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롱 워크] 스티븐 킹 소설 원작 디스토피아 스릴러 16~18세 소년 100명, 목숨 건 생존 게임 ‘헝거 게임’ 넘어선 성인용 서바이벌 걸작 결말 없는 반 카타르시스적 강렬한 엔딩
‘헝거 게임’을 넘어서는 성인용 서바이벌 걸작이 될 것이란 기대를 안고 지난 12일 선보인 ‘롱 워크’는 ‘헝거 게임’, ‘아이 엠 레전드’ 등을 연출한 프랜시스 로렌스 감독의 작품이다. [Lionsgate]
걷는다, 저항한다. 생존을 위해. 그러나 본질에서 죽음을 향한 행보다. 진정한 승리란 무엇인가.
권력 아래에서 인간의 존엄성이 어떻게 파괴되는지를 보여주는 영화. 고독하고 끝없는 길을 걷다 지쳐 쓰러진 불쌍한 영혼들과 함께 경험하는 고통의 롤러코스터!
'롱 워크(The Long Walk)'는 사소한 것조차 공포스럽게 만드는 풍부한 상상력의 작가 스티븐 킹이 '리처드 바흐만'이라는 필명으로 대학교 1학년때인 1967년 집필, 1979년에 출간한 킹의 사실상 첫 장편 소설이다.
극한 상황 속 인간성 해부라는 문단의 평가를 받았다. 서바이벌 장르의 원조 격으로 자주 언급된다.
개봉 전부터 '헝거 게임'을 넘어서는 성인용 서바이벌 걸작이 될 것이란 기대를 안고 지난 12일 선보인 '롱 워크'는 '헝거 게임', '아이 엠 레전드' 등을 연출한 프랜시스 로렌스 감독의 작품이다. 원작의 미니멀리즘과 음울한 분위기, 모호한 결말을 그대로 살렸고 킹 특유의 잔혹함, 심리적 긴장감을 살리기 위해 처음부터 R등급으로 제작됐다.
가까운 미래, 전체주의 독재 정권이 지배하는 미국. 매년 5월 1일이 되면 '롱 워크'라는 국가 행사가 개최된다. 100명의 '불쌍한 영혼들'이 선택되어 동시에 걷기 시작한다. 그들은 모두 16세에서 18세 나이의 소년들, 그들 나름의 이유를 안고 걸어간다.
규칙은 간단하다. 시속 4마일 이하로 걷되 30초를 넘기면 경고를 받는다. 3회 경고 시는 즉시 총살! 멈추거나 도망가려 해도 바로 사살된다. 포기조차 할 수 없다. 목적지를 알지 못한 채, 걷는 것 외에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 끝까지 걷다 죽거나 1등으로 살아남는 것뿐. 마지막까지 살아남은 단 한 명의 승자는 원하는 어떤 소원이라도 들어준다. 걷기 시작한 지 몇 시간 만에 첫 탈락자들이 나오고 즉시 사살된다.
16세의 레이몬드 개러티(쿠퍼 호프만), 100명 참가자 중 한명이다. 그는 다른 참가자들과 동행하면서 우정, 경쟁, 죽음의 공포를 경험하고, 인간성의 극한을 목격한다. 처음에는 참가자들과 농담을 주고받으며 여유를 부리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몸은 지치고 마음에는 두려움이 쌓인다.
생존자들은 걸으며 환각을 보거나 극도의 탈수와 배고픔, 심리적 붕괴를 겪게 된다. 레이몬드의 가장 가까웠던 친구 피터 맥브라이스(데이비드 존슨)는 마지막 순간까지 함께 걸어가지만 결국 탈진으로 쓰러져 사살된다.
레이몬드는 치명적 승자독식의 게임에서 마지막까지 살아남는다. 군중의 환호가 들린다. 그러나 이미 인간으로서의 정체성을 잃은 상태다. 생존 후 소원을 이룰 수 있다는 약속은 그에게 어떤 의미도 없다. 무엇인지 알 수 없는 어떤 형체, 어쩌면 죽음일 수도 있는 환영을 보며 그는 걸음을 멈추지 않는다. 고독과 공포는 여전히 그의 마음속에 남아 있다. 영화는 그가 계속 걸어가는 모호한 장면으로 끝이 난다.
