지난해 첫 ‘국가 자폐 전략’을 발표하고 5년간 630만 달러를 투자하기로 했다. 신속한 진단 체계 구축이 핵심 과제지만, 전문가들은 “계획만으로는 실질적 변화가 어렵다”고 평가한다. 현장 교육 통한 인력 확충 절실 전문가들은 자폐 진단 교육을 받은 1차 진료 의사 확대가 해법이라고 제시한다. 홀랜드 블로어뷰 재활병원 연구에 따르면 일반 소아과 의사도 충분한 훈련을 거치면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며, 이는 대기 시간 단축으로 이어진다. 캐나다 각 주는 자폐 진단과 지원 체계를 담당하지만, 연방 정부의 가이드라인이 구체적 정책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제도보다 현장 중심의 인력 강화가 절실하다”고 강조한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온타리오 자폐진단 자폐아 캐나다 소아과 여성 소수자 진단
2025.10.15. 6:20
2025년 10월, 온타리오에서는 근로자와 기업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여러 새로운 법과 규정이 시행된다. 최저임금 인상부터 특정 고용보험(Employment Insurance, EI) 임시 조치 종료까지, 알아두어야 할 변화가 많다. 최저임금 인상 온타리오 주정부는 2025년 10월 1일부터 최저임금을 시간당 $17.20에서 $17.60으로 인상한다. 이번 인상은 2.4%의 온타리오 소비자물가지수(CPI)를 반영한 것으로, 온타리오의 최저임금은 캐나다 내 두 번째로 높은 주별 최저임금이 된다. CPI는 소비자가 체감하는 물가 변화를 측정하는 지표다. 이번 인상으로 일반 최저임금을 받으며 주 40시간 근무하는 근로자는 연간 최대 $835의 임금 인상 효과를 보게 된다. 2018년 이후 온타리오의 최저임금은 시간당 $14에서 10월부터 $17.60으로 올라간다. 학생 최저임금도 시간당 $16.20에서 $16.60으로 인상된다. 이는 18세 미만 학생이 학기 중 주 28시간 이하 근무하거나 방학 및 여름휴가 기간 동안 근무할 때 적용된다. 만약 임금 인상 시점이 급여 기간 중간이라면, 이를 두 개의 별도 급여 기간으로 나누어 적용하며 각 기간에 맞는 최저임금 이상을 받을 수 있다. 임시 고용보험(EI) 조치 종료 올해 3월, 연방정부는 관세 영향으로 일자리가 줄어든 근로자들의 소득 지원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세 가지 임시 EI 조치를 도입했다. 이 조치들은 2025년 10월 11일 종료될 예정이다. 첫 번째 조치는 EI 대기 기간 1주일 면제로, 일부 수급자는 혜택이 한 주 추가되어 실직 후 소득 감소에 더 쉽게 적응할 수 있었다. 두 번째 조치는 퇴직금 등 급여 처리 규정을 유예하여 EI 수급 개시를 앞당겼다. 세 번째 조치는 모든 EI 지역의 실업률을 1%포인트 조정하고, 최소 7.1%, 최대 13.1% 범위로 설정하며, 정규 EI 자격 요건을 630시간 이하로 낮추고 수급 기간을 최대 4주 연장했다. 온타리오 기업 지원 변화 올해 4월, 온타리오 주정부는 미국 관세 영향으로 피해를 입은 근로자와 기업을 위해 약 110억 달러 규모 지원 계획을 발표했다. 당시 더그 포드 온타리오 주총리는 “온타리오 경제를 지키기 위해 무엇이든 하겠다”며, “근로자와 기업이 불확실한 경제 환경 속에서도 안정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조치했다”고 밝혔다. 포드 총리는 “온타리오를 보호하는 최선의 방법은 G7에서 가장 경쟁력 있는 경제를 구축하고, 내부 무역 장벽을 허물며, 교역을 다변화해 더 탄탄하고 번영하며 안전한 주를 만드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10월부터 시행되는 법과 조치들은 근로자 임금, EI 혜택, 기업 지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온타리오에서 근무하거나 사업을 운영하는 사람들은 반드시 확인할 필요가 있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온타리오 최저임금 캐나다 EI 고용보험 미국 관세
