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운영 주류 판매점 전면 폐쇄… 재고 확보 ‘사투’ 요식업계 "영업 단축 불가피… 직원 감축으로 이어질 것"
밴쿠버 중앙일보
BC 공공 노조(BCGEU)의 파업이 6주째에 접어들면서 BC주의 식당과 주점들이 주류 공급 중단으로 당장 영업 중단을 걱정해야 할 처지에 놓였다. 업계는 주정부에 신속한 파업 해결이나 긴급 조치를 강력히 촉구하고 나섰다.
현재 BC주 식당가의 주류 재고는 위험 수위를 넘어섰다. 캐나다 레스토랑 협회에 따르면, 업주들은 최소한의 재고라도 확보하기 위해 직원들을 로워메인랜드 전역으로 보내는 ‘원정 구매’까지 벌이고 있지만, 이마저도 한계에 부딪혔다. 노조가 8일을 기해 정부 운영 주류 판매점의 남은 인력까지 모두 철수시키는 등 파업 수위를 최고조로 끌어올리면서, 대부분의 주류 판매점이 문을 닫았기 때문이다. 과거 관세 문제에 대비해 비축해 둔 미국산 주류 재고마저 동난 상태라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이번 파업은 팬데믹의 충격에서 채 벗어나지 못한 요식업계를 벼랑 끝으로 내몰고 있다. 협회에 따르면 현재 BC주 식당의 41%가 적자를 감수하며 운영하거나 겨우 손익분기점을 맞추고 있는 실정이다. 낮은 마진과 팬데믹 기간에 쌓인 부채로 체력이 고갈된 상태에서 주류 공급 중단이라는 결정타를 맞은 셈이다. 이로 인해 영업시간을 단축하거나 최악의 경우 폐업을 고민해야 하는 업체가 속출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온다.
상황이 악화일로로 치닫자, 업계는 주정부의 즉각적인 개입을 요구하고 있다. 캐나다 레스토랑 협회는 성명을 통해 "주정부가 파업을 신속하게 해결하거나, 한시적으로라도 사설 주류 판매점을 통해 주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허용하는 등 비상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했다.
협회는 만약 노사 합의가 계속 지연될 경우, 주정부가 경제에 미치는 막대한 피해를 막기 위해 업무 복귀 명령과 같은 극단적인 입법 조치까지도 고려해야 한다고 압박했다. 현재 약 2만 5,000명의 공공 부문 근로자가 참여하고 있는 이번 파업이 더 이상 노사 간의 갈등을 넘어 BC주 경제 전체를 마비시키는 사태로 번지는 것을 막아야 한다는 절박함이 담겨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