불확실한 목적지를 향해 걷는 것 외에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 사람들의 영화 '롱 워크'는 지루할 수 있다. 그런데도 '걷기'라는 단순 행위에만 집중된 소설의 미니멀리즘은 작품이 지닌 특이성이다. 스릴러의 반전조차 기대할 수 없는 설정에서 영화는 2시간 남짓 지속적인 긴장감을 유지한다. '헝거 게임' 시리즈를 연출한 감독답게 잔혹성을 회피하지 않고 오히려 사실적이며 충격적으로 관객에게 큰 트라우마적 경험을 안겨준다. 걷기라는 행위의 단순함을 끊임없는 움직임으로 표현하고 그 안에서 킹 특유의 공포를 연출해 낸다.
참가자 100명은 다양한 인간 군상의 축소판이다. 소년들은 서로를 좋아하고 배려하고 격려한다. 영화는 그 과정에서 일어나는 소년들의 심리적 변화와 인간 본성에 대한 깊은 탐구를 이어간다. 그들의 우정·자존심·연민은 끝내 무너지고 그들은 결국 체제에 의하여 몰락당한다.
'롱 워크'의 참가자들은 젊은 세대이며 그들이 목숨을 걸고 희생함으로써 사회는 안정을 유지한다. 16~18세 소년들만을 등장시킨 설정은 젊음이 체제에 의해 어떻게 소모되는가를 보여주기 위함이다. 권력은 젊음을 소비재로 전락시키고 그 희생을 당연시한다. 이는 현실에서 전쟁터로 내몰린 청년, 경쟁 사회에서 소모되는 젊은 세대의 은유적 형상화라고 할 수 있다. 베트남 전쟁 세대였던 킹이 집필 당시 경험한 시대 상황을 은유적으로 묘사했다는 평가다.
‘롱 워크’는 원작 소설 자체가 이미 철학적 걸작으로 평가받았다. 영화는 그 잔혹성과 심리적 무게감을 잘 살려냈다는 평가이지만 관객의 시각에 따라 호불호가 갈릴 전망이다. [Lionsgate]
'롱 워크'는 단순한 생존 게임이 아니라 권력과 복종, 청춘의 허무함, 죽음과 인간 존엄성이라는 철학적 주제를 탐구한다. 권력이 설계한 통제 장치 아래 대중이 어떻게 폭력에 익숙해지고, 오락으로 소비되는지를 보여준다. 젊은이들이 목숨을 걸고 걷는 동안 국가 권력은 그 과정을 제도화된 규칙 속에서 관리한다. 사회 전체를 장악하고 유지하기 위한 일종의 정치적 장치로 기능한다.
군중 역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참가자의 고통과 죽음은 비극적 사건으로 받아들여지지 않고, 오히려 구경거리와 오락으로 소비된다. 대중은 점차 폭력에 익숙해지고 그 과정에서 권력이 원하는 방식대로 길들여진다.
권력은 규칙을 만들고 젊은 세대는 희생양이 되며 대중은 방관자이자 소비자가 된다. 이 삼각 구조 속에서 인간성은 점점 지워지고 폭력은 통치의 일상적 도구가 된다.
레이몬드가 탈진 직전의 상태에서 가파른 언덕을 오르며 살아남기 위한 투쟁을 벌이는 장면은 영화의 하이라이트다. 로렌스 감독은 이 장면에서 다양한 촬영 기법을 활용해 긴장감을 극대화했다.
'배우들의 배우'로 불리던 필립 세이무어 호프만(1967~2014)의 아들 쿠퍼 호프만의 섬세한 연기가 인상적이다. 실제로 그의 연기의 많은 부분이 아버지를 잃은 슬픔과 맞닿아 있다. 극한의 환경에 내몰리는 주인공 역할 레이몬드 역을 맡아 그 심리적 혼란과 진정성을 담아낸 연기를 펼친다. 그와 그의 상대역 피터 맥브리스 역의 데이비드 존슨과의 케미 연기는 아마 올해 최고의 앙상블 연기로 평가받을 만하다.
영화는 결론부에 이르러서도 답을 주지 않고 관객의 상상력에 맡기는 마무리로 강한 여운을 남긴다. 스티븐 킹 특유의 '반 카타르시스적' 결말이다. 굴복하는 소년들, 희생된 젊음에 마음이 아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