2025.09.29. 7:50
자동차를 새로 구입하거나 리스했음에도 불구하고 반복적인 고장으로 고통 받는 소비자들이 온타리오주에 ‘레몬법’ 제정을 촉구하고 있다. 미국 대부분의 주와 달리 캐나다에서는 퀘벡을 제외하고는 관련 법이 없어 소비자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계속된 차량 결함에 불신 커져 스카보로 딜러십에서 2024년형 포드 F-150을 리스한 마크 미첼은 차량을 인도받은 직후부터 엔진 고장과 수리, 반복적인 기계적 결함에 시달렸다. 그는 “24개월 리스 기간 중 9개월을 딜러십에 맡겼다”며 “더는 이 트럭을 신뢰할 수 없다”고 말했다. CAMVAP의 한계 현재 소비자들이 선택할 수 있는 유일한 제도적 장치는 캐나다 자동차중재프로그램(CAMVAP)이다. 하지만 미첼은 “차량이 불량임을 여전히 소비자가 입증해야 한다는 점에서 부담이 크다”며 “공정하지 않다”고 토로했다. 비영리단체 카 헬프 캐나다 역시 “CAMVAP은 절차가 복잡하고 결론이 소비자에게 불리한 경우가 많다”며 한계를 지적했다. 레몬법 필요성 대두 미국의 경우 모든 주에서 레몬법이 시행 중이며, 고장이 반복될 경우 제조사가 차량을 환불•보상하도록 강제한다. 퀘벡은 2023년 소비자보호법을 통해 유사 제도를 도입했지만 아직 실효성에 대한 평가는 초기 단계다. 온타리오 입법 움직임 카 헬프 캐나다는 현재 온타리오주 정부를 상대로 설문조사와 연구를 진행 중이며, 내년 안에 입법 근거 자료를 제출할 계획이다. 전문가들은 “퀘벡의 사례를 지켜본 뒤 온타리오가 결정을 내릴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미첼은 “제조사들은 법적 제재가 없다는 걸 알고 있다”며 “소비자 보호 강화를 위해 반드시 제도가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레몬법 캐나다 자동차 온타리오
2025.09.29. 7:48
온타리오 주정부가 과속 단속 카메라(ASE) 대신 교통 완화 시설에 대규모 예산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포드 “카메라는 세금 수단일 뿐” 지난 9월 22일(월), 더그 포드 주총리는 러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과속 단속 카메라는 세금 착취의 수단일 뿐이며 운전 습관 개선 효과는 제한적”이라며 “학교 앞과 같은 구역에서 운전자가 실제로 속도를 줄일 수 있도록 과속방지턱, 회전교차로, 점멸 표지판 등 다양한 시설을 설치하는 데 예산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경찰•지자체는 “효과 있다” 반면 온타리오 경찰서장협회는 “자동 과속 단속 장치는 운전자 행동을 바꾸고 도로 안전을 개선하는 효과가 입증됐다”며 프로그램을 지지했다. 오타와시는 현재 60대의 카메라를 운영 중이며, 올가을 24대를 추가 설치하기 위해 170만 달러를 투입하고 있다. 마크 서트클리프 오타와 시장은 “데이터에 따르면 과속 단속 카메라는 차량의 속도를 줄임과 동시에 주민들의 안전에 큰 도움이 된다”고 반박했다. 시 재정•안전 효과 뚜렷 오타와시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과속 단속 카메라 운영으로 약 2천만 달러의 수익이 발생했으며, 7월까지 발급된 과속 딱지는 19만 건이 넘는다. 일부 주민들은 “벌금이 억울할 수 있지만 카메라는 운전자들의 과속을 줄이는데 실질적인 효과가 있다”며 찬성 입장을 보였다. 갈등 속 주민 불만도 한편, 지난 주말 오타와 오를레앙 지역에서는 과속 단속 카메라가 스프레이 페인트로 훼손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올해 들어 오타와에서만 여덟 번째 카메라 훼손 사례다. 포드 주총리는 “기물 파손은 어떤 경우에도 정당화될 수 없지만, 주민들의 불만이 얼마나 큰지 보여주는 사례”라고 말했다. 온주 정부의 정책 전환이 교통 안전과 주민 불편 사이에서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주목된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더그포드 온타리오 ASE 과속단속카메라 토론토 교통체증 안전 안전시설
