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부 최대 한인은행인 메트로시티은행이 제일IC은행 인수합병(M&A)을 다음달 1일자로 마무리한다. 지난 3월 메트로시티은행이 2억600만달러에 제일IC은행을 인수한다고 발표한 뒤 9개월만이다.
LA·뉴욕 기반 한인은행의 ‘조지아 러시’가 활발해지자 시장 방어를 위한 선제 대응에 나선 것이다. 메트로시티은행은 중복 사업부와 지점을 통폐합한다면서도 고객 서비스 만족도 유지를 위해 인력을 모두 유지한다고 밝혔다.
김화생 행장은 26일 “내년 2월 6일 통합 전산시스템 구축이 마무리되면 대출 뿐만 아니라 예금 서비스도 두 은행을 자유롭게 오가며 이용 가능하다”며 “그 이후 도라빌 본점을 제외한 제일IC은행 중복 지점 정리에 착수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제일IC은행 지점 13곳 중 11곳이 중복 지점이다. 한용승 노스조지아대 교수(경제학)는 “두 은행의 지리적 위치가 상당히 겹친다. 둘루스·스와니 등 한인 밀집지역의 경우 한 도시 내에서도 각 2곳씩 점포를 냈다”며 “합병 후 구태여 이들 지점을 유지할 필요성이 없다”고 진단했다. 메트로시티은행은 또 내달 8일 오렌지 카운티 풀러튼 지점을 새로 여는데, 이는 2020년 문을 연 제일IC은행 LA지점과 가깝다.
다만 김 행장은 “제일IC은행 직원은 모두 우수한 인재들”이라며 감원대상이 아님을 분명히 했다. 메트로시티은행은 합병 후 비용 절감을 통해 주당순이익(EPS)을 26% 증가시킬 것이라고 발표했는데, 이는 총자산 증가에 따른 것이지 인력감축을 고려한 수치는 아니라는 설명이다. 2023년 제일IC은행이 신고한 지출액은 2658만달러인데, 인건비 1445만달러, 임대 유지관리 354만달러, 보안경비 102만달러 순으로 높다.
두 은행의 인수합병은 불가피한 선택이었다는 것이 중론이다. 최근 조지아에 진출한 LA 기반 한인은행은 뱅크오브호프, 한미은행, PCB뱅크 등 3곳이다. 뱅크오브호프는 전국 첫 한국 기업 금융지원센터를 이곳에 열기도 했다.
금융 규제를 주로 연구해온 김세화 콜럼비아 경영대학원 교수는 “제조·건설업 중심인 동남부 한인 기업 생태계를 고려했을 때 스몰 비즈니스 수준을 넘어서는 업체가 많기 때문에 은행 규모를 키우는 게 유리하다”며 “대금 수급에 어려움을 겪거나 물류난으로 자재 공급이 지연되는 경우 규모가 큰 은행이 리볼빙을 적극 활용해 융통성 있게 대출을 가용하면 상호 이익을 볼 수 있다”고 전했다. 제일IC은행의 작년 기준 총자산 대비 대출은 82% 수준으로 메트로시티은행(86%)에 비해 낮다. 이는 메트로시티은행이 인수 후 대출을 늘릴 수 있는 여지가 된다.
한 교수는 “타주 대형 은행들이 먼저 제일IC은행을 인수했으면 메트로시티은행 입장이 난처해졌을 것”이라며 “1.4배 가격에 주식을 매수한 것은 향후 시장 지배를 위한 선제적 대응이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