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적절한 발언으로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릴 때 "구설수에 오르다"고 표현하는 경우가 많은데 "구설에 올랐다"고 해야 바르다. "구설수에 휘말려 왔다"도 "구설에 휘말려 왔다"가 바른 표현이다.
토정비결 등에서 자주 접할 수 있는 '구설수(口舌數)'는 남과 시비하거나 남에게서 헐뜯는 말을 듣게 될 운수라는 의미다. 구설수는 '있다' '없다' '들다'는 표현과 어울린다.
"구설에 오르다" 대신 "입길에 오르다" "말밥에 오르다"로도 표현한다. '입길'은 남의 흉을 보는 입놀림, '말밥'은 좋지 못한 이야기의 대상을 일컫는 말이므로 안 좋은 일로 남의 말거리가 될 때 쓸 수 있다. "입방아에 오르내리다"에서 '입방아'는 나쁜 일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어떤 사실을 화제로 삼아 쓸데없이 뒷이야기를 하는 경우에 두루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