2025.09.29. 7:42
온타리오 주민들은 내년부터 재활용품 수거 프로그램인 블루박스(Blue Box)에 변화를 체감하게 된다. 일부 지역에서는 이미 변화가 시작됐다. 2026년 1월 1일부터 블루박스 수거 및 프로그램 운영 책임은 재활용품과 포장재를 생산하는 기업으로 이전된다. 이는 2016년 온타리오 주정부가 통과시킨 법안에 따른 조치로, 주정부는 “블루박스 운영 비용 부담을 지방세 납부자에게서 생산자에게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설명했다. 주 전체에서 전환이 시행되지만, 일부 지자체는 2023년부터 먼저 적용을 시작했다. 실제로 해밀턴시는 올해 4월 Circular Materials에 수거 책임을 넘겼고, 구엘프시는 1월부터 Waste Management of Canada Corporation에 운영을 맡겼다. 토론토 일부 지역도 2023년부터 Circular Materials로 전환했지만, 시에서 직접 제공하던 수거 서비스는 2026년 1월 1일 종료된다. 새로운 수거 체계에서는 생산자 책임 조직(PRO, Producer Responsibility Organization)이 재활용품 수거 품목과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주민에게 변경 사항을 안내할 의무가 있다. 온타리오 전체에서는 Circular Materials, Ryse Solutions, Landbell Canada, EnvironFocus Incorporated가 새 블루박스 수거 체계를 운영하며, Circular Materials가 주 전역 관리 책임을 맡는다. 주민들은 더 이상 시청을 통해 블루박스를 요청할 수 없으며, 블루박스는 소매점에서 구매하거나 지역 물류 센터를 통해 받아야 한다. 구엘프 주민은 Waste Management of Canada Corporation에, 해밀턴 주민은 GFL Environmental Inc.에 문의하면 된다. 블루박스 전환과 동시에 일부 지역은 일반 쓰레기와 음식물 쓰레기 수거 서비스도 바꾸고 있다. 필 지역(Peel Region)은 2027년 10월 1일부터 미시사가, 브램턴, 칼레돈으로 수거 서비스를 이전할 계획이다. 할턴과 워털루 지역은 카트 기반 수거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다. 할턴은 2023년 시범 프로그램을 시작해 올해 1만 8천 가구로 확대하며 기존 격주 수거 일정은 유지한다. 워털루도 2026년 3월부터 쓰레기와 음식물 수거를 카트 기반으로 전환하며, 주민들은 9월 5일까지 소형 검정색 쓰레기 카트를 주문할 수 있다. 음식물용 녹색 카트는 3월 이전에 배달될 예정이다. 이번 전환으로 온타리오 주민들은 재활용품과 쓰레기 수거 과정에서 변화를 경험하게 되지만, 주와 지자체는 주민 편의를 위해 안내와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캐나다 온타리오 재활용품 쓰레기 블루박스 재활용
2025.09.26. 10:27
온타리오주, 연방에 강력한 형사정책 개편 요구 온타리오주가 연방 정부에 보석과 형량 규정을 강화할 구체적인 조치를 요구했다. 이는 연방 정부가 곧 법안을 상정해 형사 사법제도를 일부 개편하려는 움직임과 맞물린 것이다. 주 법무장관과 법률고문이 공동으로 보낸 서한에서 온타리오주 정부는 “표면적인 수정이 아닌 전면적이고 실질적인 해결책”을 촉구했다. 보석 제한·최소형량·삼진아웃 제안 서한에서는 살인, 가정폭력, 일부 총기 범죄 등 중범죄에 대해 보석을 허용하지 않고, “중대한” 범죄에 대한 의무형(최소형량) 부활, 반복 범죄자에 대한 삼진아웃 제도 도입을 제안했다. 또한 폭력적 주거침입, 차량 탈취, 인신매매 등 일부 범죄는 검사가 아닌 피고인이 직접 자신의 무죄를 입증해야 하는 규정을 적용하도록 권고했다. 연방 보수당 역시 다수 중범죄 전과자에 대해 보석을 제한하는 삼진아웃 규정을 요구해 왔다. 연방 정부, 법안 곧 상정 예정 온타리오주는 이러한 요구를 법무부 장관과 공공안전부 장관에게 전달하며, 재판을 앞두고 보석이 허용되는 인원을 줄이겠다는 더그 포드 주 총리의 기존 요구를 재차 강조했다. 