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가게 옆으로 조그마한 미국 교회가 있다. 여러 민족이 다양하게 모이는 곳이다. 그 교회에서는 매월 둘째 주 넷째 주에 교인들이 음식을 손수 만들어 지역 내에 어려운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면서 원하는 사람에게는 두 손 모아 기도를 해준다. 봉지에는 여러 가지 콩으로 만든 수프와 사과나 바나나·오렌지 하나, 초콜릿 바 하나 물병 냅킨에 스푼과 포크를 싸고 성경 말씀과 교회 안내서가 한장 들어있다. 교인들이 번갈아 봉사한다.
우리 가게 앞 사거리에서 음식을 나누어 주기도 하고 길거리를 다니면서 나누어 주기도 한다. 음식을 받은 사람들의 표정을 보면 웃으면서 고맙다고 인사를 한다. 교인들이 아침 일찍 모여 음식을 만들고 포장해서 나누기까지 정성을 들인 모양새가 저절로 배어난다. 어느 날 손님이 그 배송 음식을 나에게 준다. 받아서 먹어보니 여러 가지 콩 종류에 특별한 양념을 다 집어넣었는지 맛있었다. 미안하고 고마워 그 손님을 통해 정기적으로 후원하게 되었다. 가게 옆이고 손님들이고 동네 사람들이다 보니 교인은 아니지만 지원하고 싶은 마음이 들었다.
나는 내 삶이 훌륭하다고 생각지도 않고 그렇다고 걱정할 만큼 내 삶의 질이 떨어져 있지도 않다. 물론 나는 나만을 위한 욕망은 많이 내려놨지만 오히려 그러고 나자 더 충만한 행복과 평안이 찾아왔다. 사람들은 자신에게 소중한 존재를 위해 기꺼이 희생하는 삶을 산다. 대부분의 부모는 자신의 아이를 위해 어떤 희생도 마다치 않는다. 나도 이와 비슷하다. 내 삶이 다른 사람들이 이해할 수 없는 그런 종류의 큰 사랑이 있는 것은 아니다. 무엇이 너희 영혼을 높이 끌어 올렸는가? 무엇이 그대의 영혼을 가득 채우고 기쁨을 주는가? 프리드리히 니체의 질문에 가만히 답을 하다 보면 내 삶의 방향을 정할 수 있다.
사람들이 살면서 허무하다고 느끼는 때를 보면 자신의 삶이 또는 자신이 이루어 나간 것이 아무런 의미도 갖지 않는다고 생각될 때이다. 타인을 돕거나 누군가의 힘이 되어줄 때 우리는 우리 존재의 의미를 실감하고 순수한 기쁨을 맛보게 된다. 즉 봉사라는 삶은 우리에게 또 다른 삶의 활력이 되어줄 수 있다.
가게 손님 루시는 항공사에서 25년 일하고 정년퇴직했다. 오랫동안 어린이 암 치료 병원에 매달 20달러를 보낸다. 아이도 없고 결혼도 하지 않았다. 생활이 넉넉하지도 어렵지도 않지만 꼬박꼬박 우체국에 가서 돈을 부친다. 나는 삶 속에서 행하는 작은 선의의 봉사와 기부는 균형 있는 삶을 위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요즈음 나 자신만을 위한 욕망과 돈을 밤낮으로 쫓는 사람들로 북적인다. 세계의 부자라는 사람은 결혼식에 사람들이 놀랄 만큼 돈을 뿌려댄다. 결혼식 비용의 1만분의 1이라도 가자지구에 먹을 것이 없어 배급을 줄 서서 기다리는 사람들에게 식량이라도 나누어 주었으면 하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이상하게도 그런 욕망은 채우면 채울수록 마음은 더욱 공허해진다. 현대인이 갖는 불안과 공허를 잘못된 방법으로 극복하려 하기 때문이다.
나 자신만이 아닌 타인이나 다른 생명체를 위해 작은 일을 하다 보면 생각보다 내가 얻는 것이 많다. 나를 희생하는 이타심이라기보다는 나에게 있는 것을 조금 나눈다는 생각의 봉사는 장담컨대 그토록 갖고 싶었던 충만함을 선사할 것이다. 조금씩 모두가 힘을 합친다면 아직 오지 않은 날들은 어쩌면 더 희망차게 바꿀 수 있을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