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관세 영향에 뉴욕 기업·소비자 330억불 더 부담”

New York

2025.08.10 18:29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트럼프 무역전쟁, 뉴요커도 타격 불가피
“소비자들, 생활 유지 위해 빚에 의존할 듯”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전세계 무역 파트너에 부과하는 상호관세가 지난 7일부터 공식 발효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수십억 달러 규모의 관세가 미국으로 유입될 것이라며 기대감을 나타냈지만, 정작 소비자들이 짊어질 부담은 당분간 클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수입산 재료와 제품에 관세가 붙으면서 단기적으로 물가가 크게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는 이날 ‘숫자로 보는 뉴욕 시민들의 지갑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보도자료를 내고 “소비자들은 무모하고 값비싼 무역 전쟁의 직격탄을 맞고 있으며, 농산물부터 신학기 용품까지 시민들의 지갑을 쥐어짜고 있다”고 강조했다.  
 
자료에 따르면 뉴욕주는 2024년에 1600억 달러 규모의 상품을 수입했다. 소비자들은 이러한 수입 상품 대부분에 대해 약 21%의 새로운 실효 관세율에 직면해 있는 상황이다. 이 관세율을 적용하면 뉴욕주의 소비자와 기업은 작년과 같은 양의 외국산 상품을 계속 구매하려면 추가로 약 330억 달러의 수입세를 내야 한다. 호컬 주지사는 “이는 뉴욕주 가구당 약 4200달러의 연방세가 추가되는 것과 같다”고 비판했다.  
 
또 뉴욕주에서 지난해 수입된 컴퓨터 및 전자제품은 약 125억 달러 규모로, 예일대 연구팀은 이들 제품 가격이 18% 이상 오를 것으로 추정했다.  
 
또한 뉴욕에서 지난해 108억 달러 규모 수입한 의류와 신발 등 일상용품 가격은 37% 이상 오를 것으로 전망됐다.  
 
컨설팅 회사 사이먼-쿠허는 “북미지역 소비자들은 기존 생활 방식을 유지하기 위해 점점 더 빚에 의존하게 될 것”이라며 “이러한 인플레이션은 악순환을 만들어낼 수 있다”고 지적했다.  
 
기업들 역시 이제는 관세 비용을 고객들에게 전가하기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월마트와 장난감 제조업체인 마텔, 하스브로는 관세로 인해 소비자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인 기업들 역시 기존에는 관세를 부과하지 않는 보세창고에 수수료를 내면서 제품을 보관해왔는데, 이제는 더 버티기 어려워 물건 값을 올릴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다만 중국보다는 한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가 낮은 덕에, 한인 업체들이 이익을 볼 수 있다는 희망섞인 기대도 있다. 한국 화장품을 주로 수입하는 뉴저지의 한 한인업체 관계자는 “그나마 다행인 점은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가 한국산보다 훨씬 높다는 점”이라며 “이전엔 가격에서 중국산이 압도적이라 경쟁이 안 됐다면, 이제는 비슷한 가격 수준으로는 맞출 수 있어 품질로 승부하면 오히려 이득이 될 수 있다는 기대가 업계에 있다”고 전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