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S를 통해 미국으로 배송된 국제 소포 수천 개가 관세 문제로 전국 물류센터에 묶여 있다. 일부는 관세 미납 등으로 폐기 처분 통보되면서 고객 불만이 커지고 있다.
UPS는 “관세제도 변경으로 통관에 필요한 정보가 누락된 소포가 크게 늘었다”며 “세 차례에 걸쳐 발송자에게 정보 보완을 요청하지만, 회신이 없을 경우 규정에 따라 반송 또는 폐기하고 있다”고 밝혔다. 업체는 현재 보류 중인 소포의 수를 공개하지 않았지만, 하루 평균 320만 건의 국제 배송을 처리하는 점을 고려하면 수천 건이 통관 대기 중인 것으로 추정된다.
뉴욕의 통관 중개업체 익스프레스 커스텀스의 매튜 바서바흐 대표는 “이 같은 대규모 통관 지연 사태는 전례가 없다”며 “UPS 이용 고객의 문의가 폭주하고 있다”고 말했다.
고객 피해 사례도 잇따르고 있다. 오리건주 포틀랜드의 차 수입업자 로렌 퍼비스는 일본에서 보낸 12만7000달러 상당의 녹차 제품이 “세관을 통과하지 못해 폐기됐다”는 통보를 받았다가 다시 “배송 중”으로 상태가 변경되는 등 상반된 정보를 받아 UPS 시스템이 엉망이라고 지적했다. 영국에서 일기장과 책 등 개인 소지품을 보낸 애슐리 프레버그도 발송 2주 만에 폐기 처분 통보가 왔지만 이후 다시 배송 진행 알림을 받았다며 “정말로 내 물건이 파기된 건지 아무도 알려주지 않는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스웨덴 유리제품 업체 대표 안니 세르네아는 “미국으로 보낸 소포 두 개의 폐기 통지를 받았다”며 “발송인이나 수취인의 동의 없이 소포를 폐기한다는 것은 납득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이번 배송 대란은 지난 8월 29일 ‘최소 관세 면제(De Minimis)’ 제도 폐지에서 비롯됐다.
그동안 800달러 이하의 국제 소포에는 관세가 면제됐지만, 제도 폐지 이후 품목별로 다양한 관세와 수수료가 부과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가 시행한 ‘상호관세(Reciprocal Tariffs)’ 정책으로 국가별 차등 관세가 적용되면서 최근에는 가구와 목재 제품에까지 고율의 관세가 매겨지고 있다.
이 같은 배송 대란은 앞으로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연말을 앞두고 해외에서 미국 내 가족과 지인에게 크리스마스 선물을 보내는 성수기가 다가오고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