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선거구, 찬성 36%에 불과 20·23선거구는 50% 넘어 공급 적은 지역 반대 비율 높아
뉴욕시에서 어포더블하우징 공급 확대를 가속화할 수 있는 주민투표안 3건이 이번 본선거에서 통과됐으나, 지역별로 투표 성향은 극명하게 엇갈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본선거에서 투표에 부쳐진 어포더블하우징 공급 관련 안건은 2~4번으로, ▶어포더블하우징 검토 절차 간소화를 위한 패스트트랙 신설 ▶소규모 주택 및 인프라 프로젝트 심사 간소화 ▶어포더블하우징 재검토위원회 설립 등 내용을 담고 있다.
이 3가지 안건 중 2·4번은 약 58%, 3번은 약 57% 찬성 비율을 기록하며 가까스로 통과됐다.
투표 성향은 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 뉴욕시 선거관리위원회(BOE) 데이터에 따르면, 최근 5년 동안 많은 어포더블하우징이 건설된 시의회 선거구에서는 3분의 2가 넘는 유권자들이 찬성표를 던졌다. 반면 최근 어포더블하우징 공급이 거의 없었던 선거구에서는 찬성 비율이 약 53%로 낮은 편이었다.
한인밀집지역인 퀸즈 19·20·23선거구의 표심도 갈렸다. 퀸즈 칼리지포인트·베이사이드·어번데일·더글라스턴·베이사이드 등 지역을 포함한 19선거구(비키 팔라디노 시의원·공화)의 경우 3가지 주민투표안에 찬성표를 던진 비율이 36%에 불과했다. 그런가 하면 플러싱과 머레이힐·프레시메도 등을 포함하는 20선거구(샌드라 황·민주)의 찬성 비율은 57%로 절반을 넘어섰고, 퀸즈 오클랜드가든과 베이사이드힐스 등을 포함하는 23선거구(린다 이·민주)의 찬성 비율은 53%였다.
이는 이번 개정안들이 '어포더블하우징이 적은 지역에 더 많은 개발 기회를 부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그동안 저렴한 주택 공급이 거의 없었던 지역 주민들은, ▶단독주택 부동산 가치 하락 ▶건물 밀도 증가로 인한 교통·주차 문제 심화 ▶지역 커뮤니티 특성 변화 등을 우려하며 반대표를 던진 것으로 분석된다.
어포더블하우징이 거의 없는 지역은 단독주택 비중이 높고 고소득·저밀도 지역이 많으며, 해당 구역 시의원이 공화당 소속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번 개정안은 대부분 어포더블하우징 개발 절차 간소화를 위해 시의회 권한을 축소하고, 시장 권한을 강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어, 일부 주민들은 향후 시의회를 통해 동네 개발을 막기 어려워질 것이라는 판단 아래 반대표를 행사한 것으로 보인다.
알렌 쉬런벡 시 헌장개정위원회(CRC) 사무총장은 "이번 개정안은 조란 맘다니 차기 뉴욕시장이 어포더블하우징 확대 목표를 실현할 수 있는 탄탄한 기반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