션 프레이저 법무부 장관은 지난주 국회에서 보석과 형량 개편 관련 법안이 다음 달 상정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자유당, 선거 공약으로 엄격한 보석 규정 약속 자유당은 올 봄 선거에서 주거침입, 차량 절도, 인신매매, 조직범죄, 폭력 범죄 등에서 보석 규정을 강화하겠다는 공약을 내세운 바 있다. 이번 온타리오주의 요구는 연방 정부의 정책 방향과 맞물리며, 강력 범죄자 처벌 강화와 범죄 억제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온타리오 보석 형량 범죄자 사법제도 사법제도개편 형사정책 피고인 혐의입증
2025.09.26. 10:23
온타리오주 정부가 약사들에게 더 많은 진단•처방 권한을 부여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주 보건부는 지난 9월 17일 발표에서, 약사들이 기존보다 더 많은 경미한 질환을 직접 진단하고 약을 처방할 수 있도록 하는 규제 완화 논의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약사가 진료하는 질환 확대 현재 약사들은 결막염, 치질, 방광염 등 19가지 경미한 질환을 진단•처방할 수 있다. 이번에 새로 추가되는 항목에는 무좀, 사마귀, 대상포진, 두통, 수면장애, 지루성 피부염(비듬) 등이 포함된다. 앞으로는 환자들이 가벼운 증상으로 굳이 의사 진료를 기다리지 않아도 약국에서 바로 진단과 처방을 받을 수 있게 되는 셈이다. 보건부는 또한 약사들이 인후염(스트렙토코쿠스 검사)을 직접 진단하는 검사와, 마약성 진통제 중단 시 나타나는 금단 증상을 완화하는 주사도 시행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의료 접근성 강화 목적 실비아 존스 온타리오주 보건부 장관은 성명을 통해 “의료 전문가들의 역할 범위를 넓히는 것은 환자들이 필요한 치료를 더 빠르고 쉽게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조치”라며 “특히 지역사회 약국을 통해 의료 접근성을 강화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논의에는 약사뿐 아니라 안경사, 심리학자, 언어치료사, 물리치료사 등 다른 보건 전문직의 권한 확대도 포함됐다. 예컨대 심리학자에게는 항우울제 처방 권한을, 안경사에게는 일부 진단 권한을 부여하는 방안이 검토된다. 물리치료사나 언어치료사가 MRI나 CT와 같은 영상 검사를 직접 시행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도 포함돼 있다. 민간 클리닉 활용 확대 논란도 온타리오주 정부는 최근 몇 년간 병원 중심의 진료 체계를 일부 민간 클리닉으로 분산하는 방안을 추진해 왔다. 이번 조치 역시 경증 질환과 기본 검사들을 동네 약국과 클리닉에서 해결할 수 있도록 해, 병원과 응급실의 부담을 덜겠다는 구상이다. 다만 의료계에서는 진단•처방 범위가 넓어질수록 오진 위험이나 환자 안전 문제가 불거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에 따라 이번 권한 확대안은 전문가•의료단체•주민 의견을 수렴하는 공청회와 협의를 거쳐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환자 편의 높아질 듯 온타리오주 정부는 이미 2023년부터 단계적으로 약사 권한을 확대해 왔다. 당시에도 ‘경증 질환 약국 진료’ 제도가 도입되자 대기 시간이 줄고 환자 만족도가 높아졌다는 평가가 있었다. 이번 추가 확대가 현실화된다면, 앞으로 주민들은 보다 편리하게 약국에서 진료를 받을 수 있을 전망이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온타리오 진료권 권한 확대 확대 논란 약사
