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억류 한인들 귀환하자 지체 없이 날짜·장소 발표 최대 의제 비핵화 로드맵과 경제 보상·국교 수립 논의
역사적인 첫 북·미 정상회담이 오는 6월 12일 싱가포르에서 열린다.
<관계기사 3면, 한국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10일 오전 트위터를 통해 "김정은(북한 국무위원장)과의 회담이 6월 12일 싱가포르에서 열릴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양측은 세계 평화를 위해 매우 특별한 순간을 만드는 데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날 "3일 내에 회담 장소와 날짜를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던 트럼프 대통령은 회담 일정과 의제를 조율하기 위해 북한을 방문했던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이날 새벽 북한에 억류됐던 한인 시민권자 세 명과 함께 귀환하자 더 지체하지 않고 회담 장소와 날짜를 공개했다. 뉴욕타임스가 백악관 고위 관계자를 인용해 보도한 바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이들의 석방을 회담의 전제조건으로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두 정상은 이번 회담에서 최대 의제인 비핵화 로드맵과 함께 종전선언.평화협정을 비롯한 평화체제 정착, 핵 폐기에 따른 미국의 경제적 보상과 외교관계 수립 문제 등을 놓고 큰 틀의 담판을 지을 전망이다.
싱가포르가 회담 장소로 최종 결정된 것은 백악관 참모들의 강력한 권고가 있었기 때문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때 판문점을 고려했으나 이미 남북정상회담 개최로 전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킨 바 있어, 사상 처음으로 미국과 북한의 정상이 만나는 이번 회담의 개최지로는 신선도가 다소 떨어진다는 것.
북한의 입장에서는 김 위원장의 전용기가 중간 급유 없이 도착할 수 있는 범위 내에 있다는 점이 고려됐다.
또 싱가포르는 정치적으로 중립국인데다 취재환경에서도 우수한 인프라를 갖추고 있으며, 경호와 관련된 안전성이나 교통 등의 편의성 등도 뛰어나다는 점이 높이 평가됐다.
회담 날짜는 내달 8~9일 캐나다에서 열리는 G7(주요 7개국) 정상회의 직후로 정해졌다. 6월 초에 북.미 정상회담을 열고 그 결과를 G7 정상회의에서 설명하는 방안도 한때 검토됐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일정이 너무 빡빡해지면서 제대로 회담을 준비하기가 어렵다는 점이 고려됐다는 후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문재인 대통령과의 전화통화에서 북.미 정상회담 개최 장소와 시기를 알리고 의제를 조율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22일 워싱턴DC에서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에서 북.미 정상회담 의제를 최종적으로 조율할 예정이다.
관계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