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관세 직격탄 맞은 성탄 장식업계 ‘위기’

Los Angeles

2025.09.03 18:57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전년대비 수백만불 비용 추가
업체, 물량 감축·인력 축소 나서
소비자 구매비 최대 20% 뛸듯
쇼핑객이 델라웨어주 윌밍턴의 홈디포 매장에서 판매 중인 인조 크리스마스트리 옆을 지나가고 있다. [로이터]

쇼핑객이 델라웨어주 윌밍턴의 홈디포 매장에서 판매 중인 인조 크리스마스트리 옆을 지나가고 있다. [로이터]

국내 크리스마스 장식 업계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대중국 관세 정책으로 최대 위기를 맞고 있다.  
 
인공 크리스마스트리와 전구, 장식품 대부분을 중국에서 들여오는 상황에서 관세율이 급등하자 업계가 지난해보다 수백만 달러의 추가 비용을 떠안게 됐다. 이에 일부 업체들은 수입 물량을 줄이거나 인력 감축에 나서는 등 고육지책을 내놓고 있다.
 
최근 LA타임스가 전미크리스마스트리협회(ACTA) 보고서를 인용해 보도한 바에 따르면, 올해 소비자들은 매장에서 지난해보다 10~20% 비싼 가격을 지불해야 할 것으로 전망된다. 299달러였던 인공트리가 359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는 것이다. ACTA는 “관세로 인한 공급 차질로 선택지가 줄면서 경쟁으로 인한 가격 상승은 불가피하다”고 분석했다.  
 
예년에 비해 판매량이 감소하고 매출 하락도 예상되자 업계 전반에 비상등이 켜졌다. 유타주 웨스트밸리에 위치한 빌리지 라이팅의 재러드 헨드릭스 대표는 “관세로만 150만 달러의 추가 비용이 발생해 집과 사무실을 담보로 대출을 받아야 했다”며 “회사를 지켜야 하지만 이 비즈니스를 계속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토로했다.  
 
캘리포니아 장식 전문업체 발삼힐은 올해만 관세 부담이 15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인력의 10%를 감축하고 임금 동결에 나섰다.  
 
업계는 특히 관세율이 수시로 변동하면서 내년도 사업 계획조차 세우기 어려운 현실이라고 호소한다.
 
뉴욕에 본사를 둔 아메리칸 크리스마스의 댄 카스테렐라 대표는 “주문을 10% 취소할 수밖에 없었다”며 “내년 관세 수준이 확정되지 않는 한 계획을 세우기 어렵다”고 말했다.  
 
미국은 지난해 34억 달러 규모의 인공 트리와 장식품을 수입했으며 이 가운데 87%가 중국산이었다.  
 
전문가들은 “국내 생산은 사실상 불가능해 업계가 존립 위기에 처했다”며 “결국 소비자와 기업 모두가 피해자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뉴저지의 내셔널트리 크리스 버틀러 대표는 “우리는 연말연시 기쁨과 추억을 파는 산업”이라며 “만약 어떤 업계에 예외가 필요하다면 크리스마스 장식 업계가 그 대상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인성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