2025.09.25. 10:35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한 해 동안 온타리오에서 응급실을 방문했지만 긴 대기 시간으로 인해 진료 받기를 포기하고 병원을 떠난 환자들이 약 29만 명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온타리오에서 기록된 약 600만 건의 응급실 방문 중 약 4.9%에 해당한다. 온타리오, 캐나다 내 상대적 낮은 수치 지난 9월 18일(목), 공공정책 싱크탱크 MEI(Montreal Economic Institute)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온타리오에서 치료를 포기한 환자 비율은 캐나다 내 조사 대상 9개 주 중 가장 낮았다(서스케쳐원 데이터는 미제공). 반면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에서는 대기 문제 등으로 응급실 치료를 받지 못한 환자 비율이 14.15%로 가장 높았고, 매니토바 13.23%, 뉴브런즈윅 12.85% 순으로 나타났다. 캐나다 전체 상황 보고서는 캐나다 전체적으로 2024년 한 해 동안 1,630만 건의 응급실 방문 중 약 127만 명(7.8%)이 대기 등으로 치료를 받지 못하고 병원 문을 나섰다고 밝혔다. 지난해에는 이러한 환자 수가 전년 대비 35.6% 증가했다. 이 중 약 절반은 생명에는 직접적 위협은 없지만, 신속한 치료가 필요한 P3 등급 환자였다. 시스템 문제와 우려 MEI 커뮤니케이션 르노 브로사르 부사장은 성명을 통해 “매년 수천 명의 온타리오 주민이 시스템 문제로 인해 치료를 받지 못하고 응급실을 떠나고 있다”며 “환자들이 치료 지연으로 상태가 악화될 위험이 있다”고 강조했다. 브로사르는 또한 “치료 지연이나 회피로 인해 병세가 악화되면 수술 등 더욱 심각한 의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며, 1차 진료 시스템의 근본적인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해결책과 권고안 보고서는 응급실 치료받지 못하는 환자들을 줄이기 위해 응급실 이외의 접근 가능한 대체 진료 옵션 마련과 병원 시스템 부담 완화를 권고했다. 이를 통해 긴 대기 시간을 완화하고, 환자가 치료를 받지 못하고 병원 문을 나서는 위험을 줄이며, 장기적으로 의료 자원의 효율적 활용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응급실 진료 응급실 방문 캐나다 온타리오 보고서
2025.09.25. 10:24
온타리오주 정부가 응급실과 의사 진료 대기 문제를 줄이기 위해 의료 전문가들이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범위를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안경사·심리학자 권한 확대 개정안에 따르면 안경사는 환자를 의사에게 의뢰하지 않고도 소규모 외과 시술을 직접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심리학자는 항우울제와 같은 일부 약물을 처방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게 된다. 더불어 일부 전문직들에게는 X선 촬영, MRI, CT 검사 수행 권한이 주어진다. 약사의 역할 강화 주정부는 온타리오 약사협회와 협력해 약사의 진료 범위도 넓힐 계획이다. 대상 질환에는 대상포진, 가벼운 수면장애, 백선, 손·발톱 무좀 등이 포함된다. 현재 일부 약국에서 접종 가능한 예방접종 범위도 확대돼, RS바이러스, 백일해, 파상풍, 디프테리아, 그리고 오피오이드 중독 치료제인 서브로케이드(Sublocade)까지 약국에서 무료로 제공될 전망이다. 의료계 우려 목소리 온타리오의사협회는 성명을 통해 “복잡한 시술이나 강력한 약물 처방을 비(非)의사가 맡는 것은 환자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 협회는 “의사는 환자 진단과 치료를 위해 수년간 훈련을 받는다. 환자들은 임시방편이 아닌 충분한 치료를 받을 자격이 있다”고 강조했다. 긍정적 평가도 반면 저스틴 베이츠 온타리오약사협회 회장은 소규모 질환 진료 프로그램이 이미 100만 명 이상에게 신속한 진료를 제공했다며 확대 필요성을 환영했다. 그는 “약국에서 제공하는 무료 예방접종 확대는 접근성을 높이고 예방률을 끌어올릴 것”이라고 밝혔다. 새 제도가 언제부터 시행될지는 아직 구체적으로 밝혀지지 않았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안경사 온타리오 의사진료 약사 의료진 의료대기 심리학자
