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특집] Montclair University fellowship/NJ Spotlight(2) 세탁협회·정치인·정부, 고령 사업자 돕기 위한 실질적 조치 필요 일부 사업자들 온라인 주문 배달 사업과 세탁 체인 등 활로 모색
뉴저지세탁협회가 회원들을 위해 개최하는 환경 세미나. [사진 뉴저지세탁협회]
이 기사는 NJ 2025 리포팅 펠로십에 의해 제공됩니다. 펠로십은 몽클레어 주립대학교 협력미디어센터와 NJ 스포트라이트 뉴스가 15개 지역 및 커뮤니티 뉴스 기관과 협력하여 진행합니다. 이 기사는 뉴저지의 다양한 공동체 관점에서 이민, 교육, 의료, 경제, 환경 주제를 다루는 기사들을 제공하게 됩니다. [편집자 주]
This story is part of the NJ 2025 Reporting Fellowship, in collaboration with 15 local and community news organizations, the Center for Cooperative Media at Montclair State University, and NJ Spotlight News. The stories in this collaboration focus on immigration, education, healthcare, the economy, and the environment from the perspectives of diverse communities in New Jersey.
뉴저지세탁협회는 1994년 설립 이후 한인 세탁인들의 단합을 바탕으로 다양한 권익활동을 벌이는 모범 단체로 알려져 있다. 사진은 2025년 5월 열린 15대 이용호 회장(왼쪽)과 16대 김상규 회장의 이취임식 모습. 오른쪽은 뉴저지주 북부 타운들이 지역구인 엘렌 박 뉴저지주하원의원(민주·37선거구)은 한인 세탁업자 등 소기업인들을 위한 적극적인 의정활동을 펴고 있다. [사진 뉴저지세탁협회·엘렌 박 의원실]
세탁업의 위축과 한인 사업자 고령화
미국의 세탁업은 2000년을 전후로 개성과 자율을 추구하는 밀레니어 세대의 등장, 정장 착용을 요구하지 않는 직장의 복장문화(dress code) 변화, 엄격한 환경 규제 등 다양한 원인으로 영향을 받았다. 여기에 팬데믹 사태로 인한 재택근무 확산과 한인 1세 세탁 사업자들의 고령화까지 겹치면서 큰 변화를 맞았다.
미국 세탁업의 발전이 다소 위축된 원인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의견이 있으나 가장 대표적인 것은 역시 직장의 복장문화가 정장 착용에서 캐주얼 의상을 허용하는 쪽으로 변화된 것이다.
또 여기에 2020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독감(COVID-19) 이후 재택근무가 확산되면서 정장, 블라우스, 셔츠, 코트 등 드라이클리닝이 필요한 옷을 입는 일이 감소했다.
이 때문에 드라이클리닝 수요가 많았던 1990~2000년대 많이 생겼던 소규모 세탁업소들은 이러한 시장과 소비자의 수요 변화를 극복하지 못하고 폐업을 하는 사례가 많아졌다.
뉴저지세탁협회 김상규 회장은 “아직까지 한인들이 세탁소를 운영하는 비율이 높기는 하지만, 업소 수만으로 보면 팬데믹 이후 한인 세탁소의 절반 정도가 사라졌다”고 진단했다.
그러나 1세에서 2세 자녀에게 세대 승계가 원활하게 이뤄지는 경우도 적지 않다.
세탁업 유지 발전을 위한 노력
미국의 세탁업이 시대적 변화와 환경규제, 한인 1세 사업자의 고령화 등으로 발전이 정체되면서 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도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세탁업을 하는 한인 사업자 중에 여러 개의 세탁소를 운영하는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자와 미 전역과 각 주 단위의 한인 세탁인 단체(세탁협회), 또는 2세 사업자들은 ▶온 디맨드 세탁 서비스: 앱으로 예약하고 배달하는 형태, 특히 대도시 밀레니얼·Z세대 중심 확산 ▶프랜차이즈 대형 세탁 체인(예: Tide Cleaners, Martinizing Dry Cleaning) ▶고급화: 맞춤형 세탁, 수선 서비스, 프리미엄 런드리 스파(Laundry Spa) 사업화 등으로 다양한 활로를 찾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세탁소를 운영하는 한인 사업자들과 단체들의 노력이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아직까지넘어야 할 장애들이 적지 않다는 지적도 있다.
