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한국서 은퇴] 시니어 노동비율 OECD 평균 두배

Los Angeles

2017.09.24 11:14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기사 공유
20~30대 청년층은 하위권
한국의 65세 이상 고령층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최상위권으로 나타났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조사해 지난 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30대의 참가율이 최하위권인 반면 은퇴 후 쉬어야 하는 고령의 시니어들이 오히려 비율상 더 많이 일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장기적으로 정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OECD 통계를 보면 한국의 지난해 25~29세 경제활동 참가율은 76.7%로 칠레와 더불어 회원국 35개국 가운데 공동 31위를 기록했다. 20대 후반 경제활동 참가율의 OECD 평균은 80.5%로 한국보다 3.8%포인트 높았다. 1, 2위를 차지한 스위스(90.9%), 아이슬란드(90.1%)는 90%대에 달하고 3위인 일본(88.0%)도 한국보다 11.3%포인트나 높았다. 30대 초반에서도 비슷한 모습이 나타났다.

한국의 30~34세 경제활동 참가율은 77.7%였다. 20대 후반 경제활동 참가율보다 소폭 올랐지만, 순위는 꼴찌에서 4번째인 32위였다. 이는 한국의 낮은 취업률과 무관하지 않은 수치로 보인다. OECD 평균은 82.0%였다.

슬로베니아(93.6%), 룩셈부르크(93.1%), 포르투갈(92.1%), 스위스(91.5%), 스웨덴(90.7%), 아이슬란드(90.6%) 등 상위 6개국은 모두 이 연령대 경제활동 참가율이 90%를 넘었다. 그러나 고령층이 되면 상황이 반대가 된다.

지난해 65세 이상 고령층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31.5%로 아이슬란드(40.6%)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한국의 수치는 OECD 평균인 14.5%의 2배에 달했다.

경제활동 참가율이 청년층에선 낮고 고령층에서 높은 것은 청년층의 취업 시장 진입이 어렵고 고령층은 일자리를 떠나기 어려운 상황이 겹쳐서다.

남성의 경우 군 복무 때문에 기본적으로 사회인이 되는 시기가 다른 국가보다 늦다. 여성들은 육아, 가사에 전념하느라 20대 후반, 30대 초반에서 경제활동을 손 놓는 경우가 상당수다.

반면 고령층은 일하지 않고서는 먹고 살기 어려워 취업 시장을 맴도는 모양새다. 연금 제도가 성숙하지 않은 터라 주된 일자리에서 은퇴하더라도 생계형 창업을 하거나 단순.노무직으로 재취업하는 경우가 많다.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