2025.09.23. 7:57
지난 9월 17일(수), 온타리오 재정감독청(FAO)이 발표 한 온타리오 경제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향후 5년 동안 주정부의 재정 적자와 부채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적자 1조에서 12조로 확대 FAO는 2024-25 회계연도 적자가 13억 달러에서 2025-26년에는 120억 달러로 악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순부채 역시 2023-24년 4,080억 달러에서 2029-30년 5,493억 달러(34.7%)로 늘어날 전망이다. 이는 기간 내 522억 달러의 누적 적자와 892억 달러 규모의 비금융자산(주로 인프라 자산) 증가가 원인으로 꼽힌다. 정부 목표와 큰 차이 온주 정부는 지난 5월 예산에서 2027-28년 균형재정을 달성하겠다고 제시했지만, FAO는 이를 비현실적이라 지적했다. 재정감독관 제프리 노박은 “정부 예상과 달리 3년 후에도 100억 달러 적자가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며 “이를 메우려면 세수 증대나 지출 삭감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특히 의료 분야 등 핵심 서비스 지출이 정부 예측보다 훨씬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 “재정은 여전히 건전” 이에 대해 재무장관 피터 베슬렌팔비 대변인은 성명을 통해 “FAO 보고서는 특정 시점에 근거한 것이며, 전체 재정을 반영하지 않는다”며 “2025년 예산에서 제시한 균형재정 목표는 유지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무역 불확실성의 변수 FAO는 미국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온타리오의 실질 GDP 성장률이 2025년 0.9%, 2026년 1.0%로 둔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관세 충격이 점차 완화되면서 장기적으로는 연평균 1.9% 성장을 회복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무역 환경에 따른 두 가지 시나리오도 제시됐다. 관세 영향이 완화되는 ‘저충격’ 시나리오에서는 2029-30년 적자가 39억 달러까지 줄어들 수 있지만, ‘고충격’ 시나리오에서는 134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분석됐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온타리오 재정감독청 FAO 경제 온타리오예산 예산적자 미국관세
2025.09.22. 6:30
토론토 마약 공급망에서 펜타닐보다 최대 100배 강력한 오피오이드인 카펜타닐(carfentanil)이 급속히 확산하고 있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토론토 약물검사서비스(TDCS)에 따르면, 8월에 검사한 펜타닐 시료 193건 중 14%에서 카펜타닐이 검출됐다. 이는 2019년 검사 개시 이후 최고치로, 지난해 1~2% 수준에서 크게 뛰어오른 수치다. 카렌 맥도널드 TDCS 전무는 “올해 5월부터 카펜타닐 검출량이 다시 늘기 시작했다”며 우려를 표했다. 토론토 오버도즈 예방협회의 조이 도드는 “2019년 당시 약물 과다복용으로 인한 사망사건의 35%가 카펜타닐 때문이었다”며 “당시엔 약물을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용 공간이 많았지만 지금은 줄었다. 이번 확산으로 또 다른 사망 사례가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온타리오주는 올해부터 기존의 약물 의료 시설 9곳을 폐쇄하고, 노숙·중독자를 지원하는 HART 허브로 대체했다. 그러나 현장에서는 인력·예산 부족을 이유로 치료 질 저하를 호소하고 있다. 