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우리말 바루기] 시들음·시듬→시듦

Los Angeles

2018.08.13 19:49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농작물이 말라 죽거나 생기가 없어지는 현상을 '시듦병' '시듦 증상'으로 표기하는 것에 대해 낯설다는 이가 적지 않다. '시듦'보다 '시들음'이나 '시듬'이 더 익숙하다고 말한다.

용언(동사와 형용사)을 명사형으로 만드는 법칙은 어렵지 않다. 용언의 어간에 받침이 없을 때는 '-ㅁ'을 붙이면 된다. 돌리다는 '돌림(←돌리-+-ㅁ)', 열리다는 '열림(←열리-+-ㅁ)'이 되는 것이다. 용언의 어간에 받침이 있을 때는 '찾음(←찾-+-음)' '썩음(←썩-+-음)'과 같이 '-음'을 붙여 명사형을 만든다.

용언의 어간이 'ㄹ' 받침으로 끝나는 경우엔 용언의 어간에 받침이 없을 때와 마찬가지로 '-ㅁ'을 붙여 명사형을 만든다. 낯설다는 '낯섦(←낯설-+-ㅁ)', 만들다는 '만듦(←만들-+-ㅁ)'이 된다.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