고령화 극복 실제 지원책 모색
미국 세탁업의 변화와 한인 사업자들의 고령화가 가져오는 정체성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은 사업자 개인과 세탁협회와 유관 단체(지역 경제인협회 또는 상공회의소 등), 그리고 지역 정치인들의 행정적·법적 지원 등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한인 사업자와 세탁협회 등은 고령화 문제 극복을 위한 사업으로 ▶사업 승계 워크숍과 교육 프로그램: 자녀나 직원이 사업을 이어받기 위한 경영 교육, 재무 관리, 마케팅, 노무 관리 등 실용 기술 위주 워크숍이나 교육 ▶정책 로비: 시·주 정부에 사업 승계 및 중소업체 혜택 확대를 요청하는 정책 제안, 공청회 개최, 사업 현장 어려움 홍보 ▶고령 사업자 지원 전문가 네트워크 구축: 사업체 운영·재정·세무·승계 등에 도움을 주는 변호사, 회계사, 은퇴 전문 컨설턴트 등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구성과 상담 프로그램 등이 거론되고 있다.
그러나 세탁업자와 세탁협회 등의 노력만으로는 고령화의 어려움을 타개하기 어렵고, 실제적으로는 행정적인 지원책이 뒤따라야만 한다는 지적이 많다.
정치인들의 법적 지원
또 지역 정치인들의 고령 사업자 지원을 위한 법적인 지원책도 필요한데, 여기에는 ▶고령 사업자 보호 및 규제 완화 법안 ▶사업체 매매 및 승계 관련 법안 보완 ▶이민법 및 비자 문제 지원: 일부 한인 사업자는 영주권 혹은 시민권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특히 일부 한인 1세 사업자는 사업체를 승계하는 데 있어 법적 지위(status)가 걸림돌이 될 수 있는데, 관련 법안을 보완해 비자 또는 체류 자격 변경을 지원할 수 있다.
그러나 지역 정치인들은 현실적으로 세탁소를 경영하는 고령의 한인 사업자를 특정해서 행정적으로 또는 법적으로 지원하는 것은 어렵다는 입장이다.
한인들이 많이 사는 뉴저지주 북부의 버켄카운티 주요 타운들을 지역구로 하고 있는 엘렌 박 뉴저지주하원의원(민주·37선거구)은 “죄송하지만 한인 세탁소나 또는 세탁소를 운영하는 한인 이민 1세 고령자만을 특정해서 지원할 수 없고, 주 전체의 모든 소기업(스몰 비즈니스) 사업자를 더 폭넓게 지원할 수밖에 없다”며 “의정활동을 통해 모든 소기업 사업자들을 위한 다양한 법안과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실제 시행되면 곧바로 즉시 한국어로 번역해서 SNS(카카오톡) 등을 통해 적극 홍보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상규 회장은 “나이가 많은 한인 사업자들이 세탁소 임대계약이 끝나면 은퇴하고 있지만, 뉴저지주의 경우 사업을 승계하려면 합법적인 신분, 또는 영주권자나 시민권자여야 하고, 보일러 라이선스가 있어야 하고, 세심한 고객관리가 필요해 히스패닉 등 타인종 사업자로 쉽게 바뀌지 않고 있다”며 “고령화 문제가 있기는 하지만 팬데믹 이후 맨해튼 등 대도시에서 외곽으로 이주한 주민들이 많기에, 한인 2세 젊은이들이 들어오고, 변화된 환경규제 등을 따르면서 가장 중요한 고객관리만 잘한다면 세탁업은 앞으로 계속 매상이 늘고 발전할 것으로 확신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