도드는 “이런 시설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며 “감시·예방 중심 대책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온타리오주 보건부 대변인은 “정신건강과 중독 치료에 사상 최대 투자를 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포포빅은 HART 허브가 이전 안전소비소 대비 4배의 자금을 지원받고 있으며, 포괄적인 서비스와 주거 지원까지 확대 중이라고 설명했다. 카펜타닐은 원래 코뿔소 같은 대형 포유류용 진정제로 개발됐으며, 다른 고위험 약물과 함께 검출되는 경우가 많다. TDCS 보고서에 따르면, 카펜타닐이 포함된 시료의 88%는 또 다른 강력한 오피오이드를, 68%는 벤조디아제핀 계열 약물이나 수의용 진정제를 동반했다. 맥도널드는 “이 조합은 호흡·혈류 장애를 악화시키고, 해독제인 날록손의 효과까지 떨어뜨릴 수 있다”고 경고했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 펜타닐 카펜타닐 토론토 HART 온타리오
2025.09.16. 6:49
온타리오 페리사운드 지역에서 신설 예정인 ‘슈퍼 스쿨’의 개교가 지연되면서 유치원부터 12학년까지 모든 학생이 당분간 온라인 수업만 선택할 수 있게 됐다. 슈퍼스쿨은 기존 초등학교 두 곳과 커뮤니티 센터, 고등학교를 단일 건물로 통합하는 대규모 학교로, 학생 수용과 교육 과정 운영 규모가 매우 크다. 기존 학교들은 부분적으로 철거가 진행되었지만, 새로 건립될 슈퍼스쿨은 9월 2일 예정되었던 개교가 지연됐다. 이에 따라 9~12학년 학생들은 온라인 수업으로 전환됐고, 초등학생들은 임시로 기존 학교들을 이용하고 있다. 학부모와 학생들은 개교 지연과 학교위원회의 소통 부족에 불만을 표출하고 있다. 페리사운드 지역에 거주하는 로브 해먼드는 “딸은 슈퍼스쿨의 등교를 원하지만, 개교 지연으로 인해 불안해하고 있다”고 밝혔다. 일부 학생은 농촌 지역에 거주하고 있어 인터넷 환경이 불안정하거나 원격 수업에 필요한 장비와 공간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지역 자치단체는 안정적인 학습권 보장을 위한 와이파이 전용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교육부는 이번 사태에 대해 학교위원회의 전면 감사를 실시하고 30일 내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요구했다. 폴 칼란드라 교육부 장관은 학부모들에게 보낸 서한에서 “이번 슈퍼스쿨 개교 지연은 용납될 수 없는 사안”이라며 “학교위원회의 구조적 문제를 드러낸다”고 강조했다. 학생과 학부모들은 온라인 수업으로 인한 학습 효율 저하와 심리적 부담을 호소하며, 두 차례 집회를 통해 투명한 상황 공개와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새 학교가 완공되더라도 모든 학년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 확보와 체육관•음악•외국어 전용 교실 부족 등 교육 환경에 대한 우려가 남아 있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슈퍼스쿨 교육부 학습권 온라인수업 개교지연 온타리오 페리사운드
2025.09.12. 6:40
온타리오주 교육부가 일부 학교위원회의 교육위원 지출 내역을 면밀히 검토하고 있다. 최근 논란이 된 지출 항목에는 $145 애플워치 밴드와 $15 밀크셰이크가 포함돼 있으며, 이는 학교위원회 운영 전반에 대한 정부의 감독 강화로 이어지고 있다. 토론토 가톨릭 교육청은 교육부 장관 폴 칼란드라가 지적한 ‘관리 부실’로 감독 대상에 포함된 다섯 개 교육청 중 하나다. 칼란드라는 교육위원의 역할과 책임을 전면 재검토하겠다고 밝혔으며, 감독 대상 교육청은 당분간 교육위원에게 다시 맡기지 않을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학교위원회를 완전히 폐지하려는 계획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문제가 된 마르쿠스 드 도메니코 토론토 가톨릭 교육청 위원장의 지출 내역에는 애플워치 밴드, 밀크셰이크, 새벽 3시 맥도날드 주문 등이 포함돼 있다. 드 도메니코 위원장은 “학부모와 만나기 위한 마땅한 사무실이 없어 커피나 밀크셰이크 비용을 청구한 것”이라며 지출은 정당하다고 해명했다. 애플워치 밴드도 기술 장치의 일부 교체 비용이라고 밝혔다. 칼란드라는 드 도메니코 위원장의 해명을 일축하며, “수년간의 재정 관리 부실과 7,520만 달러 누적 적자를 포함한 문제 때문에 교육청을 감독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온타리오 학부모는 교실을 개인 비용 계좌처럼 사용하는 교육위원보다 더 나은 대우를 받을 자격이 있다”고 강조했다. 반면 드 도메니코 위원장과 비판론자들은 교육청 재정 지원 부족이 근본 문제라고 주장한다. NDP 교육 비평가 찬드라 파스마는 교육위원 폐지가 부모의 의견 수렴 권한을 없애는 것이라며, “가정은 지역 사회를 잘 아는 책임 있는 대표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온타리오 자폐아동연합 조사에 따르면, 654명의 학부모 중 28% 이상이 지난해 교육위원에게 도움을 요청한 경험이 있으며, 교육위원 이탈 시 학생과 가족의 목소리를 들어줄 창구가 사라짐과 동시에 학교 부적응 문제가 악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온타리오 교육청 교육예산 예산지출 교육위원
2025.09.12. 6:29
10월부터 캐나다 일부 주에서 최저임금이 인상되면서, 저임금 근로자들의 월급이 오를 전망이다. 연방 최저임금은 지난 4월 1일 물가 상승률을 반영해 시간당 17.75달러로 45센트 인상됐다. 연방 규제 민간 부문 근로자와 인턴에게 적용되며, 은행, 통신사, 항공•해운•철도 및 도로 운송업체 등도 포함된다. 한편, 일부 주에서는 10월 1일부터 별도의 최저임금 인상이 예정돼 있다. 주 정부에 따라 연방보다 높은 최저임금이 책정된 경우, 연방 규제 기업은 높은 금액을 적용해야 한다. 주별 인상 폭은 다음과 같다. 1. 온타리오 온타리오주의 시간당 최저임금은 17.20달러에서 17.60달러로 2.4% 물가상승률을 반영해 오르게 된다. 노동•이민•훈련•기술개발부에 따르면, 주 40시간 근무하는 최저임금 근로자는 연간 최대 835달러의 급여 인상을 기대할 수 있다. 지난 10월에도 온타리오주는 저임금 근로자에게 65센트 인상해 16.55달러에서 17.20달러로 올린 바 있다. 팁을 받는 직종에서는 실제 소득이 더 높을 수 있다. 2. 매니토바 10월 1일부터 매니토바의 최저임금은 시간당 15.80달러에서 16달러로 20센트 인상된다. 주 정부는 이번 조정이 2024년 인플레이션율 1.1%를 반영한 것이며, 5센트 단위로 반올림했다고 설명했다. 3. 서스캐처원 서스캐처원은 최저임금을 15달러에서 15.35달러로 올릴 예정이다. 짐 라이터 부총리 겸 노동•산업안전부 장관은 “최저임금을 인상함으로써 근로자를 지원하고 생활비 부담을 완화하겠다는 약속을 이어가고 있다”고 밝혔다. 2022년부터 진행된 단계적 인상으로 2024년까지 시간당 11.81달러에서 15달러로 27% 인상됐다. 현재는 소비자물가지수(CPI)에 맞춰 추가 인상이 계산된다. 4. 노바스코샤 노바스코샤는 올해 최저임금이 두 차례 인상된다. 4월에는 15.20달러에서 15.70달러로 50센트 올랐고, 10월 1일에는 추가로 80센트 인상돼 16.50달러가 된다. 올해 총 인상 폭은 1.30달러다. 노란 영 노동•기술•이민부 장관은 “인플레이션이 가계에 압박을 주고 있어 국가가 지원을 해야 한다”며, “올해 주 역사상 가장 큰 폭의 최저임금 인상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5. 프린스 에드워드 아일랜드(P.E.I.) P.E.I.는 10월 1일부터 최저임금을 16달러에서 16.50달러로 올린다. 정부는 단계적 인상을 통해 2026년 4월 1일까지 최저임금을 17달러까지 올릴 계획이다. 이번 최저임금 인상은 저임금 근로자들의 생활비 부담 완화와 물가 상승 반영을 위한 조치로, 각 주별로 연간 정기적으로 조정된다. 임영택 기자 [email protected]온타리오 최저임금 물가상승률 캐나다
2025.09.11. 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